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오후 브리핑] 이더리움 디파이 TVL 9개월간 185% 감소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6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이더리움 디파이 TVL 9개월간 185% 감소]

AMB크립토에 따르면 이더리움 디파이 TVL은 지난 9개월 동안 185% 이상 감소했다. 또 9월 3일 기준 이더리움 기반 DEX 일일 거래량은 9.31억달러로, 4개월 만에 96% 감소했다. 이더리움 DEX 일일 활성 사용자 수 또한 2021년 5월 9일 124,050명보다 93% 감소한 7532명을 기록했다. DefiLlama 데이터에 따르면 이더리움 디파이 TVL은 현재 591억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위메이드, 아프리카 P2E 프로젝트 MVM 투자]

지디넷코리아에 따르면 위메이드가 아프리카의 P2E 길드 프로젝트인 MVM(Metaverse Magna)에 전략적 시드 투자를 실시했다고 6일 밝혔다. MVM은 아프리카 최초이자 최대의 게이밍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탈중앙화 자율 조직)로 바이낸스 랩스의 아프리카 담당 임원이었던 옐레 바데모시가 설립했다. 구체적인 투자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MVM은 향후 자체 OS 개발을 통한 길드 관리 툴 제공, 게임 개발사들에게 P2E 게임 소프트웨어 디자인 키트 제공, 게이밍 디파이 서비스 등까지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피르마체인, 삼성전자 출신 김동훈 CTO 선임]

데이터넷에 따르면 신뢰 기반 블록체인 연계 플랫폼 피르마체인의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삼성전자 종합기술원(SAIT) 연구원 출신 김동훈이 선임됐다. 김 CTO는 모바일 액션 RPG 게임인 소울블레이즈를 개발한 곰즈게임스튜디오를 창업한 후 2016년에 파티게임즈에 곰즈게임스튜디오가 인수하면서 개발 및 CTO를 역임 게임 관련 산업에서 전문가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이미 2021년 하반기부터 피르마체인 메인넷 개발에 참여하며, 피르마체인 메인넷 콜로세움(Colosseum) 안정화에 크게 기여했다고 피르마체인은 밝혔다.

[커브, 깃허브에 스테이블코인 SDK 릴리즈]

커브 파이낸스(CRV)가 자바스크립트(JS) 개발자를 위한 커브 스테이블코인 소프트웨어 개발키트(SDK)를 릴리즈했다. 앞서 커브 파이낸스 CEO 마이클 예고로프(Michael Egorov)는 초과담보 형태의 스테이블코인 커브USD(crvUSD) 발행을 준비하고 있다며, 이달 내 출시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아베다오, AAVE 컴퍼니에 1628만 달러 기부 제안 커뮤니티에 상정]

아베다오(Aave DAO)가 AAVE 컴퍼니에 1628만 달러를 기부하라는 제안이 아베 커뮤니티에 상정됐다. 자금은 AAVE 프로토콜 V3 개발에 쓰일 계획이며, 팀의 1년 안의 작업 수행 비용과 제3자 감사 서비스 비용이 포함된 금액이다. 해당 제안에 대한 투표는 6일 오전 2시 23분부터 시작됐으며 3일간 진행된다.

[서클 CEO "바이낸스 USDC→BUSD 자동 전환, USDC 유틸리티 개선"]

오늘 새벽 바이낸스가 USDC, USDP, TUSD 잔액을 BUSD로 자동 전환할 예정이라고 공지한 가운데, USDC 발행사 서클 CEO 제레미 알레어(Jeremy Allaire)가 트위터를 통해 "FTX, 코인베이스와 마찬가지로 바이낸스가 달러 장부(dollar books)들을 통합한 건 좋은 일이다. USDC 유틸리티(사용성)가 개선될 것이다. 이제 USDT에 집중됐던 점유율이 BUSD, USDC로 분산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바이낸스의 이번 결정에 대해 분석한 암호화폐 마켓메이커 업체 윈터뮤트 CEO Evgeny Gaevoy의 트윗을 리트윗했다. Gaevoy는 "(바이낸스의 이번 결정으로) 유동성이 여러 스테이블코인으로 분산될 필요가 없어 마켓메이커의 작업이 더 쉬워지고 시장 유동성이 전반적으로 더 살아날 것이다. 이는 USDC, TUSD 등에 긍정적이다. 반면 USDT의 경우 고객은 테더가 무엇 때문에 그렇게 '특별한' 것인지 계속 궁금해하며 전환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고, 장기적으로 비(non) USDT 페어 유동성은 증가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테더가 운영 효율성을 높일 때까지(즉각적인 민팅/상환이 이뤄지는 USDC/BUSD/TUSD와 달리 테더는 T+1 프로세스) 계속해서 기반을 잃게될 것이다. 마켓메이커들은 (바이낸스를 통하지 않고도) BUSD와 USDC를 몇 초 안에 민팅/상환할 수 있는데, 이제 모든 사람이 이를 할 수 있게 됐다. 요약하자면 USDC '상장폐지'에 초점을 맞추면 안된다. 이는 테더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점유율을 빼앗기 위한 빅 스텝"이라고 밝혔다. 앞서 바이낸스는 9월 29일 12시부터 사용자의 USDC, USDP, TUSD 잔액을 BUSD로 1:1 비율로 자동 전환할 예정이라며 이후 일부 USDC, USDP, TUSD 거래페어 지원을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싱가포르 최대 은행, 30만 亞 부유고객 대상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 확대 예정]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싱가포르 최대 은행 DBS가 암호화폐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DBS 디지털 거래소는 1000명 미만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곧 DBS 모바일 뱅킹 앱을 통해 더 많은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는 설명. 피유시 굽타(Piyush Gupta) CEO는 "DBS 모바일뱅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프라이빗 뱅크, 공인투자자, 기타 거래소, 펀드 등 부유한 아시아 고객 30만명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코인니스는 DBS가 연내 개인투자자에게 암호화폐 거래서비스를 제공하려던 계획을 철회하기로 했다고 전한 바 있다. 당시 피유시 굽타 CEO는 "규제 기관이 개인에게 암호화폐 투자를 허용하는 데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위메이드, 서울대에 10억 상당 위믹스 기부]

이데일리에 따르면 위메이드(112040)는 서울대학교와 자사 암호화폐 위믹스 발전기금 기부 협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위메이드는 10억원 상당의 위믹스를 ‘SNU 비즈 창업 펀드’로 서울대 경영대학에 전달한다. 기부금은 경영대학 학생들의 교육, 창업 활동 지원에 사용된다. 위메이드는 지난 1월부터 고려대학교, 동서대학교, 서강대학교, 서울대학교 등과 연이어 기부 협약을 맺고 있다.

[8월 국내 암호화폐 거래량 29.5조원, 시장 침체에도 23% 증가]

블록미디어에 따르면 8월 국내 암호화폐 거래량이 전월비 크게 증가했다. 블록미디어가 자체 집계한 8월 국내 암호화폐 거래량은 약 129.5조 원으로, 전월 대비 23% 증가했다. 일별 평균 거래량은 4조 3174억 원이었다. 거래소별 거래량은 업비트가 100조 2322억 원을 기록했고, 거래량 비중은 76.3%(직전월 73.1%)였다. 빗썸 25조 5007억 원, 코인원 5조 3694억 원, 코빗 2759억 원으로 뒤를 이었다. 지난 4월 원화 마켓을 재개한 고팍스는 574억 원의 거래량을 기록했다. 업비트를 제외한 각 거래소의 8월 거래량 점유율은 빗썸 19.4%(22.5%), 코인원 4.1%(4.2%), 코빗 0.21%(0.21%)를 기록했다(괄호 안은 7월 점유율). 고팍스 점유율은 0.04%(0.03%)를 기록했다.

[인도 중앙은행, CBDC 시범 테스트 검토]

인도 중앙은행이 국영은행 및 핀테크 기업과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시범 운영을 검토 중이라고 현지 미디어 머니컨트롤이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소식통은 "중앙은행은 이번 회계연도 내 CBDC 발행을 위해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RBI와 협업 중인 핀테크 기업 중 하나로 미국 금융서비스 기업 FIS가 거론됐다. FIS는 최근 CBDC 버추얼랩을 출범한 바 있다. 줄리아 데미도바 FIS 수석 디렉터는 "RBI와 여러 분야 협력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으며 다양한 CBDC 실험을 진행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T 라비 산카르 인도 중앙은행(RBI) 부총재가 "CBDC는 결제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디지털 결제와 관련된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며 "CBDC가 암호화폐의 종말을 고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BAYC 24시간 거래량 309%↑]

오픈씨에 따르면 BAYC 24시간 거래량이 309% 증가한 357ETH를 나타내며 거래량 순위 3위를 기록했다. 현재 ENS(1055ETH), 크립토시메지 오피셜(CryptoSimeji Official, 403ETH) 순으로 24시간 거래량이 높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6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6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광란의우덩

2022.09.07 08:02:12

ㄱ 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광란의셔터

2022.09.07 07:52:47

ㄱ 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초롱새롬

2022.09.06 17:24:54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mollaview

2022.09.06 16:17:47

ok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2.09.06 14:18:40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우스코인

2022.09.06 11:44:48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