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부총재 "미국 인플레이션 아직 전환점 돌지 않았다"]
기타 고피너스 IMF 제1부총재는 파이낸셜타임스(FT) 인터뷰에서 "미국 인플레이션이 아직 전환점을 돌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는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치솟는 물가와의 싸움에서 승리를 선언하기는 시기상조라며 올해도 연준이 금리를 올릴 것을 촉구했다. 그는 "고용시장의 지표들과 더불어 서비스 인플레이션처럼 매우 끈질긴 항목들을 본다면 아직 인플레이션이 전환점을 돌지 않았다는 것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연준에 정책 방향을 유지하라고 조언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이 올해 침체를 모면하려면 매우 좁은 길을 건너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통화정책과 관련해 또 다른 힘든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지난해는 얼마나 빠르게 긴축하고 얼마나 갈지가 관건이었다면 지금은 얼마나 오래 유지할지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애니모카브랜드, 1Q 웹3 펀드 조성 위해 $10억 모금 진행]
블록체인 및 NFT 게임 개발 및 투자사 애니모카브랜드의 공동 창업자 얏 시우(Yat Siu)가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이번 분기에 웹3 및 메타버스 투자 펀드 조성을 위해 10억달러를 목표로 모금하고 있다"며 "현재 잠재 투자자들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작년 11월 그는 메타버스 투자를 위해 최대 20억달러 규모 펀드를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FTX 붕괴, 시장 침체 등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美 법원, 망고마켓 탈취 혐의 해커 구속]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망고마켓에서 1.1억 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탈취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아브라함 아이젠버그(Avraham Eisenberg)가 구속됐다. 법원은 구속 사유로 아이젠버그의 주거지가 일정치 않고 법원 출석을 보장할 만한 요소가 없다는 점을 들었다. 이에 따라 그는 재판 결과 무죄로 판결이 나거나, 보석 신청 허가를 통해서만 석방될 수 있다. 앞서 코인니스는 지난해 12월 28일 미국 검찰이 아이젠버그를 사기 및 시장조작 혐의로 기소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아스타 네트워크 CEO "웹3 전문 기업 스타테일 랩스 설립"]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아스타 네트워크(ASTR) 개발사인 스테이크 테크놀로지 CEO 와타나베 소타가 웹3 전문 기업 스타테일 랩스(Startale Labs)을 설립했다고 발표했다. 스타테일 랩스는 멀티체인 지원 디앱, 인프라 개발, 웹3 사업 컨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아울러 스타테일 랩스의 일본 자회사인 스타테일 랩스 재팬(Startale Labs Japan)도 이달 중 설립될 예정이다.
[헤데라, 자체 월렛 통해 LG 아트랩 NFT 구매 지원]
헤데라해시그래프(HBAR)가 자체 월렛인 블레이드 월렛(Blade Wallet)을 통해 LG전자 NFT 아트 플랫폼인 'LG 아트랩' 내 NFT 구매를 지원한다고 4일(현지시간)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발표했다. LG 아트랩은 블록체인 플랫폼 헤데라와 LG전자가 개발한 독자 암호 화폐 지갑인 월립토를 기반으로 한다. LG전자는 2020년부터 헤데라의 운영위원회에 참여해 블록체인 선행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보고서 "올해 실물 자산 토큰화 수요 증가...주요 금융기관도 참여"]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코인메트릭스(Coin Metrics)가 최근 보고서를 통해 "2023년에는 금융 자산 또는 실물 자산(real world assets·RWA)의 토큰화(tokenization)가 가속화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RWA 토큰의 가치는 크게 감소했으나, 그럼에도 여전히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남아있다. 실제로 최근 뱅크오브아메리카 등 대형 은행 12곳이 거래 정산 시간을 T+1까지 줄이기 위해 토큰화 파일럿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JP모건이나 도이체방크도 지난해 11월 폴리곤 네트워크를 통해 토큰화된 화폐와 국채를 거래하기도 했다. 이는 주요 금융기관들이 RWA 토큰화를 채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RWA를 조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RWA 토큰을 활용하려는 수요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미결제 약정 규모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바이낸스 (BTC-USDT, 시장 점유율 23.07%)
롱 50.08% | 숏 49.92%
2. 비트겟 (BTC-USDT, 시장 점유율 17%)
롱 49.44% | 숏 50.56%
3. 바이비트 (BTC-USDT, 시장 점유율 16.06%)
롱 49.90% | 숏 50.10%
[아즈키 #7994, 205 ETH에 판매]
룩스레어에서 Azuki ##7994가 205 ETH($25만)에 판매됐다.
[밈랜드 캡틴즈 NFT, 12분 만에 완판]
NFT 프로젝트 밈랜드가 캡틴즈(Memeland Captainz) NFT 시리즈가 민팅 대기자 입금 개시 12분 만에 접수 한도인 9,999명을 넘겨 명단 접수를 중단했다고 밝혔다. 디파이 추적 플랫폼 난센 포트폴리오는 "캡틴즈 민팅 대기자 명단에 입금을 시도한 18,000개의 적격 지갑 중 76%가 입금에 성공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설명했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WETH·FTM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WETH $91,154
2. FTM $4,653
3. WBTC $3,065
4. FXS $2,863
5. SHIB $1,596
6. CRV $717
[이두희 "메타콩즈 관계자 주식처분금지가처분 판결"]
이두희 멋쟁이사자처럼 대표가 메타콩즈 디스코드에서 "오늘 이강민, 황현기, 김재일, 김재민, 박건우, 박미리, 장진전의 주식처분금지가처분 판결이 나왔고, 현재까지 모든 소송에서 100% 승소 중"이라고 밝혔다. 이강민 등은 메타콩즈 주식을 현금화할 수 없게 됐고, 멋사 측은 손해배상청구소송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홍콩 입법회 의원 "CBDC, 디파이 활용 방안 검토해야"]
우 제좡(Wu Jiezhuang) 홍콩 입법회 의원이 중국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체인뉴 인터뷰에서 "홍콩통화청(HKMA)이 개발 중인 디지털 화폐 'e-HKD'를 디파이 기반으로 만드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재 시장에 발행되고 있는 스테이블코인은 모두 민간 분야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정부의 관리·감독을 벗어나 있다. 이는 매우 위험한 일이다. 따라서 홍콩 정부는 디지털 홍콩 달러를 디파이와 결합해 발행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아울러 홍콩 정부가 공인하는 권위 있는 가상자산 평가기관을 설립하는 방안도 고민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저가매수 고가매도' 특정 폴리곤 주소, 크라켄에 211만 MATIC 이체]
룩온체인에 따르면 저가에 매수하고 고가에 매도하는 특정 스마트머니(고수익의 단기차익을 노리는 기관이나 개인 투자자들이 장세 변화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투자하는 자금) 폴리곤(MATIC) 주소가 약 5시간 전에 170만 달러 상당의 211만 MATIC을 크라켄으로 전송했다. 룩온체인은 "앞서 이 주소는 유니스왑(UNI)에서 평균 0.87 달러에 176만 MATIC을 매수했고, 평균 1.44 달러에 108만 MATIC을 매도한 바 있다. 이후 중앙화 거래소에서 143만 MATIC(평균 $0.796)을 인출했다"고 설명했다.
[美 ETF 전문가 "올해도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없을 것"]
미국 ETF 전문 업체 ETF스토어의 최고경영자(CEO)인 네이트 제라시(Nate Geraci)가 트위터를 통해 "올해 ETF 자금 유입이 1조 달러를 넘고, 현물 금 ETF가 다시 빛을 발할 것"이라면서 "하지만 비트코인 현물 ETF는 출시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 에릭 발추나스가 "동의한다"고 리트윗 했다.
[웹3 프라이버시 오토마타 1RPC, 클레이튼 지원]
웹3 프라이버시 프로토콜 오토마타 네트워크(Automata Network)는 1RPC 지원 네트워크에 클레이튼이 추가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원 네트워크 수는 16개로 늘었다. 1RPC 사용 시 오픈소스 블록체인 메타버스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고 오토마타는 설명했다.
[증권사 새 먹거리 '증권형 토큰', 이달 중 제도권 진입 가시화 전망]
증권형 토큰(STO)의 제도권 진입이 이달 기점으로 가시화될 전망이라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1월에 열릴 예정인 제 6차 금융규제혁신회의를 통해 증권형 토큰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발표된다. 국회 디지털자산기본법에 대해 국회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자, 금융위원회가 일단 자체적인 별도 가이드라인을 공개해 사업자에게 안내하겠다는 목적에서다. 지난해 금융위는 뮤직카우 등 ‘조각투자 플랫폼’에 대해 지난 4월 가이드라인을 내놓고, 사업자들의 사업 영위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유관기관들도 잰걸음을 걷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증권형 토큰을 거래하는 디지털증권시장을 열기로 했다. 증권사와 함께 대체거래소(ATS) 설립을 준비 중인 금융투자협회 역시 ATS에서 STO 거래를 다룰지 검토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매직에덴 "미검증 NFT 구매자에 환불 예정"]
솔라나(SOL) 기반 NFT 마켓플레이스 매직에덴(Magic Eden)이 "전날 스내피 마켓플레이스, 프로트레이드 내 새 기능 배포 과정에서 UI에 문제가 발생, 25개 미검증 NFT가 판매됐다"며 "해당 NFT 구매자 대상 환불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메직에덴은 내부 문제로 DeGod NFT 프로젝트 y00ts 컬렉션 등에서 일부 가짜 NFT가 판매됐다고 밝힌 바 있다.
[보스아고라, 다음주 메인넷 제네시스 블록 생성]
블록체인 플랫폼 보스아고라(BOA)가 트위터를 통해 "다음주 지분증명(PoS) 기반 메인넷의 제네시스 블록이 생성된다"고 예고했다.
[팬텀 재단, 우수 디앱에 수익 제공 거버넌스 제안 통과]
팬텀(FTM) 재단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우수 디앱에 가스 수수료 수익을 제공하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재단은 기존 소각률 20%를 5%로 줄이고 나머지 15%를 우수 디앱에 수익으로 제공하게 된다. 다만 이 수치는 별도의 거버넌스 투표를 통해 조정될 수 있다고 팬텀 재단은 설명했다.
[제네시스, 6.4만 ETH 이체 후 메이커다오에 5.5만 WETH 입금 및 DAI 대출]
펙쉴드에 따르면 제네시스 휴면 주소는 6.4만 ETH($7760만)을 0x3113...84b 주소로 이체하고, 5.499만 WETH를 메이커다오에 입금했다. 그런 다음 메이커다오에서 2500만 DAI를 빌린 뒤 400만 DAI는 코인베이스에, 100만 DAI는 크라켄에 입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