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월 발언 여파?…BTC·ETH 현물 ETF 모두 순유출
23일(현지시간) 미국 BTC 및 ETH 현물 ETF가 모두 2거래일 연속 순유출을 기록했다고 트레이더T가 전했다. 이날 BTC 현물 ETF에서는 1억 355만 달러(1444억원)가 빠져나갔다. 블랙록 IBIT에 260만 달러가 순유입된 반면 피델리티 FBTC에서는 7556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비트와이즈 BITB(-1276만 달러), 아크인베스트 ARKB(-2785만 달러)도 순유출을 보였다. ETH 현물 ETF에서는 약 1억4000만 달러(1951억원)가 순유출됐다. 피델리티 FETH(-6340만 달러), 비트와이즈 ETHW(-2388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ETHE(-1710만 달러), 그레이스케일 미니 ETH(-3637만 달러)에서 순유출이 나타났고, 순유입된 ETF는 없었다. 한편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공개 발언에서 “많은 측면에서 현재 주가는 상당히 고평가로 보인다”고 발언했고 이후 증시와 암호화폐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
금융당국 “1거래소-1은행 규제 완화 시기 검토”
금융당국이 현재 1거래소 1은행 체제 완화와 가상자산 거래시장 독점화 방지 등 조치 시점을 분석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뉴시스가 전했다. 박주영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 기획행정실장은 뉴시스 주최 행사 강연에서 1거래소 1은행과 관련해 “취지 자체가 가상자산 거래소의 AML을 은행이 도와주자는 차원에서 시작됐다.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해지고 독점을 오히려 강화시키는 게 아니냐는 여론도 있어서 심각하게 들여다보고 있고 업계 의견도 들어보고 있다. 은행과 거래소 등 업계 의견도 찬성과 반대가 있는데 자금세탁이 잘 방지될 수 있는 방법과, 시장경제에서 자율경쟁과의 조화를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분석 “폭풍전야 맞은 BTC, 조만간 큰 방향성 나온다”
비트코인 내재 변동성이 2023년 이후 최저치로 떨어지며, 과거 2만9000 달러에서 12만4000 달러까지 약 325% 급등하기 직전의 폭풍전야 국면과 유사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크립토퀀트 기고자인 엑스윈 리서치 재팬(XWIN Research Japan)은 “거래소 BTC 잔고가 수년래 최소 수준으로 줄어들며 매도 압력이 약화됐다. 또한 MVRV(실현가치 대비 시가총액) 비율도 2.1로 중립 구간에 머물며 과매수나 과매도 움직임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선물 펀딩비율도 안정적이어서 파생상품 시장의 과열도 없다. 이는 모두 시장이 큰 변동성을 앞두고 에너지를 축적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어느 방향으로 터질지는 아직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
분석 "BTC 고래, 한 달간 14.7만 BTC 매도"
크립토퀀트 수석 애널리스트 줄리오 모레노(Julio Moreno)가 최근 비트코인 하락의 원인으로 고래들의 대규모 매도세를 지목했다. 그는 “BTC 고래 주소들은 8월 21일 이후 한 달 동안 147,000 BTC를 매도했으며, BTC 고래의 보유량 감소 추세는 이번 사이클에서 가장 가파르게 나타났다. 고래 주소들의 BTC 보유량 급감은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매도 압력으로 이어지며, 최근 비트코인 약세를 지속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분석 “시장 주도권 다시 현물 ETF로…기업 DAT 시들”
당분간 시장 주도권은 기업들의 암호화폐 매집보다 현물 ETF가 가지게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리얼비전 애널리스트 제이미 쿠츠는 “이번 강세장은 기관 투자자와 암호화폐 비축(DAT) 기업들이 주도했지만, 최근 기업들의 매수세가 둔화됐다. 다시 현물 ETF가 시장의 중심을 잡게된 것이다. 이달 초까지 부진했던 ETF 자금 흐름은 다시 강세로 전환됐고, 글로벌 유동성도 여전히 풍부한 상황이다. 현재 BTC의 지루한 장세는 글로벌 유동성이 느리게 움직인 때와 유사하지만, 변동성 패턴에서는 정상적인 수준이다. 만약 암호화폐 시장이 약세장에 진입하는 경우 하락폭은 적더라도 그 기간은 길어질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블록체인 기술 채택 확산과 법정화폐 가치 하락으로 BTC가 각광받으면서 가격 상승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온체인 무기한선물 일일 거래량, $500억 첫 돌파
온체인 무기한선물 일일 거래량이 처음으로 500억달러를 넘어섰다고 우블록체인이 듄애널리틱스 데이터를 인용해 전했다. 이중 BSC체인 거래량이 215억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하이퍼리퀴드(106억 달러)가 뒤를 이었다.
솔 스트래티지, $1800만 조달...SOL 투자 등
캐나다 토론토 소재 투자사 솔 스트래티지가 사모 발행을 통해 최대 2500만 캐나다 달러(1800만 달러) 규모 자금을 조달한다고 밝혔다. 자금은 SOL 전략 투자 및 기업 운영에 사용될 방침이다. 솔 스트래티지는 약 39만 SOL을 보유 중이다.
코인베이스 CEO "BTC, 2030년이면 $100만 갈 것"
코인베이스 최고경영자(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이 "현재 진행 상황에 미뤄보면 비트코인은 2030년까지 100만 달러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장기적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X를 통해 전했다.
비트와이즈 CEO "$200억 운용사, 포트폴리오에 BTC 3% 할당"
비트코인 현물 ETF 발행사 비트와이즈(Bitwise) CEO 헌터 호슬리(Hunter Horsley)가 X를 통해 "운용자산(AUM) 200억 달러 규모 자산운용사의 투자위원회(IC)가 포트폴리오 내 비트코인 3% 편입을 승인했다. 주류 투자자들의 관심은 그 어느 때보다 강하다. 2025년은 비트코인 대중화의 시작"이라고 말했다.
분석 "이더리움 현물 ETF 거래량 15% 돌파…출시 초기 3%서 급등"
지난해 11월 출시 당시 3%에 불과했던 이더리움(ETH) 현물 ETF 거래량이 현재 전체 현물 시장의 15%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더블록이 자체 데이터를 인용해 전했다. 매체는 “현물 ETF 거래 확대는 기관과 개인 투자자들이 직접 토큰을 보관하기보다 규제된 금융 상품을 선호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ETF를 통해 투자자들은 자체 월렛 관리나 보안 위험을 떠안지 않고 ETH에 투자할 수 있으며, 이는 암호화폐 투자자뿐 아니라 전통 금융 투자자들의 참여를 촉진하고 있다. ETH 현물 ETF 유입 효과로 올해 ETH 가격은 30% 이상 상승했으며 전통 금융권의 규제 인프라가 암호화폐를 빠르게 흡수하면서 향후 ETH 시장에서 ETF 비중은 더 커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아서 헤이즈, $2470만 ONDO 거래소 입금
비트멕스 설립자 아서 헤이즈 추정 주소가 14시간 전 2628만 ONDO(2470만 달러)를 코인베이스, 바이비트, 바이낸스, OKX에 입금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전했다. 그는 "해당 물량은 온도파이낸스 프로젝트로부터 수령한 물량이다. 아서 헤이즈의 알트코인 매도(거래소 입금) 소식은 이더파이(ETHFI), 에테나(ENA)에 이어 세 번째"라고 설명했다.
스테이블코인X, 바이낸스서 $1180만 ENA 출금
에테나 인프라 기업 스테이블코인X 추정 주소가 지난 15시간 동안 1923만 ENA(1180만 달러)를 바이낸스에서 출금했다고 온체인 애널리스트 ai_9684xtpa가 전했다. 이 주소는 현재 8826만 ENA(5400만 달러)를 보유 중이다.
친비트코인 민주당 전 의원,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 출마 선언
친비트코인 성향 민주당 전 캘리포니아 주하원의원 이안 칼데론(Ian Calderon)이 2026년 캘리포니아 주지사 선거 출마를 공식화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칼데론은 X를 통해 “지금 세대는 스마트폰으로 요금을 내고, 간편결제 플랫폼 벤모로 돈을 보내고, 비트코인으로 저축을 한다. 구시대적 방식으로 오늘날 문제를 풀려는 정치인들이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지만,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칼데론은 향후 주정부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을 편입하고, 일부 주 프로그램 지불 수단으로 비트코인을 도입하겠다는 구상도 내놨다.
FTX 설립자 SBF, X에 ‘gm’ 게시 후 FTT 단기 급등
샘 뱅크먼 프리드 FTX 설립자가 6개월 만에 X(구 트위터)에 ‘gm(good morning)’ 이라는 글을 게시했다. 이 포스트 영향으로 FTT가 단기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FTT는 43.24%오른 1.1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브레비스, 카이토 기반 소셜 보상 시스템 '야퍼 리더보드' 출시
영지식증명 기술 기업 브레비스(Brevis)가 AI 기반 웹3 정보 플랫폼 카이토 AI(KAITO AI)와 파트너십을 체결, 야퍼 리더보드 캠페인을 개시한다고 전했다. 이는 소셜 영향력 지표와 온체인 자격에 대한 영지식 증명 인증을 결합한 보상 시스템이다. 이번 캠페인은 두 단계에 걸쳐 진행되며, 우수한 성과를 낸 참가자들에게 브레비스의 TGE 토큰 할당량 중 일부를 보상으로 지급한다. 사용자는 소셜 계정과 지갑을 연결하지 않고도 초기 보유자, 디파이 전문가 또는 장기 보유자임을 증명해 더 많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 브레비스는 "이번 파트너십은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한 인포파이(InfoFi, 정보+금융) 보상 분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케이알윈-KODA, 국내 최초 해외 이용자 대상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코인’ 수탁 계약
법정화폐 담보형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케이알윈(KRWIN)이 한국디지털에셋(KODA)과 가상자산 커스터디(수탁) 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케이알윈 운영사 케이클원은 코스닥 상장사 이니텍의 자회사로, 이번 계약을 통해 해외 이용자 전용 POC(Proof of Concept) 단계부터 국내 최초로 커스터디 수탁 서비스를 도입했다. 케이알윈은 준비금 1대 1 원칙에 따라 발행되며, 모든 온체인 발행 물량은 전량 KODA에 예치된다. 발행량과 예치 내역은 블록체인 원장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케이클원 이상준 대표는 “케이알윈은 POC 단계에서부터 커스터디 수탁을 도입해 투명성과 안정성을 최우선 가치로 삼고 있다. 향후 동남아 시장에서 K-콘텐츠, 관광, 결제 등과 연계를 확대해 K-콘텐츠 생태계 전반의 성장을 견인하겠다“고 말했다.
다날,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결제 시연
다날이 KBW 2025에서 오는 11월 출시 예정인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플랫폼의 데모 버전을 선보였다고 머니투데이가 전했다. 사용자가 보유한 원화를 KSC로 전환 요청하면 즉시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돼 개인 디지털 지갑으로 지급된다. 한편 다날이 운영 중인 페이코인은 리브랜딩을 앞둔 상태다.
바이낸스, A/ETH 등 3종 현물 페어 상장 폐지
바이낸스가 9월 26일 12시(한국시간) A/ETH, AUCTION/FDUSD, RESOLV/BNB 현물 거래 페어를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 68...전일比 4포인트↑
가상자산 종합 정보플랫폼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전날보다 4포인트 오른 68을 기록했다. 알트코인 시즌 지수는 시가총액 상위 100개 코인(스테이블·랩트 코인 제외)과 비트코인 간 가격 등락률을 비교해 책정된다. 상위 100개 코인 중 75%의 상승률이 지난 90일 동안 비트코인 상승률보다 높으면 알트코인 시즌, 반대의 경우 비트코인 시즌으로 판단한다. 100에 가까울수록 알트코인 시즌으로 본다.
분석 “알트코인 시즌 유효”
코인마켓캡의 알트코인 시즌 지수가 대폭 하락한 가운데 아직 알트코인 시즌이 끝나지 않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유명 거시경제 전문가 겸 트레이더 헨릭 제베르그(Henrik Zeberg)는 최근 “비트코인을 제외한 암호화폐의 시가총액과 BTC를 비교하는 OTHER/BTC 차트가 주요 저항선을 돌파해 강세 추세로 돌아섰으며, 이는 알트코인 시즌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현재 구간인 0.14를 돌파하면 최고 0.66까지는 상승할 수 있다“고 전했다.
서틱 설립자 "프로젝트 보안, 마케팅 예산보다 훨씬 적어"
서틱(CertiK) 공동 설립자 룽후이 구(Ronghui Gu)가 KBW 2025 메인 포럼 '해킹 차단: 스마트 컨트랙트 보안 현황' 라운드테이블에 참석해 "스마트 컨트랙트 취약점으로 인해 작년 14억 달러 피해가 발생했다는 업계의 해석은 잘못됐다. 실제로는 인적 요인까지 포함된 수치다. 완벽하게 안전한 프로그램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서틱은 코드 리뷰, 보안 감사, 지속 모니터링으로 이어지는 다층 방어 시스템을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술적 툴로만으로는 보안이 유지되기 어려우며 개발자, 프로젝트, 투자자 모두의 보안 인식 제고가 필수적이다. 현재 대부분 프로젝트는 보안보다 마케팅에 훨씬 더 많은 예산을 쓰고 있다. 위믹스, 카이아 등처럼 더 많은 프로젝트들이 장기적 성장을 위해 보안 예산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법원 “DEX 상장, CEX보다 절차 쉽다”…성과금 소송 원고 패소
서울중앙지법이 탈중앙화거래소(DEX)와 중앙화거래소(CEX)의 상장 절차 난이도가 다르다는 점을 명확히 인정했다고 디지털애셋이 전했다. 서울중앙지법 제33민사부(부장판사 최종진)는 9월 4일 탄소배출 연계 프로젝트의 가상자산 A 상장 계약과 관련된 소송에서 원고 청구를 기각하고 피고 측 손을 들어줬다. 원고는 국외 거래소 상장 조건에 DEX 상장도 포함된다며 성과금으로 가상자산 600만개를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판부는 중앙화거래소는 까다로운 심사 과정을 거쳐야 상장이 가능하지만, DEX는 누구나 스마트계약과 유동성 풀을 통해 손쉽게 거래를 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44...공포 지속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 업체 알터너티브(Alternative)의 자체 추산 '공포·탐욕 지수'가 전날보다 1포인트 오른 44를 기록했다. 공포 단계가 지속됐다. 해당 지수는 0에 가까울수록 시장의 극단적 공포를 나타내며, 100에 가까울수록 극단적 낙관을 의미한다. 공포 탐욕 지수는 변동성(25%), 거래량(25%), SNS 언급량(15%), 설문조사(15%), 비트코인 시총 비중(10%), 구글 검색량(10%) 등을 기준으로 산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