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BTC, CME 선물 프리미엄 하락...기관 투심 약화 신호"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서 비트코인 선물 프리미엄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기관 투자자의 투심이 약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마켓 분석 업체 10x리서치가 "CME의 BTC 3개월 만기 선물 상품의 연환산 프리미엄은 현재 4.3%로, 2023년 이후 최저 수준이다. 비트코인 가격이 10만 달러 이상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베이시스(선물과 현물 가격 간 차이)가 하락한 것은 향후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약화됐거나 불확실성이 커졌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하락세는 주요 해외 거래소의 무기한 선물 펀딩비율이 음수로 전환된 점과 일치한다"고 설명했다.
BTC 고래, $1.43억 BTC 바이낸스 출금
익명 고래가 최근 2시간 동안 바이낸스에서 1,345 BTC(1.43억 달러)를 출금했다고 온체인렌즈가 전했다. 일반적으로 거래소 출금은 보유 목적으로 해석된다.
BTC 투자자 미실현 수익 $1.2조 육박...수익 실현 움직임 없어
비트코인 투자자들의 미실현 수익이 1.2조 달러에 달하며, 이는 지난해 말 사상 최대치(1.3조 달러)에 근접한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글래스노드 데이터를 인용해 전했다. 글래스노드는 "현재 BTC는 단기 보유자(155일 미만 보유)의 평단가인 98,300 부근에서 강력한 지지선을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 투자자들은 수익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BTC를 보유 중으로, 현재 구간에서의 이익 실현 심리는 거의 없는 수준이다. 또 단기 보유자들의 매도세 역시 지난 5월 BTC가 사상 최고가를 경신한 이후 급격히 줄었다"고 설명했다.
ETH 현물 ETF, 553억원 순유입
파사이드 인베스터 데이터에 따르면 7월 1일(현지시간) 미국 이더리움(ETH) 현물 ETF에 총 4070만 달러(553억원)가 순유입됐다. 3거래일 연속 순유입이다. 블랙록 ETHA에 5480만 달러가 유입된 반면 피델리티 FETH에서는 2410만 달러가 순유출됐다.
익명 고래, $1.68억 BTC 바이낸스 입금
익명 고래가 지난 40분 동안 바이낸스에 1,595 BTC(1.68억 달러)를 입금했다고 온체인렌즈가 전했다. 일반적으로 거래소 입금은 물량 매도 목적으로, 출금은 보유 목적으로 해석된다. 단, 거래소 입금이 반드시 물량 매도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6월 중앙화 거래소 현물 거래량, 9개월 만 최소
6월 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현물 거래량이 1.07조달러로 9개월 만에 가장 적은 수준을 보였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프레스토 리서치 애널리스트 민 정은 "BTC가 사상 최고가 부근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반면 ETH를 비롯한 대다수 알트코인은 여전히 고점 대비 40% 하락한 상태다. 기관이 주도하는 BTC 중심의 시장 구조가 유지되는 가운데 개인 투자자의 시장 참여가 저조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테더, 새 레이어1 블록체인 스테이블 공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USDT)가 새로운 레이어1 블록체인 스테이블을 구동할 예정이라고 더블록이 전했다. 스테이블체인은 초당 수천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로, 1초 미만 블록 확정 시간과 EVM 완전 호환성을 갖췄다. USDT를 네이티브 토큰으로 채택했으며, USDT에 연동된 레이어제로(ZRO) 기반 탈중앙화 토큰 USDT0과 통합 기능도 갖췄다.
자오창펑 “미국, 암호화폐 규제 개선 속도 빨라…글로벌 확산 촉진될 것”
바이낸스 전 최고경영자(CEO) 자오창펑이 모건크릭디지털애셋 공동 창업자 앤서니 팜플리아노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산업의 미래에 대해 '매우 낙관적' 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기관 및 기업 자금이 암호화폐 ETF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단순한 거래나 금융 기능을 넘어, 정부 행정·세금·의료보험 등 공공 인프라 전반에 기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 또한 미국의 암호화폐 정책 개선 속도가 예상보다 빠른데, 미국의 정책 변화는 다른 국가에도 유사한 입법과 규제 개선을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분석 "올해 상장 암호화폐 56종 중 FDV $10억 돌파한 건 3종 불과"
올해 벤처캐피털(VC) 지원을 받아 상장된 56종 암호화폐 중 완전희석시가총액(FDV) 10억 달러를 넘어선 프로젝트는 카이토(KAITO), 스토리프로토콜(IP), 월러스(WAL) 등 3종에 불과하다고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Ash(@ahboyash)가 분석했다. Ash는 "VC들은 통상 시드 라운드에서 2,000만~1억 달러를 투자하며, 이를 통해 수령한 토큰은 토큰공개이벤트(TGE) 이후 약 3년 동안 락업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일부 프로젝트 토큰의 현재 가격은 시드 라운드 때보다 낮아 VC들도 손실을 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비트디지털, 유상증자로 $1.62억 모금...일부 ETH 매입
미국 비트코인 채굴 기업 비트디지털(Bit Digital, 나스닥 티커: BTBT)이 최근 유상증자를 통해 총 1.62억 달러를 모금했다고 발표했다. 비트디지털은 모금액 일부를 이더리움(ETH) 매입에 사용할 계획이다.
파이어블록스→점프크립토 $234만 W 이체
암호화폐 커스터디 기업 파이어블록스가 점프 크립토 추정 주소로 3,310만 W(234만 달러)를 이체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전했다. 점프 크립토는 웜홀의 투자자이자 모회사이며, 웜홀은 2023년 말 독립 운영을 선언한 바 있다.
VOOI, V2 메인넷 출시
이지랩스(YZi labs)의 지원을 받는 탈중앙화 거래소(DEX) VOOI가 V2 메인넷을 출시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VOOI V2는 개인 투자자들이 트레이딩을 시작하는 데 장애물이 됐던 월렛, 브릿지, 대시보드 등의 필요성을 없애고 간편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VOOI V2에는 체인 추상화 기능이 적용됐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는 이더리움, BNB, 아비트럼, 옵티미즘, 베이스 등 다양한 EVM 호환 네트워크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향후에는 비EVM 체인으로도 지원 범위를 넓힌다는 계획이다.
메타디움, AI 기반 대화형 익스플로러 'MChat' 출시 예정
메타디움(META)이 인공지능(AI) 기반 대화형 블록체인 익스플로러 MChat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공식 미디움을 통해 발표했다. MChat은 자연어 기반 인터페이스로 기존 블록체인 익스플로러 기능과 함께 메타디움 관련 실시간 답변을 제공한다. 메타디움은 또 여타 파트너와 협력해 새 AI 기반 대화형 서비스 Daepa를 개발 중이라고도 언급했다.
스캘럽, 24시간 동안 41% 상승
수이(SUI) 기반 디파이 프로젝트 스캘럽(SCA)이 코인마켓캡 기준 41% 오른 0.1248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수이 생태계 암호화폐 중에서 최고 상승률이다. 현재 SCA 유통량의 41%가 락업된 상태다. 약 4600만 SCA가 3.76년간 락업돼 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미결제약정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선물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전체 거래소: 롱 49.7% / 숏 50.3%
1.바이낸스: 롱 49.7% / 숏 50.3%
2.바이비트: 롱 49.79% / 숏 50.21%
3.게이트아이오: 롱 49.74% / 숏 50.26%
바이낸스, ACT 등 4종 현물 거래 페어 상폐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달 4일 12시(한국시간) ACT/EUR, FIO/BTC, TNSR/FDUSD 및 TST/FDUSD 현물 거래 페어를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BTC $107,000 상회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BTC가 107,000 달러를 상회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BTC는 107,00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