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美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리플 승소 가능성 50.1%... SEC는 29.9%"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7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美 암호화폐 전문 변호사 "리플 승소 가능성 50.1%... SEC는 29.9%"]

핀볼드에 따르면 미국 로펌 호건앤호건(Hogan & Hogan)의 파트너 변호사 제레미 호건(Jeremy Hogan)이 유튜브 영상을 통해 "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소송에서 리플이 승소할 확률은 50.12%, SEC가 승소할 확률은 29.98%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사건과 관련된 법률 문서 등을 검토한 결과, XRP 매수자에게 마치 증권처럼 별도의 법적 의무가 발생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승소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즉, 투자 행위가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에 투자 계약이라는 개념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 다만 법원이 리플이 자신들의 비즈니스를 위해 XRP를 판매했다는 점을 인정했을 때는 SEC가 승소할 수 있다. 아울러 법원이 이번 사건을 무승부로 결정할 가능성은 19.1%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0.63% 내린 0.387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中 네이멍구 경찰, 암호화폐로 $17억 돈세탁한 일당 적발]

외신에 따르면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 경찰이 암호화폐를 통해 약 120억 위안(17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세탁한 일당 63명을 적발했다. 경찰은 한 은행의 자금 흐름을 수상하게 여겨 3개월 간 이들을 추적했다. 경찰은 이번 수사에 약 230명을 투입했으며 현재 방콕으로 도주한 주요 용의자를 추적하고 있다.

[아케인리서치 "BTC 기대 수익률 2~10% 수준...투자자, 신중히 움직여야"]

블록웍스에 따르면 아케인 리서치 애널리스트 Vetle Lunde가 최근 시장 전망 보고서를 통해 "FTX 사태의 여파가 당초 예상보다 오래 갈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당분간 활동을 줄이는 것이 좋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지금 상황에서는 일정 금액으로 BTC를 정기 매수하는 '달러 비용 평균화 전략'을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BTC 기대 수익률이 FTX 사태로 인한 리스크를 상회할 정도로 높지가 않다. 현재 기대 수익률은 약 2~10% 수준이다. 물론 골드만 삭스가 암호화폐 기업 인수 등에 수천만 달러를 투입한다고 밝혔지만, 이는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뒤에야 시장에 반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블랙스완 저자 "경험 부족 투자자, 유토피아적 환상 갖고 암호화폐 시장 진입"]

유투데이에 따르면 미국의 유명 수필가 겸 경제학자이자 베스트셀러 블랙스완(Black Swan)의 저자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Nassim Nicholas Taleb)가 "투자 경험이 부족한 사람들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계속해서 진입하는 이유는 바로 생존편향(survivorship bias)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암호화폐 등 새로운 기술을 처음 접할 때 사람들은 유토피아적 경향성을 갖게 된다. 이는 어떤 것을 접하거나 사건을 겪을 때 부정적인 요소는 고려하지 않고 긍정적이고 주관적으로 바라보는 생존편향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앞서 그는 지난 6월 "지금은 암호화폐 겨울 아닌 빙하기이며 앞으로 봄은 오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

[1인치 "이달 말 2.2억 1INCH 언락 아냐...내년 1월 예정"]

탈중앙화 거래소(DEX) 애그리게이터 1인치(1INCH)가 트위터를 통해 "TokenUnlocks에 표기된 것과 달리 222,187,500 1INCH 언락 일정은 이달 말이 아닌 내년 1월"이라고 밝혔다. 앞서 우블록체인은 지난 5일 TokenUnlocks를 인용, 12월 30일 해당 물량이 언락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총 공급량의 14.813%로, 달러로 환산하면 $1.12억 상당이다.

[피터 시프 "맥스 카이저, BTC는 투자 자산 주장...투기와 구분 못해"]

대표적인 암호화폐 회의론자이자 금 강세론자인 피터시프 유로 퍼시픽 캐피털 CEO가 트위터를 통해 "월스트리트 금융 평론가 맥스 카이저(Max Keizer)는 BTC 보유 기간이 4년 미만이면서 손실에 대해 불평하는 사람은 투자와 투기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맥스 카이저 역시 그 둘의 차이를 이해하지 못한다. BTC는 투자 자산이었던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언제나 투기였다"고 밝혔다.

[캐시우드 "FTX 붕괴로 탈중앙화 금융 더 각광 받을 것"]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캐시 우드 아크 인베스트먼트 창업자가 야후파이낸스와의 인터뷰에서 "FTX 붕괴로 인해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네트워크가 더욱 각광받게 될 것이며 여러 지표들은 그들이 이미 강해지고 있음을 가리키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FTX 사태의 교훈은 디파이 네트워크가 앞으로 금융 시스템에서 얼마나 더 중요한 역할을 맡게 될 것인지 고민하게 했다는 점이다. 이번 사건이 발생했을 때도 디파이 이용자들은 별다른 문제 없이 각자의 포지션을 정리할 수 있었다. FTX에 영향을 받은 많은 기업들이 문을 닫게 됐지만, 적어도 디파이는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외신 "중앙화 거래소 현물 거래량 급감, 선물 거래는 상위권 거래소 편중"]

유력 암호화폐 미디어 우블록체인이 자체 조사 결과 지난달 중앙화 거래소의 현물 거래량이 급격히 감소했으며 선물 거래는 상위 거래소에 편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11월 기준 주요 거래소별 현물 거래량 증감 추이를 살펴보면 코인베이스와 후오비가 각각 26%, 15% 증가했다. 반면 페멕스(Phemex)는 -78%, 비트마트(BitMart)는 -64%, 쿠코인(Kucoin)은 -63% 줄었다. 선물 거래량은 바이낸스가 21%, 비트겟(Bitget)이 20% OKX가 15% 늘었다. 바이비트는 -22%, 게이트(Gate)는 -34% 줄었다. 또 중앙화 거래소에 트래픽이 가장 많이 유입된 국가는 러시아, 미국, 일본으로 조사됐다.

[러시아 중앙은행 "암호화폐 합법화 법안 지지...국내 유통엔 신중해야"]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러시아 중앙은행(CBR)이 암호화폐 채굴 합법화 법안을 원칙적으로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CBR은 "암호화폐 채굴 합법화는 동의하지만 채굴된 암호화폐를 해외에서만 판매하거나 국내에서는 엄격한 규제 내에서만 거래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 11월 러시아 하원 의원들이 암호화폐 채굴을 합법화하고 승인된 기관을 통해 발행된 디지털자산 판매를 허용할 것을 골자로 한 디지털자산 법률 개정안을 국가두마(하원)에 제출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해당 법안은 아직 두마, 중앙은행 승인을 받지 않은 상태다.

[보고서 "미국 내 암호화폐 친화 도시 1위는 플로리다"]

코인텔레그래프가 암호화폐 투자정보 플랫폼 인베즈(invezz)의 보고서를 인용해 미국 내에서 플로리다가 암호화폐 채택에 가장 앞서는 것으로 평가됐다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미국 각 주의 BTC ATM 수, 블록체인 기업 수, 대중 관심도, 세금 등을 평가한 결과, 플로리다는 10점 만점에서 9.35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텍사스와 일리노이가 각각 8.71점 8.03점으로 뒤를 이었다. 아울러 버몬트는 미국에서 BTC ATM이 단 1개도 없는 유일한 도시로 조사됐고, 텍사스는 4,101개로 가장 많았다"고 설명했다.

[바이비트, 준비금 증명 웹사이트 오픈]

두바이 소재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비트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준비금 증명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웹사이트를 오픈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용자들은 해당 웹사이트에서 바이비트 자산 잔액, 월렛 주소의 잔액 및 소유권, 지급 준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바이비트는 조만간 월렛 소유권도 확인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아프리카 결제 업체 치퍼캐시, FTX 자금 조달 뒤 기업가치 하락]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FTX가 주도한 투자 라운드에서 1억 5000만 달러를 조달했던 아프리카 국가간 결제 스타트업 치퍼캐시(Chipper Cash)가 FTX로부터 추가 자금을 조달한 뒤 기업가치가 절반 가까이 줄었다. 미디어는 "과거 기업가치 20억 달러로 평가받았던 치퍼캐시는 최근 자금 조달에서는 12.5억 달러로 평가됐다. 또 치퍼캐시는 최근 직원 50여명을 해고한 것으로도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유명 트레이더 "BTC, 15,000 달러 아래로 한 번 더 급락 가능성 높아"]

데일리호들에 따르면, 12.3만 명의 유튜브 구독자를 보유한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겸 트레이더 톤 베이스(Tone Vays)가 최근 자신의 채널에서 "비트코인이 의미 있는 상승 랠리를 시작하기 전 15,000 달러 아래 가격대까지 한 번 더 급락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 그는 "지난달 BTC는 최근 2년 최저점을 기록한 뒤 해당 가격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너무 오래 머물러 있었다. 이는 어떠한 자산의 가격이 바닥을 칠 때의 전형적인 패턴이다. 시장에 바닥이 나오면 완벽한 바닥을 매수할 시간은 단 몇 시간밖에 없다. 만약 15,000 달러 이하로 BTC가 떨어지면 이는 바닥 매수의 기회"라고 설명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1. 바이낸스 (BTC-USDT, 시장 점유율 25.91%)

롱 49.82% | 숏 50.18%

2. 비트겟 (BTC-USDT, 시장 점유율 15.21%)

롱 50.37% | 숏 49.63%

3. 바이비트 (BTC-USDT, 시장 점유율 14.29%)

롱 49.76% | 숏 50.73%

[리플·SEC, 약식재판 자료 봉인 요청 기한 내년 1월 4일까지 연기 합의]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더크립토베이직에 따르면, 리플(XRP)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진행 중인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에서 법원에 제출한 약식재판 자료의 봉인(비공개)을 요청할 수 있는 마감 기한을 내년 1월 4일까지로 연기하는 데 합의했다. 양측은 전날 법원에 이러한 내용의 서한을 전달했으며, 약식재판 자료의 봉인 여부는 소송 당사자가 아닌 사람들이 판단해달라고 요청했다. 또 해당 서한에서 양측은 서로의 모션(판사에게 무언가를 공식으로 요청하는 절차)에 대한 이의신청 기한은 1월 18일까지 연장해달라고 법원에 요청했다.

[3AC 공동 창업자 "SBF, 수년간 더블록 장악...기사 편집 방향까지 지시"]

파산한 암호화폐 헤지펀드 쓰리애로우캐피털(3AC)의 공동 창업자 쑤주(Su Zhu)가 10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유력 암호화폐 미디어 더블록의 최고경영자(CEO)가 샘 뱅크먼 프리드(SBF)로부터 거액의 뇌물을 받은 것이 밝혀졌다. SBF는 사실상 수년간 더블록을 장악하고 소유했다. 심지어 그는 더블록의 보도, 편집 방향까지 지시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렇게까지 악행이 밝혀졌는데 새로운 FTT(FTX 거래소 토큰) 발행을 지지하거나, FTX가 LUNA-UST 공격을 주도했더라도 실패했을 것이라고 믿거나, 더블록의 보도가 편파적이었다고 볼 수는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참 아이러니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FTX 파산 이후 쑤주 3AC 공동 창업자는 자신의 SNS를 통해 "FTX와 알라메다가 서로 결탁해 3AC를 고의로 파산시켰다"고 주장하고 있다.

[바이낸스 CEO "준비금 증명 작업, 적지 않은 비용 들어간다"]

자오창펑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가 방금 전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준비금 증명 작업은 저렴하지 않다. 하지만 이는 바이낸스 뿐만 아니라 전체 네트워크를 위한 작업"이라고 말했다. 앞서 우블록체인은 "지난밤 이더리움 가스 수수료 급등은 바이낸스 준비금 증명 작업 중 대규모 자산 이체의 영향"이라고 분석한 바 있다.

[아르헨티나 정부, 국가 차원 블록체인 도입 전략 연구 조직 신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정부가 최근 국가 차원의 블록체인 도입 전략을 연구 및 수립하기 위해 전담 조직 '국가 블록체인 위원회'를 신설했다. 위원회는 향후 아르헨티나의 블록체인 기술의 중요성을 연구하고, 향후 정부가 블록체인을 도입하면 얻어낼 수 있는 이익, 사용 사례 등을 제시할 계획이다.

[데이터 "지난밤 이더리움 가스 수수료 급등, 바이낸스 내부 자산 이체 영향"]

이더리움(ETH) 네트워크 관련 데이터 플랫폼 울트라사운드머니에 따르면, 지난밤 이더리움 가스 수수료(트랜잭션 수수료)가 최고 233.67 Gwei까지 급등했다. 이와 관련 우블록체인은 "바이낸스가 준비금 증명 작업을 진행하며 수많은 입금 주소에서 '바이낸스14' 핫월렛으로 암호화폐를 옮겼다. 이러한 작업의 영향으로 이더리움 네트워크 가스 수수료가 급등했으며, 바이낸스는 BTC 준비금 증명 작업을 완료하고 이제 ETH 준비금 증명 작업에 돌입했다"고 설명했다.

[실버게이트, 집단소송 피소…FTX 관련 자금세탁 혐의]

크립토 뱅크 실버게이트가 투자자들로부터 피소됐다고 비즈니스와이어가 전했다. 원고 측 변호를 맡은 로펌 커비 맥이너니(Kirby McInerney)가 캘리포니아 남부지방법원에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실버게이트가 남미 소재 자금세탁업체에 4.25억달러를 이체한 혐의다. 해당 이체가 FTX와 관련 있다는 게 원고 측 주장이다. 앞서 엘리자베스 워렌 등 일부 상원의원은 실버게이트에 보낸 서한에서 “샘 뱅크먼 프리드 FTC 전 CEO가 '위험한 베팅'을 위해 100억 달러 규모의 고객 자금을 실버게이트를 통해 알라메다 리서치로 이체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며 해명을 요구했다. 실버게이트는 오는 12월 19일(현지시간)까지 해당 서한에 대한 답변서를 제출해야 한다.

[아르고 블록체인, 12/12 파산 신청 가능성]

비트코인 채굴업체 아르고 블록체인이 12월 12일(현지시간) 파산 신청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크립트슬레이트가 전했다. 이 소식은 암호화폐 채굴 장비 판매 및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패스마이닝 콘텐츠 담당 윌 폭슬리(Will Foxley)가 처음 공개했다. 폭슬리는 트위터에서 “12일 파산 신청을 할 것이라는 내용이 담긴 문서를 아르고 블록체인으로부터 전달받았다. 우연히 포함된 것 같다”고 밝혔다. 앞서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아르고 블록체인의 주식 거래가 영국 금융감독청(FCA)에 의해 일시 중단된 바 있다.

[미 검찰, FTX 바하마 수억달러 이체 정황 수사]

미 검찰이 FTX 파산 신청 당시 수억달러가 바하마로 부적절하게 이체됐는지 관해 수사 중이라고 블룸버그가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이는 FTX 고객 자금 추적의 일환이다. 소식통은 “법무부는 FTX가 고객 자산을 어떻게 처리했는지 대한 전면 수사에 착수했으며, 이번주 법원이 임명한 FTX 감독관을 만나 증거 확보에 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또한 당국은 FTX가 알라메다리서치로 자금을 위법하게 이체했는지 여부도 조사 중이다.

[미 하원의원 "SEC 위원장, 의회 출석해 규제 실패 해명해야”]

친암호화폐 성향의 미국 하원의원 톰 에머(공화당)가 트위터를 통해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수차례 의회 출석을 회피해 투자자들을 희생시켰다. 그는 2021년 10월 5일(현지시간) 이후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우리는 언론을 통해서야 SEC가 FTX 등 암호화폐 분야에 대해 조사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겐슬러 위원장은 의회에 나와 증언하고 자신의 규제 실패에 대한 질문에 답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랜 노이너 “새 FTT 토큰 발행 제안, SBF 발언권 없어”]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설립자가 CNBC 크립토 트레이더 랜 노이너의 새 FTT 토큰 발행 제안에 대해 "당사자들이 시도해볼만한 생산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관련) 팀들이 이렇게 해주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한 뒤 FTT 가격이 급등하자 랜 노이너가 “나는 새로운 토큰이 예금자/채권자만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SBF는 여기에 전혀 발언권이 없다. 누가 FTT를 사겠는가”라고 대응했다. 앞서 랜 노이너가 “FTX 거래소가 새 FTT 토큰을 발행해 채권자/예치자에게 분배하고 토큰 홀더에게 수익의 100%를 나눠주면, 세계 최대 거래소가 될 것"이라고 트윗한 데 대해 SBF가 지지를 표명한 뒤 FTT 가격이 47% 급등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 CEO “USDC, 미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로서 역할 기대”]

코인베이스 최고경영자(CEO)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이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규제가 USDC 사용을 확대시킬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규제 명확성이 확보되면 규제를 준수하는 일부 스테이블코인이 모범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USDC는 미국에서 사실상 중앙은행 디지털화폐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코인베이스가 USDT→USDC 전환 수수료를 면제하기로 한 것과 관련 테더가 “이는 정직한 경쟁이 아니다”라고 지적한 데 대해 암스트롱 CEO는 “서클과 함께 USDC를 공동으로 만들었고 그 성장을 보는 데 경제적 관심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USDC를 사용하도록 장려하고 싶었던 것”이라고 대응했다.

[바하마 당국, 미 파산법원에 FTX 고객 정보 접근 권한 요청]

바하마 규제 당국이 미 델라웨어 파산 법원에 FTX 고객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을 요청하는 긴급 신청서를 제출했다고 CNBC가 보도했다. 바하마 당국은 “FTX는 아마존웹서비스, 구글클라우드 포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FTX 해외 고객 정보를 얻기 위한 우리의 노력을 방해했다”며 “이는 청산인들이 바하마 현지법에 따라 마땅히 해야할 의무를 수행하지 못하도록 했다”고 주장했다. 앞서 바하마 증권위원회는 고객과 채권자 이익 보호를 위해 FTX 디지털 마켓 내 모든 암호화폐를 위원회가 관리하는 디지털 지갑으로 이전하도록 지시한 바 있다.

[FTX 전 CEO 대상 집단소송 취하]

지난달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전 최고경영자를 대상으로 제기된 집단소송이 취하됐다고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원고측 변호를 맡은 에드윈 개리슨(Edwin Garrison)은 플로리다 남부 지방법원에 소송 취하 관련 서류를 제출했다. 취하 사유에 대해선 아직 알려진 게 없다. 앞서 일부 FTX 투자자들은 “SBF가 수익률 계좌 형태의 미등록 증권 판매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미국 투자자들은 FTX 사기 행위로 110억 달러 이상의 손해를 입었다”고 주장하며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소송 피고인에 SBF와 함께 미국프로풋볼리그(NFL) 최고의 쿼터백으로 불리는 톰 브래디(Tom Brady)와 테니스 선수 나오미 오사카(Naomi Osaka), 유명 모델 지젤 번천(Gisele Bündchen) 등도 포함됐었다.

[블룸버그·WSJ 등 유명 외신, FTX 채권자 공개 소송 제기]

블룸버그, 파이낸셜타임스, 월스트리트저널, 뉴욕타임즈 등 유명 외신들이 FTX 채권자 공개 소송을 제기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이들은 10만명에 가까운 채권자들, 이중에서도 특히 상위 50명의 채권자 명단 공개를 요구하고 있다. FTX는 상위 50명 채권자들에게 30억달러 이상 채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미 법원은 FTX 파산 신청과 관련, 채권자 명단을 비공개하기로 판결한 바 있다.

[알고리즘 트레이딩 회사 XTX마켓츠, 암호화폐 시장 진출]

알고리즘 트레이딩 회사 XTX마켓츠가 암호화폐 시장에 이미 진출한 상태라고 블룸버그가 전했다. 한 소식통은 XTX마켓츠가 이미 수개월 전부터 암호화폐 거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알렉스 저코(Alex Gerko) XTX마켓츠 CEO는 금요일(현지시간) 트위터에서 “지난 10월 시작한 암호화폐 관련 채용 포지션 4개 중 1개를 채웠다”고 밝히기도 했다. 7년 전 설립된 XTX마켓츠는 주식, 상품, 채권, 화폐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대한 알고리즘 트레이딩을 진행하며 일일 거래량은 약 3000억달러다.

[미 대법원, 코인베이스 관련 소송 두 건 중재 요청 승인]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9일(현지시간) 미국 대법원이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중재 요청을 받아들였다. 해당 소송에서 원고는 코인베이스가 도난으로부터 자금을 보호하지 못했으며, 도지코인 경품 이벤트를 기만적으로 마케팅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이에 대법원은 "거래소 고객의 개인중재(Private Arbitration)에 속한다"며 두 건의 소송 중단을 승인했다.

[마이클 세일러 "SBF, 더블록 CEO 비밀리 자금 지원... 빙산의 일각"]

더블록 CEO가 지난 2년 동안 알라메다로부터 비밀리에 자금적 지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마이클 세일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공동 창업자가 "샘 뱅크먼 프리드(SBF) FTX 전 최고경영자(CEO)가 훔친 돈과 위조지폐로 BTC를 훼손했다"고 비난했다. 그는 "SBF가 기득권층을 부패시키고 비트코인을 훼손했다. 이것은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그가 얼마나 많은 언론인, 학자, 머니 매니저, 정치인, 자선단체, 인플루언서, 로비스트를 부패시키고 협력했을까?"라고 덧붙였다.

[미 로펌 "유가랩스·문페이 등에 연예인 NFT 후원 관련 집단소송 제기"]

더블록에 따르면 캘리포니아 로펌인 스캇앤스캇(Scott+Scott)이 유가랩스(Yuga Labs), 문페이(MoonPay) 등 약 40명의 개인 및 기업을 대상으로 연예인 NFT 후원 관련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스캇앤스캇 측은 "이들 기업 및 개인이 NFT 홍보 및 판매를 위해 음악가, 운동선수, 유명인 등 네트워크를 활용했다. 이를 통해 BAYC NFT에 대한 관심 및 가격이 인위적으로 상승했다. 이들은 투자자들이 엄청나게 부풀려진 가격으로 거래하도록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앞서 스캇앤스캇은 유가랩스의 연방 증권법 위반 여부와 관련해 손실을 입은 피해자를 모아 소송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10년 전 기존 금융에 블록체인 도입' 심비온트, 챕터11 파산 신청]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약 10년 전 기존 금융의 블록체인 도입을 모색한 핀테크 기업 심비온트(Symbiont.io)가 지난 1일(현지시간) 챕터11 파산을 신청했다. 미국 파산 법원에 제출된 서류에 따르면 자산 및 부채는 100~1000만 달러 사이다. 해당 기업은 2013년 금융 기관의 블록체인 활용을 위해 설립됐다. 이후 뱅가드(Vanguard) 등 대형 기관과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와 블록체인 관련 파잉럿 테스트를 진행하기도 했다. 미디어는 "암호화폐의 잔인한 약세장 속에서 파산을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거래소·CEO 비난' 트윗 게재 이용자 계정 정지]

바이낸스가 트위터에 거래소 및 CEO 자오창펑에 대한 비난 글을 올린 이용자 계정을 정지시켰다. 코인맘바(CoinMamba)라는 트위터 네임을 사용하는 한 이용자는 쓰리콤마스(3Commas) API 키 유출로 인해 일부 자금을 도난 당한 후 "바이낸스의 도움을 받지 못했다. 거래소 정보 유출로 공격자가 사용자 자금을 훔칠 수 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하는 트윗을 게재했다. 이에 바이낸스는 해당 이용자가 기업 고객서비스팀에 위협을 가했다며 "계정을 정지한다. 3일 안에 자금을 인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비트위너스-돌체앤가바나, 12/13 NFT 드립 컬렉션 출시]

외신에 따르면 인비트위너스(inbetweeners), 돌체앤가바나(Dolce&Gabbana) 및 UNXD가 새로운 NFT 드립 컬렉션을 출시한다. 컬렉션은 오픈씨에서 출시됐으며, 21개의 돌체앤가바나 제품을 착용한 2000마리의 디지털 곰으로 구성돼 있다. 보유자는 해당 NFT와 동일한 제품의 돌체앤가바나 의류 인쇄물을 제공받게 된다. 해당 컬렉션은 12월 13일(현지시간) 출시될 예정이다.

[피겨SPAC, 비상장 은행과 합병 의향서... 블록체인 솔루션 출시 계획]

레저인사이트에 따르면 피겨 어퀴지션(Figure Acquisition Corp 1)가 익명의 비상장 은행과 구속력 없는 합병 의향서를 체결했다. 피겨 SPAC의 시총은 4.12억 달러로, 블록체인 스타트업인 피겨 테크놀로지(Figure Technologies) 산하 기업이다. 합병 후 이들 기업은 블록체인 솔루션을 출시할 계획이다. 은행은 30~50억 달러 규모의 비상장 은행으로, 이밖에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7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7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mini

2022.12.12 13:45:07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구리구리

2022.12.12 11:32:2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우스코인

2022.12.12 10:27:54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ultra

2022.12.12 09:49:3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jbm장미

2022.12.12 09:26:12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검은구월단

2022.12.12 08:36:4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마우스

2022.12.12 08:32:3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