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알파쿼크, 백서 4.0 공개...내년 1분기 P2P NFT 담보 대출 프로토콜 출시 外

프로필
정석규 기자
댓글 12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알파쿼크 토큰(AQT) / 셔터스톡

사진 = 알파쿼크 토큰(AQT) / 셔터스톡

[알파쿼크, 백서 4.0 공개...내년 1분기 P2P NFT 담보 대출 프로토콜 출시]

글로벌 NFT 프로젝트 알파쿼크(AQT)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백서 버전 4.0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한 백서에서 알파쿼크는 내년 1분기 멀티체인 P2P NFT 담보 대출 프로토콜을 출시하고 2분기 NFT 대여 서비스 출시, 3분기 소울바운드토큰(SBT) 및 거버넌스 강화를 통한 커뮤니티 활성화 등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AQT는 현재 5.59% 오른 0.769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22일 '디지털자산법' 정무위 소위 열린다…與는 불참할 듯]

국회 정무위원회는 22일 야당 단독으로 법안심사제1소위원회를 열고 '디지털자산법' 등 법안 심사를 재개할 것으로 보인다. 정무위 더불어민주당 간사이자 법안1소위원장인 김종민 의원은 21일 본지와의 통화에서 "(국민의힘에서 법안소위를) 안 하려고 그래서 합의는 안 됐지만 지금 법안 소위를 너무 안 하고 있다"며 "어쩔 수 없이 그냥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여당의 반대에도 소위원장으로서 직권으로 회의를 개최할 것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 위원들은 불참할 것으로 보인다. 김 의원은 "(국민의힘 위원들은) 안 올 것 같다"고 말했다. 22일 소위에서는 파행으로 논의가 미뤄진 '디지털자산법'을 중점적으로 다룰 것으로 보인다.

[포르쉐, 포르쉐911 테마 NFT 화이트리스트 등록 시작]

독일 자동차 회사 포르쉐가 트위터를 통해 포르쉐911을 테마로 한 NFT 화이트리스트 등록을 시작했다고 오늘 새벽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용자는 포르쉐 NFT 플랫폼에 등록하면 된다. 민팅은 1월 23일(현지시간) 진행되며 총 7500개가 민팅된다. 민팅 가격은 아직 공개하지 않았다. 앞서 포르쉐는 이더리움 관련 기호를 활용한 트위터 계정 'PORSCHΞ(@eth_porsche)'를 개설한 바 있다.

[니어 재단 "3Q 말 트레저리에 3.58억NEAR 및 $4.5억 보유"]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니어(NEAR) 재단이 발표한 3분기 투명성 보고서에 따르면 니어 계정 수는 전분기 말 1560만개에서 3분기 말 2060만개로 증가했다. 주간 활성 지갑 수는 2.6만개에서 28만개로 10배가량 증가했다. 3분기 말 NEAR 총 공급량은 11억개로 전분기 대비 1400만개 늘었다. 유통량도 락업해제로 인해 740만개에서 798만개로 증가했다. NEAR 총 공급량의 67%는 프로젝트, 파트너, 후원자, 기여자 등에 배포된 상태이며 42%인 4.65억 NEAR는 스테이킹돼 있다. 3분기 말 니어재단은 트레저리에 4.5억달러, 3.58억 NEAR를 보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올해 가상화폐 세금으로 191억 원 걷어]

인도네시아 정부가 올해 처음 도입한 가상화폐와 관련한 세금으로 약 200억 원을 징수했다고 밝혔다. 21일(현지시간) 안타라 통신에 따르면 스리 물랴니 인도네시아 재무장관은 전날 화상으로 진행된 기자 간담회에서 올해 6월부터 가상화폐 세금을 징수하기 시작했다며 지금까지 총 2천317억 5천만 루피아(약 192억 원)가 걷혔다고 밝혔다. 가상화폐 소득세가 1천104억4천만 루피아(약 91억 원)였고 가상화폐 거래에 대한 부가가치세가 1천213억1천만 루피아(약 100억 원)였다. 스리 물랴니 장관은 "암호화폐 과세가 내년에도 계속돼 정부의 재정에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지난해 가상화폐 거래가 급증하자 과세 방안을 검토했고, 올해 5월 가상화폐 세제를 도입, 6월부터 실제 징수에 들어갔다.

[제미니 채권단, 제네시스 유동성 문제 해결 방안 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제미니 창업자 카메론 윙클보스가 "제미니 등 제네시스 채권단은 디지털커런시그룹(DCG)에 유동성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채권단은 이번 주말까지 제네시스와 DCG로부터 이에 대한 의견을 청취할 전망이다. 제미니는 지난해 2월 제네시스와의 파트너십으로 고객에게 최대 7.4% 이자를 제공하는 '제미니 언' 서비스를 출시했으며, 11월 FTX 파산 여파로 제네시스 인출이 중단되는 과정에서 제미니 언 자금이 동결된 바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제네시스의 부채는 제미니 채권단에 9억 달러, 기타 채권단에 9억 달러다.

[블룸버그 "오크트리 등 투자사, FTX 부실채권 매입 관심"]

바우포스트그룹, 오크트리 캐피털 매니지먼트 등 투자사, 사모펀드들이 FTX 부실채권 매입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익명 소식통을 인용해 전했다. 또한 소식통은 시티그룹, 코웬, 시포트 글로벌 홀딩스가 이 과정에서 중재 역할을 시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제프리 파이낸셜그룹 부실채권시장 글로벌 총괄 조 페메니아도 "부실채권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들이 FTX 채권자 클레임에 관심을 보인다"고 말했다. FTX 채권자 클레임 중개업체 파크워크의 관리 파트너 제이 콘클린도 "앞으로 여러 '빅딜'이 있을 거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지금까지 채권자 클레임 거래는 비교적 적고, 달러당 5~13센트로 가치도 매우 낮은 수준이다. 한편, 바우포스트그룹, 오크트리, 시티그룹 등은 블룸버그의 논평 요청을 거부한 상태다.

[CNBC "대형 BTC 채굴업체 코어사이언티픽, 오늘 중 챕터11 파산 신청"]

CNBC가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대형 비트코인 채굴 업체로 꼽히는 나스닥 상장 미국 암호화폐 채굴 업체 코어사이언티픽(NASDAQ: CORZ)이 21일(현지시간) 텍사스주 법원에 챕터11 파산보호를 신청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CNBC는 "코어사이언티픽은 암호화폐 약세장 지속으로 자금난에 빠져 파산 보호 절차에 들어갈 전망이다. 여전히 긍정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있지만, 장비 임대를 위해 받은 부채를 감당하긴 충분치 않다. 따라서 파산 보호 절차 진행 기간 코어사이언티픽은 암호화폐 채굴을 계속하며 채권자들에게 빚을 갚아 나갈 것"이라고설명했다. 챕터11 파산은 회생파산으로 남은 자산을 채권자에게 분배하고 회사를 청산하는 청산파산(챕터 7)과 달리 기업의 회생에 목적을 두고 진행하는 미국의 파산 절차다.

[페이코인-전북은행 협상…"끝까지 알 수 없어"]

뉴시스에 따르면, 지난 20일 페이코인이 전북은행과 실명계좌 협상 막바지에 있다는 보도에 대해 금융당국과 은행업계는 "끝까지 알 수 없다"는 보수적인 입장을 밝혔다. 특히 앞서 고팍스도 전북은행과의 실명계좌 협상이 막판까지 진행됐다가 마감 당일날 엎어진 바 있어 "아직 안심할 수 없다"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국내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 A씨는 "고팍스는 당시 전북은행의 의사회 의결까지 마친 상태에서 실명계좌 발급 확인서 제출 마감날 무산됐다"며 "그것만 보더라도 페이코인과 전북은행의 협상 결과는 끝까지 알 수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당 보도 이후 전북은행 관계자는 페이코인과 실명계좌 협상 진행에 대해 "전혀 사실무근"이라며 "신중한 검토 중이라는 내용은 일방적인 주장일 뿐"이라고 선을 긋기도 했다. 앞서 페이코인은 금융위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의 요구에 따라 지난 5월 '가상자산 거래업자'로 변경 신고서를 제출했다.

[애니모카브랜드, 레이어제로와 해커하우스 프로그램 출범]

블록체인 및 NFT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가 크로스체인 메시징 프로토콜 레이어제로(LayerZero)와 해커하우스 프로그램(LayerZero-Animoca Brands Hackerhouse)을 출범했다고 21일 밝혔다. 해커하우스는 매년 주요 도시에서 행사를 조직하며 글로벌 이니셔티브로, 개발자, 프로젝트 및 기업 등을 모아 크로스체인 표준의 기술적 경계를 넓히는 개념 증명을 진행한다.

[NFT 개발사 유토피아그룹, 1000만 유로 투자 유치]

크립토뉴스닷컴에 따르면 NFT 개발사 유토피아그룹이 첫 NFT 시리즈인 유토피아 아바타(Utopia Avatars) 출시를 위해 1,000만 유로(약 136억원) 규모의 투자금을 조달했다고 밝혔다. 유토피아그룹의 이번 투자 라운드는 아스테리우스 VC(Asterius VC)가 주도했으며, 랜디 주커버그(Randi Zuckerberg), 페페 바스톤(Pepe Bastón), 디팍 초프라(Deepak Chopra), 마하 아부엘레네노 후다 카탄(Maha Abouelenein o Huda Kattan)등 유명인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토피아 아바타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총 9,922개 NFT가 민팅된다.

[컴파운드형 디파이 모델, 폰지 구조 아냐]

폰지사기는 확정된 높은 수익을 보장하고, 후속 투자자들의 돈으로 초기 투자자들에게 이자를 지급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대다수 디파이 플랫폼은 컴파운드(COMP) 프로토콜의 모델에서 파생되고 있다. 컴파운드는 프로토콜에 자산을 예치한 사용자에게 COMP 토큰으로 이자를 지급하고, 토큰 가격이 올랐을 땐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가 형성될 수 있지만 반대의 경우도 역시 존재한다. 따라서 높은 수익이 보장되지 않는다. 그리고 규모가 크진 않지만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로서의 자체 수익 구조가 존재하기 때문에 후속 투자자들의 돈만으로 앞선 투자자들의 이자를 지급하지도 않는다. 이와 같은 점에서 미뤄볼 때 컴파운드 모델은 확실히 폰지구조가 아니다.

[블록체인닷컴 CEO "온체인 분석, FTX 도난 자금 추적에 중요한 역할"]

암호화폐 플랫폼 블록체인닷컴의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피터 스미스가 20일(현지시간)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온체인 분석이 한계가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도난당한 자금을 추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온체인 추적 작업이 끝나는 지점은 결국 도난 자금이 블록체인에서 은행을 통해 현금화됐을 때"라며 "하지만 만약 FTX 도난 암호화폐가 아직 블록체인에 남아있다면 온체인 분석은 청산인에게 엄청난 도움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암호화폐 업체, 올 하반기 스포츠 분야 스폰서십 건수 반토막]

블룸버그에 따르면 올 하반기 암호화폐 업체의 스포츠 분야 스폰서십 체결 건수가 상반기 대비 50% 이상 감소했다. 최근 앰버그룹은 영국 프리미어리그 3위팀 첼시FC(Chelsea FC)와의 스폰서십을 종료했으며 디지털비트도 이탈리아 축구팀 인터밀란와의 스폰서십을 유지하지 못하게 됐다.

[위메이드, '위믹스' 유통계획 발표…"글로벌 스탠다드 따라 유통량 산정"]

아시아경제에 따르면 위메이드의 암호화폐 위믹스가 성장 가능성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유통 계획을 21일 공개했다. 위믹스 코인의 유통량은 총발행량에서 유통되지 않은 미유통량을 제외한 물량을 기준으로 하고, 총발행량은 누적 발행량에서 소각 물량을 제외한 전체 물량으로 정의했다. 미유통량은 락업물량과 NCP(노드 카운슬 파트너) 스테이킹 물량을 포함한다. 락업물량은 재단과 재단 이외의 락업물량의 총합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재단 외 락업물량은 위메이드와 써드파티의 락업물량이다. 위믹스 재단의 보유물량을 전부 다시 락업하고, 2023년 1월부터 5년간 선형 균등 공급을 통해 추가로 유통할 계획이다. 위메이드가 보유한 위믹스는 2023년 1월부터 3년간의 락업으로 유통되지 않고, 락업 종료 시점인 2026년 1월에 별도의 유통지갑으로 이동한다. 또한 현재 진행 중인 기업형 커스터디 서비스의 통합이 완료되면 미유통 상태의 위믹스 전량이 커스터디 지갑으로 이동하게 된다.

[오브스, 내년 톤 블록체인에 ORBS 전송 지원 예정]

오브스(ORBS)가 내년 1월 론칭 예정인 톤(The Open Network, TON) 기반 DEX 메가톤 파이낸스의 론칭 파트너가 됐다고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이에 따라 ORBS를 톤 블록체인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되며 곧 유동성풀, 스왑 기능도 추가할 예정이다. 또한 오브스는 오르빗 브릿지에서 ORBS를 지원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리플·SEC, 법원에 전문가 증언 배제 신청 제출 기한 연장 신청]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의 '미등록 증권 판매' 소송을 지속적으로 추적해온 미국 연방 검사 출신 변호사 제임스 K. 필란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리플과 SEC가 담당 지방판사 아날리사 토레스(Analisa Torres)에게 전문가 증언 배제 신청(Daubert Motions) 기한을 1월 13일까지 연장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관련 리플과 SEC 측은 "휴일과 변호인단의 일정 조율 문제로 기한 연장을 신청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인도 중앙은행 총재 "암호화폐, 근본 가치 부재...다음 금융위기 야기할 수도"]

인도 중앙은행 총재 샤크티칸타 다스(Shaktikanta Das)가 비즈니스스탠다드가 주최한 BFSI 인사이트 서밋에서 "암호화폐는 근본적인 가치가 없으며 거시경제 및 금융 안정성에 위험을 초래한다"며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만약 성장하도록 둔다면 다음 금융위기는 민간 암호화폐에서 비롯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는 미래의 화폐"라며 "더 많은 중앙은행이 디지털 통화를 받아들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12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jbm장미

2022.12.22 07:36:53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양주사랑

2022.12.22 05:18:55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블루레인

2022.12.22 01:03:57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랑이

2022.12.21 23:49:47

정보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낙뢰도

2022.12.21 23:32:5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기쁨이

2022.12.21 23:00:5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선우할매

2022.12.21 22:52:2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2.12.21 21:21:22

ㄱ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초롱새롬

2022.12.21 18:25:3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늘봄

2022.12.21 18:19:1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