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아태지역 투자자들, 암호화폐 투자 기피...안전자산으로 이동"]
블룸버그가 스위스 은행 롬바르드 오디에(Lombard Odier) 분석을 인용, 인플레이션 상승과 시장 변동성에 대한 우려가 커짐에 따라 아태지역 부유층이 변동성이 큰 암호화폐 투자를 회피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들은 금과 현금 같은 안전자산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나타냈다. 빈센트 마그네낫(Vincent Magnenat) 롬바르드 오디에 아시아 지역 책임자는 "아태지역 투자자들은 포트폴리오 구성에 있어 보다 보수적으로 바뀌고 있다. 현재 안전자산으로 투자 방향을 전환 중이며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 "507 캐피털 설립자, 마운트곡스 청구권 매입해 18배 수익 예상"]
부실 자산을 매입해 수익을 올리는 투자자 중 한 명인 토마스 브라지엘(Thomas Braziel) 507 캐피털 설립자가 마운트곡스 채권자들에게서 사들인 청구권을 통해 18배에 달하는 수익을 올릴 수 있게 됐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다. 미디어는 "그는 패밀리 오피스 등을 통해 100만 달러를 모은 뒤 2017년경 마운트곡스 채권자들에게서 4,000 BTC 상당의 청구권을 매입했다. 그리고 올해 마운트곡스가 채권단에 BTC, BCH, 엔화로 배상을 시작할 예정이며, 그 사이 BTC 가격이 크게 올라 브라지엘의 수익은 18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당초 8월로 예상됐던 마운트곡스의 BTC 상환 날짜가 9월 15일 이후로 재연기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한 바 있다.
[클레이튼 기반 P2E 게임 케놈, 유동성 공급 중단..."암호화폐 침체·개발 인력 부족"]
클레이튼(KLAY) 기반 P2E 게임인 케놈(Kenome)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유동성 공급을 중단하고 유동성공급자(LP) 스테이킹에 할당한 토큰 물량을 새로운 지갑 주소로 옮길 예정"이라고 밝혔다. 케놈은 "우리는 암호화폐 침체 장기화, NFT 시장 축소, 특히 개발 인력 부족으로 최근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 때문에 우리는 로드맵을 불가피하게 조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또 LP 스테이킹 할당 물량을 새 지갑 주소에 옮기는 작업은 이달 중 마칠 계획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작업이 끝나는 대로 다시 공지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브라질 세무 당국 "7월 자국 암호화폐 보유자 130만명...역대 최다"]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브라질 연방세무부(RFB)가 7월 약 133만명이 암호화폐 보유 및 거래 명세서를 제출했다고 보고했다. 이는 2019년 브라질 당국이 국민에게 암호화폐 보유 및 거래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도록 의무화한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5월 36.5만명이, 6월엔 80만명이 당국에 보고했다. 7월 대부분의 암호화폐 거래는 비트코인을 이용해 이뤄졌으며 거액 거래의 경우 USDT가 주로 사용됐다.
[하이퍼페이, V5.0.10 릴리즈...신규 대출 상품 제공]
암호화폐 지갑 플랫폼 하이퍼페이(HyperPay)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V5.0.10을 릴리즈했다고 밝혔다. 해당 버전에는 시간 단위로 이자 계산해주는 새로운 대출 상품 'Loan at will'이 포함됐으며 악성주소 감지 등 기능이 추가됐다.
[커브 1 stETH=0.9584 ETH.. 하드포크 토큰 에어드랍 수요 반영]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 프로토콜 커브(CRV) 내 stETH 가격이(1 stETH를 ETH로 환전했을 때 적용되는 환율)이 0.9584 ETH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우블록체인은 "이더리움 하드포크 토큰을 에어드랍 받으려는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ETHW 에어드랍을 받기 위해서는 stETH가 아닌 ETH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현재 커브 stETH/ETH 풀 내에는 155,860 ETH, 530,141 stETH가 예치돼 있다. 각각 자산 비중은 22.72%, 77.28% 수준이다.
[F2Pool, 9/10~20 사이 ETH PoW 채굴 종료]
중국계 대형 채굴풀 F2Pool이 이더리움 머지(PoS 전환)가 다가옴에 따라 ETH PoW 채굴을 9월 10~20일 사이에 종료한다고 공지했다. PoW 채굴이 중단될 때까지 ETH 채굴풀은 정상적으로 운영된다. 한편 F2Pool은 ETC, RVN, CFX 등 채굴을 독려했다.
['빅쇼트' 마이클 버리 "SPAC·밈주식 다음 암호화폐 붕괴 중"]
대표적인 암호화폐 비관론자 가운데 한명인 영화 빅 쇼트의 실제 주인공 마이클 버리가 오늘 오전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가 붕괴 중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2000년 닷컴 버블과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인플레이션과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시장 붕괴, 밈 주식 폭락 등을 거론하며 '암호화폐 붕괴(Crypo crash)가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코어 사이언티픽, 8월 1125 BTC 현금화]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채굴업체 코어 사이언티픽은 지난 8월 1125 BTC를 현금화했다. 평균 매도가격은 $23,014달러로, 약 2600만달러 수익을 얻었다. 8월 채굴량은 1334 BTC를 기록했다. 코어는 지난 7월에도 평균 $22,000로 1975 BTC를 매도한 바 있다. 8월 31일 기준 1409 BTC, 현금 4720만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소니뮤직엔터테인먼트, 미 특허청에 NFT 상표 출원]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소니뮤직엔터테인먼트는 최근 미국 특허청에 NFT 상표를 출원했다. 출원 항목에는 NFT 기반 미디어, 음악+팟캐스트 프로덕션, 아티스트 매니지먼트+음원 배급 서비스 등이 포함됐다.
[포브스 "CFTC, 미국 암호화폐 규제 주도할 듯"]
CFTC(상품선물거래위원회)가 미국 암호화폐 거래를 규제하기 위한 영역 다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고 포브스가 진단했다. 일례로 지난 7월 발의된 법안에서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 거래에 있어 CFTC의 주도적 역할을 강조한다. 이전에 상원에서 발의된 법안에서도 CFTC의 역할을 강조한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CFTC와는 달리 다수 암호화폐를 상품이 아닌 증권으로 간주해 현지 업계 관계자들은 SEC보다 CFTC 규제를 더 선호한다. 단, 암호화폐 규제에 대한 SEC의 강력한 의지를 봤을 때 CFTC가 대부분의 암호화폐 시장에 관여해도 암호화폐 거래소는 SEC에 브로커-딜러 등록을 해야만 할 수도 있다. 워싱턴 소재 브래들리 로펌 관계자는 "CFTC는 만성 인력 부족에 시달리고 있고, 의회로부터 대규모 예산을 확보하지 못하면 (SEC에) 완전히 압도당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CFTC 직원은 약 700명, 연간 예산은 약 14.7억달러인 데 반해 SEC 직원 수는 5000명이며, 연간 예산은 26.5억달러다.
[아발란체 체인서 플래시론 공격 발생.. 공격자 37만 USDC 수익]
블록체인 보안업체 서틱(CTK)이 트위터를 통해 아발란체(AVAX) 체인 상에서 플래시론 공격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공격자는 이를 통해 $37만 USDC를 챙긴 것으로 파악됐다. 서틱은 이번 플래시론 공격과 연관이 있을 수 있는 프로토콜로 네레우스파이낸스(nereusfinance), 트레이더조(TraderJoe), 커브파이낸스(CurveFinance)를 언급했다.
[컴파운드, V2 버그 패치...가격피드 복구 완료]
탈중앙화 대출 프로토콜 컴파운드(COMP)가 V2 프로토콜 내 발견된 버그 패치를 위한 제안 119를 구현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에 따라 V2 프로토콜이 정상 작동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앞서 컴파운드는 V2 코드 오류가 포함된 체인링크 가격피드 업데이트를 진행하면서 cETH 거래가 일시 중단됐다며, 이전 가격피드로 되돌리기 위한 제안 119를 내놓은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