구글 클라우드가 자체 레이어1 블록체인 Google Cloud Universal Ledger(GCUL) 을 공개하며 금융권 진출을 본격화했다. 세계 최대 파생상품 거래소인 CME 그룹과 협업해 도매 결제 및 자산 토큰화 실험을 시작했으며, 올해 안에 시장 참여자를 대상으로 직접 테스트를 거쳐 2026년 상용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GCUL은 프라이빗·퍼미션드 방식의 분산원장으로, 대차담보(collateral), 증거금(margin), 정산(settlement), 수수료(fee) 지급 등 금융 인프라 핵심 절차를 자동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기존 금융기관들이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마주하는 복잡한 인프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풀이된다.
특히 스마트계약 언어로 Solidity 대신 Python을 채택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방대한 파이썬 개발자 생태계를 활용해 금융기관과 전통 IT 기업이 손쉽게 스마트계약을 설계·구동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춘 것이다.
한편 구글 클라우드는 이미 이더리움·솔라나·아발란체 등 주요 퍼블릭 블록체인 노드를 운영 중이다. 따라서 GCUL은 전통 금융권을 위한 폐쇄형 네트워크이면서도, 퍼블릭 블록체인과 연결될 가능성이 있어 업계에서는 “구글이 금융권과 Web3를 잇는 글로벌 브리지 허브를 지향한다”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