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카카오, 가상자산 거래소 ‘로그인 오류’ 보상안서 제외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13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카카오, 가상자산 거래소 ‘로그인 오류’ 보상안서 제외]

카카오가 10월 대규모 서비스 장애 기간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발생한 로그인 오류에 대한 보상 계획은 없다고 29일 밝혔다. 카카오는 이날 SK C&C 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먹통 사태’ 피해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카카오는 지원 대상에서 가상자산 거래소 로그인 오류 피해가 빠진 배경에 대해 “개별 피해는 지원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추가 피해 접수를 통해 지원을 검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중국 공산당 관리, BTC 채굴 기업 지원 혐의 유죄 인정]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중국 푸저우시 공산당 서기가 비트코인 채굴 관련 부패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 그는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재임기간 동안 건설 등과 관련한 뇌물로 1.25억 달러를 받은 혐의를 받았으며,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보조금, 자금 지원, 전기세 혜택 등 형태로 암호화폐 채굴 기업을 지원한 혐의를 받고 있다. 중국 CCTV는 해당 인물이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했다고 보도하며 "이러한 행위는 국가 규정에 위배된다. 새로운 분야 개발로 인해 공공재산에 막대한 손실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바이낸스 CEO "올해, 실패와 위기의 해가 아닌 회복을 보여준 해"]

바이낸스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CEO 자오창펑의 편지를 공유했다. 자오창펑은 "셀시우스, 보이저, FTX 등 사태 이후 바이낸스와 암호화폐 산업 전반은 반성해야할 것이 많다"며 "표면적으로는 2022년이 위기와 실패의 해로 보일 수 있지만 바이낸스와 업계는 놀라운 탄력성과 끈기를 보여줬다. 해당 산업은 아직 초기단계에 있다"고 전했다. 이어 "많은 사람들이 FTX 사태를 가리켜 리먼 모멘트라고 말한다. 또한 비트코인 가격 하락이 닷컴 거품 붕괴 당시와 비슷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인터넷과 은행이 지금도 여전히 건재하다는 사실이다"고 덧붙였다.

[FTX 글로벌 고객 그룹, 법원에 개인정보 비공개 요청]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FTX 해외고객 그룹이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 자신의 신원, 연락처 정보 등을 비공개로 유지하는 내용을 법원에 요청했다. 이들은 28일(현지시간) 법원에 요청서를 제출, 개인정보 보호 문제가 공개적이고 투명한 파산절차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능가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고객의 개인정보 공개가 신원도용, 사이버 사기 등 위험에 처하게할 수 있으며 FTX의 가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업계 전문가 "디지털달러, 언젠가 출시된다... 문제는 언제"]

디지털 달러 프로젝트(Digital Dollar Project)의 정책 연구 책임자 마이클 그레코(Michael Greco)가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디지털 달러는 결국 언젠가 출시될 것이다. 문제는 언제"라고 말했다. 그는 "연방준비은행이 CBDC 관련해 의회가 법안을 제정하기를 기다리고 있다. 나는 의회가 내년에 이러한 법을 통과시킬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는다. 다만 2023년 특히 프라이버시와 관련한 대화가 의회에서 진전을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바이낸스, 결제 옵션에 애플페이·구글페이 추가]

바이낸스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결제 옵션에 애플페이 및 구글페이를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이용자는 애플페이, 구글페이 결제 옵션을 이용해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 있다.

[튀르키예 중앙은행, 내년 디지털리라 테스트에 집중]

더블록에 따르면 튀르키예(터키) 중앙은행이 내년에도 디지털 리라(CBDC) 테스트를 계속해 진행할 것이라고 전했다. 중앙은행은 1단계 연구의 일환으로, 디지털 리라 네트워크에서 첫 결제를 성공적으로 처리했다며 "2023년 1분기에도 제한된 폐쇄 회로 파일럿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디지털 리라 협업 플랫폼을 확장해 파일럿 연구를 공개하고 은행 및 금융기술기업을 선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디지털 리라의 경제 및 법적 프레임워크, 기술적 요구사항에 대한 연구가 2023년 우선 순위가 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피터 시프 "BTC, 제로를 향해 가고 있다... 실물 금에 투자하라"]

유투데이에 따르면 대표적인 비트코인 회의론자이자 금 강세론자 피터 시프(Peter Schiff) 유로 퍼시픽 캐피탈 CEO가 최근 인터뷰를 통해 비트코인이 제로(0)로 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암호화폐 투자자는 모든 것을 잃기 전에 자산을 팔고 실물 금에 투자해야 한다. 내가 암호화폐 업계 투자자에게 할 수 있는 조언은 나가라는 것"이라며 "투자자는 인플레이션 헤지 등을 위해 비트코인에 투자하지만 BTC는 가치가 없다. 시장 가격의 3분의 2가 하락했다. 미국 달러의 대안을 찾고 있다면 금이 그러한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을 것이다. 비트코인은 어떠한 요구사항도 충족하지 못한다"고 전했다.

[이더리움 재단 "내년 인출 기능·프로토-댕크샤딩 집중 계획"]

이더리움 재단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2022년 팀별 연구개발 요약 및 전망 보고서를 발표했다. 올해 컨센서스 R&D 팀은 특히 머지(PoS 전환) 및 MEV 부분의 주요 문제 등에 집중했으며, 오는 2023년에는 인출 기능(스테이커가 비콘체인에서 실행 레이어(Execution Layer) 계정으로 잔액을 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 및 EIP-4844(프로토-댕크샤딩(proto-danksharding), 레이어2 수수료 대폭 인하를 위한 첫 번째 단계)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밖에 크립토 연구팀, 커뮤니티 등이 올해 개발 프로젝트 및 업데이트 내용을 보고했다.

[중국정보통신연구원, 블록체인 백서 발표... 1400개 블록체인 기업 중국 기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중국정보통신연구원(CAICT)이 29일 2022 블록체인 백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현재 1400개 이상의 블록체인 기업이 중국에 기반을 두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점유율은 약 52%"라며 "중국 전역에 약 48개 고등 교육 기관이 블록체인 엔지니어링 관련 학위 및 인증을 도입했다"고 전했다. 이어 "블록체인 기술은 통신 요금을 투명하게 공개해주고, 제품 QR코드 스캔을 통해 식품 출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국경 간 결제 플랫폼 상 실시간 정보를 확보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거래소 간의 주문 불규칙성 확인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전 법무부 검사 "디파이 플랫폼, 강력한 사이버 방어 툴 개발 시급"]

TRM 연구소의 법률 및 정부관계 담당자이자 전직 법무부 검사인 아리 레드보드(Ari Redbord)가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디파이 플랫폼은 사이버 방어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불법 활동을 식별하고 추적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한다는 것은 블록체인 인텔리전스 툴을 개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불법 행위자가 접근하기 전 새로운 믹서를 식별할 수 있는 툴"이라며 "불법 행위자의 전술이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규제 기관 및 법 집행 기관도 정교해지고 있다는 사실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수의 디파이 플랫폼이 새롭고 강력한 사이버 보안 도구를 아직 개발하지 않았다. 또한 플랫폼에는 많은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불법 행위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CEO "인도, 암호화폐 친화적 환경 아냐... 지방세 부담"]

외신에 따르면 바이낸스 CEO 자오창펑이 최근 인터뷰를 통해 인도가 암호화폐 친화적인 국가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지방 정부에 지방세에 대한 기업의 부담을 건의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세금정책을 수정하는데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고만 답변한다"며 "바이낸스는 암호화폐와 관련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국가로 갈 것이다. 지속 가능한 사업이 불가한 나라에는 가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G20 의장국' 인도, 글로벌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 개발 우선시... 금지 검토]

테크크런치(TechCrunch)에 따르면 이달부터 G20 의장국 임기를 시작한 인도가 안전하지 않은 암호화폐, 스테이블코인, 디파이 등에 대한 글로벌 규제 프레임워크 개발을 우선시할 예정으로, 금지 가능성도 검토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인도 중앙은행(RBI)은 금융 안정성 보고서를 발표, 암호화폐가 인플레이션 헤지 역할을 해내지 못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알라메다 리서치 월렛서 이체된 일부 BTC, 와사비로 입금]

암호화폐 범죄 추적 유명 트위터 계정 'zachxbt'가 알라메다 리서치와 관련된 월렛에서 보낸 BTC가 방금 익명성 강화 비트코인 월렛 와사비(Wasabi)로 입금됐다고 전했다. 앞서 코인텔레그래프는 알라메다 리서치와 관련된 월렛 30개에서 17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가 이체됐다고 보도했다.

[사이퍼 캐피탈, 톤에 1000만 달러 투자...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 지원]

외신에 따르면 두바이에 기반을 둔 암호화폐 투자사 사이퍼 캐피탈(Cypher Capital)이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 지원을 위해 톤(The Open Network, TON)에 1000만 달러를 투자했다. 이를 통해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터키, 인도 시장 내 톤 프로젝트의 적용을 촉진할 계획이라는 설명이다. 지난 9월 코인니스는 우블록체인을 인용, 사이퍼 캐피탈의 빌 치엔(Bill Qian) 회장이 톤(TON) 재단 이사로 합류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인도 중앙은행 "암호화폐, 인플레이션 헤지 역할 못하고 있다"]

머니컨트롤(MoneyControl)에 따르면 인도 중앙은행(RBI)이 금융 안정성 보고서를 발표, 암호화폐가 인플레이션 헤지 역할을 해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RBI는 "암호화폐와 주식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암호화폐가 인플레이션 헤지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며 "암호화폐는 변동성 문제가 있으며, 이로인한 리스크가 전통 금융 시스템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차원의 규제 접근방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채굴업체 비트팜스 CEO 교체]

그린스톡뉴스에 따르면 나스닥 상장 비트코인(BTC) 채굴업체 비트팜스(BitFarms)가 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COO) 제프리 몰피(Geoffrey Morphy)를 사장 및 최고경영자(CEO)로 승진시켰다. 전임 CEO 에밀리아노 그로츠키(Emiliano Grodzki)는 자리에서 내려와 이사회 이사직만 유지한다.

[오픈씨 CEO “향후 달러로 NFT 구매할 수도 있다”]

데빈 핀저(Devin Finzer) 오픈씨 CEO가 파이낸셜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NFT를 구매할 때 암호화폐가 아닌 미국 달러를 활용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소비자는 디지털 이미지를 보유하기 위해 앞으로도 NFT 구매에 기꺼이 돈을 쓸 것이다. NFT는 정체돼 있지 않으며 단지 거시적 영향을 받고 있을 뿐이다. FTX 사태로 암호화폐 업계가 타격을 받기는 했으나, 여전히 NFT의 미래가 밝다고 믿는다“고 설명했다.

[유가랩스·컨센시스·폴리곤, 올해 투자 유치 규모 가장 큰 프로젝트]

미국 경제지 포춘이 올해 가장 많은 투자를 유치한 암호화폐 프로젝트 및 기업 10곳을 추렸다.

1. NFT 시리즈 BAYC 개발사 유가랩스(4.5억 달러)

2. 이더리움 인프라 개발사 컨센시스(4.5억 달러)

3. 폴리곤(4.5억 달러)

4. 서클(4억 달러)

5. FTX US(4억 달러)

6. FTX(4억 달러)

7. 애니모카브랜드(3.58억 달러)

8. 니어 프로토콜(3.5억 달러)

9. 앰버그룹(3억 달러)

10. 수이(SUI) 개발사 미스틴 랩스(3억 달러)

[BMW, BNB체인 기반 로열티 프로그램 추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BMW는 로열티 프로그램에 블록체인 인프라 업체 코인웹(Coinweb)과 BNB체인을 활용할 방침이다. 블록체인 기반 보상 시스템을 통해 고객에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BNB체인은 트랜잭션 정산에 사용된다.

[블룸버그 “일본, 암호화폐 상장 절차 간소화 실시”]

블룸버그 통신이 “일본암호화폐거래소협회(JVCEA)가 전날 회원사들에게 암호화폐 상장 과정을 간소화 하는 내용의 새로운 규칙을 즉각 실시하라는 내용의 문서를 하달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규칙은 일본 최초 상장 암호화폐 외 코인에 간소화된 상장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골자다. 이에 따라 일본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는 상장 계획 및 평가 보고서 제출 후 30일 이내에 토큰 상장이 가능하다. JVCEA는 일본 금융청(FSA)으로부터 정식 인가를 받았으며, 코인 상장 심사 권한을 넘겨받은 암호화폐 자율규제기관이다. 앞서 코인니스는 JVCEA가 12월 중으로 암호화폐 상장 심사 기준을 완화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인도 중앙은행 "암호화폐-금융 시스템 상호 연계성 증가"]

인도 중앙은행은 암호화폐와 금융 시스템 간 상호 연계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튀르키예 은행ㆍ핀테크사 디지털 리라 플랫폼 사용 가능]

튀르키예(터키) 디지털 리라(CBDC) 네트워크에서 첫 결제가 이뤄질 전망이다. 튀르키예는 은행과 핀테크 기업이 디지털 리라 플랫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FTX 재팬, 내년 2월 중 고객 자금 반환 예정]

FTX 재팬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내년 2월 중으로 고객 예금을 반환할 예정이라고 공지했다. FTX 재팬은 지난 2월 FTX에 인수되기 전 사용했던 리퀴드(Liquid) 계정을 통해 고객 예금을 돌려줄 예정이다. 이를 위해 FTX 재팬 고객에게 별도로 리퀴드 계정을 생성할 수 있도록 돕는 메일을 발송할 예정이다. 이미 리퀴드 계정을 보유하고 있는 이용자는 별도의 절차 없이 잔액을 확인한 뒤 반환을 요청하면 된다는 것이 FTX 재팬의 설명이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 23일 FTX 재팬이 입출금 프로세스 테스트를 내부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올해 웹3 분야 해킹 피해 규모 36억 달러...작년比 47%↑]

PA뉴스에 따르면 블록체인 보안업체 비오신(Beosin)이 보고서를 통해 올해 웹3 분야에서 해킹 등 공격 사례가 총 167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른 피해 규모는 약 36.3억 달러 수준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대비 47.4% 늘어난 수치다. 이 중 피해 규모가 1억 달러를 넘는 공격은 총 10건이었으며 1000만 달러 이상 1억 달러 미만은 총 21건으로 조사됐다. 또 피해 규모로는 크로스체인 브릿지가 18.9억 달러로 가장 피해가 컸고, 피해 횟수로는 디파이가 113회로 가장 많은 공격을 받았다. 해킹 피해 등을 입은 프로젝트 중 감사를 받은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비율은 각각 51.5%, 48.5%를 차지했다.

[전미경제연구소 "비규제 코인 거래소 거래량 70% 워시 트레이딩"]

코인텔레그래프는 전미경제연구소(NBER) 크립토 워시 트레이딩(Crypto Wash Trading) 보고서를 인용, 규제되지 않은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발생한 거래 4건 중 거의 3건이 워시 트레이딩(자전거래)이라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규제되지 않은 거래소 29곳을 분석해 플랫폼 내 거래량의 평균 70% 이상이 워시 트레이딩이라는 결론을 냈다. 2020년 1분기에만 현물 마켓에서 $4.5조 이상, 파생상품 마켓에서 $1.5조 이상이 워시 트레이딩으로 추정된다. 보고서는 워시 트레이딩이 코인마켓캡 같은 시황 데이터 사이트 거래소 순위에 영향을 미치며, 단기적으로는 해당 거래소 내 암호화폐 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했다. 1920년에 설립된 전미경제연구소는 미국의 경제 상황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민간 연구기관이다.

[점프트레이딩 추정 주소, 24시간 동안 97만 HFT 거래소로 전송]

암호화폐 마켓 메이커 점프트레이딩 추정 주소가 최근 24시간 동안 약 97만 HFT를 코인베이스와 바이낸스 등으로 이체했다고 오데일리가 전했다. 이더스캔에 따르면 해당 주소의 HFT 누적 보유량은 지난달부터 이달 16일까지 총 1091만개 늘었으며, 현재 보유량은 2064만 HFT로 집계됐다. 앞서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룩온체인은 “지난달 24일 기준 점프트레이딩이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주소가 최근 13일 동안 거래소에서 총 730만 HFT를 출금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HFT는 6.07% 내린 0.2888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 고래들, 이달 들어 88만 ETH 매도하거나 옮겨]

유투데이에 따르면 최대 10만 ETH를 보유한 이더리움 고래들은 이달 들어 88만 ETH를 팔거나 다른 주소로 옮겼다. 미디어는 "이중 일부가 매도됐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 기간 마침 ETH 매도 압력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룩스레어, 다음 반감기 내년 1/2 예상]

NFT 마켓플레이스 룩스레어(LOOKS)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LOOKS의 반감기(블록높이 14,757,012)가 오는 1월 2일(현지시간)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해당 반감기 후 블록생성 보상은 150 LOOKS에서 80 LOOKS로 조정된다. 룩스레어는 이번 반감기가 약 12개월 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코인마켓캡 기준 LOOKS는 현재 2.60% 오른 0.148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피지서 비트코인에 우호적인 총리 취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피지에서 비트코인에 우호적인 총리가 취임했다. 전 통가 의원인 Lord Fusitu'a는 피지의 새 총리 Sitiveni Rabuka가 확실히 비트코인에 우호적이라며, Rabuka는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할 수 있는 방법을 알기 위해 지난해 줌을 통해 자신과 만나기를 원했었다고 밝혔다. 통가는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도입하기 위한 타임라인을 공개한 바 있으며, 이르면 2023년 2월에 통과될 수 있다.

[알라메다, 30개 주소 경유해 170만 달러 거래소로 이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알라메다 리서치와 관련된 월렛 30개에서 17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가 이체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는 “해당 월렛들은 최근 4주 동안 아무런 활동이 포착되지 않았으나 지난 28일(현지시간) 움직임이 감지됐다. 17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는 먼저 1번 주소(0x738로 시작)로 전송된 뒤, 다시 2번 주소(0x64e로 시작)로 보내졌다. 이후 2번 주소는 ETH를 여러 주소로 나눠 전송했다. 이 자금은 최종적으로 KYC(고객확인)가 없는 암호화폐 거래소 체인지나우, 픽스드플로트(FixedFloat)로 보내진 것으로 조사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코인텔레그래프는 전날 알라메다 관련 월렛에서 자금을 이체했으며, 이는 SBF 보석금과 일치한다고 보도한 바 있다.

[블록파이 파산 판사, 소유권 분쟁 로빈후드 주식 '중립 계정' 이동 검토]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블록파이 파산 사건 배정 판사는 로빈후드 주식 5600만주를 중립 계정(neutral account)으로 옮겨야 한다는 블록파이의 요청을 검토하기로 했다. 내년 1월 주식 이동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주식이 중립 계정으로 이동되면 로빈후드 주식 소유권을 누가 가져야 하는지 결정날 때까지 브로커/에스크로 계정에 보관된다. 블록파이는 FTX, 알라메다 리서치와의 이전 거래 때문에 로빈후드 주식 소유권을 자사가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11월 FTX가 파산하기 전 알라메다는 블록파이에 로빈후드 주식을 대출 담보로 제공했었다.

[올해 암호화폐 해킹 125건...피해 규모 30억 달러 이상]

포브스가 블록체인 분석 업체 일립틱을 인용해 올해 들어 암호화폐 업계의 해킹 피해 규모가 30억 달러 이상이라고 보도했다. 해킹 건수는 총 125건으로 집계됐다. 특히 디파이 생태계는 전체 해킹 건수의 약 49%를 차지했으며, 크로스체인 브릿지도 적잖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됐다. 피해 규모가 컸던 상위 5개 프로젝트는 로닌 네트워크(6.25억 달러), 웜홀(3.25억 달러), 노매드(1.9억 달러), 빈스토크 팜스(1.82억 달러), 윈터뮤트(1.6억 달러) 순이었다.

[기아 미국 법인, NFT 수익금 일부 동물 보호소에 기부]

블록웍스에 따르면 기아 미국 법인이 올해 초 발행한 로봇 강아지 NFT 경매 수익금 일부 10만 달러와 자체 후원금 50만 달러를 현지 동물 보호소 펫 파인더 재단(The Petfinder Foundation)에 기부했다. 해당 비용은 2만2000여 마리 유기 동물의 입양 비용에 사용됐다. 로봇 강아지 NFT는 지난해 2월 테조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발행된 바 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13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solkae

2023.01.01 06:16:10

ㅊㅊ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olkae

2022.12.31 04:28:44

ㅊㅊ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선우할매

2022.12.30 16:23:5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황보드야

2022.12.30 15:50:06

잘보고갑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황보드야

2022.12.30 15:50:01

그래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prsdt5928

2022.12.30 15:36:2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2.12.30 15:17:37

ㄱ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legoboss

2022.12.30 15:04:27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2.12.30 13:16:18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쌘디

2022.12.30 12:30:4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