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이 한국과 일본의 금융 협력을 통해 디지털 채권시장과 전환금융 분야의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의지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특히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디지털 채권이 금융 생태계에 가져올 변화 가능성을 강조하며, 신한금융이 양국 간 가교 역할을 맡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언은 9월 8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한·일 금융협력 세미나’에서 나왔다. 이 세미나는 연세대학교 환경금융대학원이 주최하고 신한금융이 후원한 행사로, 디지털 채권시장의 구축과 관련한 양국 금융 전문가들의 협력과 논의가 본격화된 자리였다. 주요 논의 주제는 디지털 채권시장 플랫폼 구축, 탄소배출권 거래의 디지털 전환 현황 및 해결 과제 등으로, 친환경 금융과 디지털 혁신이라는 두 흐름이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지가 중심에 있었다.
디지털 채권은 기존 채권과 달리 블록체인 같은 분산원장 기술을 기반으로 발행되고 거래되는 새로운 금융 자산이다. 이 방식은 발행 비용을 줄이고 거래 투명성과 속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최근 기후변화 대응이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요구가 강화되면서, 이런 디지털 채권이 친환경 프로젝트 투자 자금 확보에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른바 ‘전환금융’은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에 필요한 자금조달을 의미하는데, 디지털 채권은 이 분야에서 효율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는 중이다.
일본 측에서도 이번 협력에 강한 관심을 보였다. 이토 유타카 일본 금융청장은 세미나 축사를 통해, 디지털 기반의 국경 간 자금조달에 대한 논의가 양국 금융 당국 간의 이해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 평가했다. 그는 이어 일본 금융청도 가상자산 제도 정비 경험과 디지털 채권 인프라 구축 사례를 한국과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디지털 자산과 채권 시장이 아시아 지역에서도 공동 규제와 표준 마련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을 방증한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동아시아 금융시장 간 통합 논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채권을 비롯한 전자금융 인프라에서는 국가 간 기술 협력과 제도 조율이 병행돼야 실효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번 한·일 세미나는 단순한 정보 공유를 넘어 실질적인 정책 공조로 이어질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