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연준 부의장 "당분간 통화정책 충분히 제한할 필요"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14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연준 부의장 "당분간 통화정책 충분히 제한할 필요"]

레이얼 브레이너드 미 연준 부의장이 "당분간 (통화)정책을 충분히 제한할 필요가 있다. 임금이 인플레를 주도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1970년대식 임금-물가 연쇄상승은 관찰되지 않고 있다. 높은 인플레이션은 연준 목표치인 2%로 낮추려면 시간과 결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BIS "디파이 이해도 아직 많이 부족... 연구 가치 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국제결제은행(BIS)이 전통금융(TradFi)와 디파이의 통합 및 리스크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BIS는 "디파이에 대한 이해가 아직 많이 부족하다. 미래에 디파이가 어느정도까지 확산될지 아직 불확실하다. 알고리즘 자동화, 투명성 등은 암호화폐 시장을 뛰어넘는 관심사로, 디파이의 혁신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노력은 가치가 있다"며 디파이의 기능 및 리스크를 연구하기 위해 DSR(DeFi stack reference) 모델을 도입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세이 네트워크 $7000만 생태계 자금 확보]

블록웍스에 따르면 코스모스 기반 디파이 레이어1 블록체인 세이 네트워크는 론칭 8개월 만에 $7000만 생태계 자금을 확보했다. 향후 아시아로 확장할 계획이다. 세이는 최근 MEXC로부터 추가로 $2000만 생태계 자금을 확보한 바 있다.

[컨센시스, 주주 요청에 따라 감사 받기로]

크립토 슬레이트에 따르면 이더리움 인프라 개발사 컨센시스는 주주 요청에 따라 감사를 받을 예정이다. 프로젝트 노스스타(Project Northstar)라는 스위스->미국 비즈니스 프로덕트 이전 거래를 통해 컨센시스 미국 사업부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7.15억을 조달할 수 있었다. 이에 스위스 판사는 컨센시스가 관련 거래를 조사하는 감사를 받아야 한다는 주주 의 요구에 손을 들어줬다. 주주들은 이 거래가 은밀한 방식으로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뉴햄프셔주 "블록체인 기술 관련 법제화 절실"]

더블록에 따르면 미국 뉴햄프셔 주지사 직속 암호화폐 디지털 자산 위원회는 67페이지 분량 보고서에서 "국가는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위한 더 나은 법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뉴햄프셔 주지사 크리스 수누누는 지난해 암호화폐, 디지털 자산 위원회를 신설하라는 행정 명령을 내린 바 있다.

[분석 "BTC RSI 고점 찍고 하락...현재 드문 영역"]

최근 비트코인 RSI(상대강도지수)가 특이점을 보이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보도했다. RSI는 자산 가격이 과매수/과매도 됐는지 알 수 있는 모멘텀 지표다. 지난 2주 동안 BTC RSI는 2019년부터 집계된 RSI 수치 top10에 3차례나 들었다. 1월 14일 89.3, 1월 16일 88.2, 1월 17일 88.1을 기록했다. 현재는 78 수준이다. 2019년 이후 BTC RSI는 약 1500거래일 중 10차례만 78~79 수준을 나타냈다. 과거 데이터를 봤을 때 이 수준의 RSI에 도달한 후 BTC의 평균 7일/30일 수익률은 각각 7%, 15%였다.

[중국 배달음식 플랫폼 메이퇀, 디지털 위안 스마트 컨트렉트 기능 도입]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중국이 배달음식 플랫폼 메이퇀을 통해 디지털 위안에 대한 스마트 컨트렉트 기능을 출시했다. 메이퇀의 스마트 컨트렉트 기능은 8888 위안(약 162만 원) 규모의 일일 경품(Daily Prize)를 나누는데 사용된다. 사용자가 앱으로 주문으로 디지털 위안으로 결제하면 스마트 컨트렉트가 구매한 상품 목록 등 정보에서 특정 키워드를 검색, 일치하는 단어가 있을 경우 8888 위안의 일부를 디지털 위안 월렛에 상품으로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특정 키워드는 매일 변경된다. 중국은 2020년부터 디지털 통화에 대한 테스트를 시작했다. 테스트는 주로 소매 거래, 증권 구매 등 부분에서 진행됐다.

[1THash pool 채굴자 거래소로 BTC 대량 입금]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는 "1THash pool 채굴자(들)이 바이낸스로 3336 BTC를 입금했다"고 트윗했다. 그는 최근 대량의 채굴자 보유 비트코인이 거래소로 이동됐으며, 이제 1THash 리저브는 0이라는 트윗을 리트윗했다.

[알라메다 투자 미국 소형 은행, 암호화폐 사업 손 떼기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알라메다 리서치가 투자한 미국 파밍턴스테이트뱅크(Farmington State Bank)는 암호화폐 사업에서 손을 뗀다고 밝혔다. 문스톤 뱅크(Moonstone Bank) 브랜드를 버리고 앞으로는 파밍턴스테이트뱅크로 운영할 방침이다. 앞서 알라메다 리서치는 파밍턴 지분 $1150만 어치를 인수한 바 있다. 파밍턴 자산이 지난 10년간 약 $1000만에 불과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액수였다.

[카르다노 창시자 "코인데스크 인수 관심 있다"]

유투데이에 따르면 카르다노(에이다, ADA) 창시자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이 최근 한 유튜브 방송에 참여, 코인데스크 인수에 관심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디어 측면에 대한 관심이 광범위하다. 저널리즘의 무결성을 회복하는 동시에 암호화폐 미디어 업계에 더 많은 혁신을 가져오기 원한다"며 "다양한 뉴스를 NFT로 전환, 사람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면 정말 멋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월스트리트 저널은 코인데스크가 최근 투자은행 라자드(Lazard)와 계약을 맺고 회사 일부 또는 전체 매각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전문가 "그레이스케일 GBTC 투자수익, 올해 100% 기록 예측"]

CNBC에 따르면 미국 투자 연구 기관 네드 데이비스 리서치(NDR) 수석 포트폴리오 전략가 팻 초식(Pat Tschosik)이 그레이스케일 비트코인 신탁(GBTC)의 투자 수익이 2023년 중반 100%를 기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비트코인이 2만 달러 선을 회복했다. 작년부터 비트코인은 슬럼프에서 벗어나고 있다. 우리는 비트코인이 대략 4년에 한번씩 찾아오는 윈터(2014년 2018년 2022년)를 벗어났다고 평가한다"며 "우리는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방법 중 하나로 GBTC를 추천한다. 비트코인과 함께 상승할 뿐만 아니라 순자산가치(NAV)에 대한 프리미엄 또는 할인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비트고, 폴리곤 지원 시작]

암호화폐 수탁업체 비트고가 폴리곤 지원을 시작했다고 폴리곤 측이 밝혔다. 비트고 핫월렛 및 커스터디 서비스에서 MATIC을 취급하게 됐다. MATIC 홀더는 비트고를 통해 ERC-20 MATIC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제네시스 트레이딩, 비트스탬프로 2만 ETH 이체]

웨일알러트에 따르면 방금 전 제네시스 트레이딩 라벨링 주소에서 익명 주소로 5만 ETH($7740만)가 이체됐다. 이어 제네시스 트레이딩 주소에서 비트스탬프 거래소로 2만 ETH($3092만)이 이체됐다.

[스포츠 NFT 기업 캔디 디지털, $3800만 조달]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스포츠 NFT 기업 캔디 디지털이 지분 매각을 통해 14명의 투자자로부터 $38,449,997를 조달했다. 이는 목표치의 절반 이상이다. 지분 매각은 파나틱스가 갤럭시디지털에 캔디 디지털 지분 60%를 매각했다는 보도가 나온 전날에 시작됐다.

[EU 금융서비스 위원 "암호화폐 규제안 미카, 다른 국가 미참여 시 무의미"]

유럽연합 금융서비스 최고위 위원 메어리드 맥기네스(Mairead McGuinness)가 다보스포럼에 참석, 코인데스크와의 인터뷰에서 다른 국가가 동참하지 않는 한 유로존의 암호화폐 규제안 미카(Markets in Crypto Assets, MiCA) 규정은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그는 "미카로 인해 EU가 암호화폐 규제 부분에 있어 주요 관할권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게돼 좋다. 다만, 유럽에서만 자체적으로 존재하는 것에는 의미가 없다. 암호화폐는 전세계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이것에는 장벽을 세울 수 없다"며 "우리가 글로벌적 접근 방식을 취하지 않는다면, 점점 더 많은 문제를 직면하게 될 것이다. 기술에는 국경이 없다"고 강조했다.

[랜섬머니 지불액 1년간 40% 감소]

랜섬웨어 감염 피해 기업 중 해커가 요구하는 랜섬머니를 지불하는 기업이 줄었다고 블룸버그가 체이널리시스를 인용해 보도했다. 대개 암호화폐로 지불되는 랜섬머니는 2021년 $7.6560억에서 2022년 $4.5680억으로 40% 감소했다. 보고서는 "공격이 줄었다는 의미는 아니다. 랜섬머니 지불을 거부하는 피해 기업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블러, 자체 토큰 BLUR 출시 일자 2/14로 연기]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Blur)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자체 토큰 BLUR 출시 일자를 1월 말에서 2월 14일로 연기한다고 밝혔다. 블러 측은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있다. 에어드랍3는 그때까지 계속해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메이커다오, DAI 리저브에 제미니 GUSD 유지키로]

메이커다오 커뮤니티는 DAI 리저브 시스템에서 제미니 스테이블코인 GUSD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투표자의 50.85%가 메이커 페그안정성모듈(PSM)에서 GUSD 부채 한도를 $5억으로 유지하는 데 찬성했다. 이에 따라 GUSD는 메이커의 $50억 DAI 리저브 자산으로 남게 됐다. 앞서 일각에서는 PSM에 대한 GUSD의 과도한 의존도와 실버게이트에 GUSD 준비금을 보유하고 있는 제미니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 바 있다.

[바이낸스, NFT 상장 규정 강화... 거래량 미달 NFT 상장폐지 조치]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바이낸스가 NFT 상장에 대한 규정을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거래소는 지난해 10월 2일 이전에 상장됐으며, 2022년 11월 1일부터 2023년 1월 31일까지 일일 평균 거래량이 1000 달러 미만인 모든 NFT를 상장폐지한다고 전했다. 해당 조치는 오는 2월 2일 실시된다. 또한 1월 21일부터 NFT 아티스트의 하루 주조 가능 NFT 수가 최대 5개로 제한된다. NFT 판매자는 컬렉션 상장 전 KYC 인증을 완료해야 하며, 최소 2명의 팔로워가 있어야 한다. 바이낸스는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NFT를 구별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검토, 상장폐지를 진행할 것"이라며 "사용자는 바이낸스 NFT 발행 규칙 및 서비스 약관 위반 가능성이 있는 NFT 또는 컬렉션을 신고할 수 있다. 실사팀이 관련 보고서를 적극 검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전했다.

[드래곤플라이 캐피탈 "기관투자자,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 선호할 수밖에 없다"]

뉴스btc에 따르면 유명 크립토 벤처캐피탈 드래곤플라이 캐피탈(Dragonfly Capital)의 Haseeb Qureshi는 어떤 암호화폐 시가총액이 $1조에 달한다면 그것은 비트코인이 아닌 이더리움이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ESG(환경,사회,거버넌스)를 감안해 투자하는 기관투자자 입장에서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이 더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Qureshi는 "우리는 큰 기관들과 많은 일을 한다. 이들은 암호화폐에 투자하기 원하지만 ESG 요소를 고려할 수밖에 없다. 또 이더리움은 미국 해외자산통제국 규제를 준수하므로 기관의 진입을 더 쉽게 만들어준다"고 설명했다.

[JP모건 CEO "BTC, 애완용 돌멩이에 불과"]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Jamie Dimon) 최고경영자(CEO)가 다보스에서 열린 2023 세계경제포럼(WEF)에 참석,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은 펫 록(애완용 돌멩이, 납득하기 힘든 광적인 유행이나 쓸모없는 물건을 뜻하기도 함)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그는 "블록체인 기술은 특정한 실제 용도를 가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샌티멘트 "증시 대비 암호화폐 가격 방어 선방...강세작 시작?"]

암호화폐 마켓 인텔리전스 플랫폼 샌티멘트는 "S&P500이 며칠간 약간의 조정을 받고 있지만 비트코인, 이더리움은 지난주 가격 급등 이후 잘 버티고 있다. 일반적으로 강세장은 암호화폐-주식 상관관계가 사라졌을 때 시작된다"고 트윗했다.

[대화형 AI 챗봇, SEC-리플 소송 결과 예측... "리플 주장 더 설득력 있어"]

핀볼드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의 소송 결과 예측을 신생 챗봇 챗GPT(ChatGPT)에 질문한 결과, "XRP는 증권이 아니라는 리플의 주장이 더 설득력 있는 것 같다"고 답했다고 보도했다. 챗GPT는 "XRP 토큰에 초점을 맞춘 소송에서 양측 중 어느쪽이 이길지는 예측하기 어렵다"며 "다만 리플의 주장이 더 설득력 있는 것 같다. 수년 동안 투자 수단이 아닌 통화로 사용돼 왔으며, 이는 XRP가 증권이 아니라는 주장을 뒷받침한다"고 말했다.

[FTX CEO, 거래소 운영 재개 가능성 언급]

존 제이 레이 3세 FTX CEO는 월스트리트저널 인터뷰에서 거래소 운영 재개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FTX 고위 임원들이 범죄행위로 고발당했지만 일부 고객들은 FTX의 기술을 높이 평가하고 있어 플랫폼을 재가동하는 것이 가치 있을 것이라며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고 말했다. 인터뷰는 작년 12월 진행됐다.

[아서 헤이즈 "미국 금융 붕괴 시나리오 감안 BTC $15,000까지 밀릴 수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멕스 전 CEO 아서 헤이즈는 블로그를 통해 미국 경제 문제로 인한 글로벌 금융 붕괴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비트코인의 현재 랠리를 새로운 상승장의 시작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는 분석이다. 미국 인플레이션이 완화됨에 따라 연준의 피벗 가능성이 대두되지만 2020년부터 양적완화로 인해 BTC가 사상 최고가를 기록한 것처럼 이번에도 비슷한 일이 순조롭게 일어날 것이라는 기대는 하지 않는다고 아서 헤이즈는 말했다. 돈이 투입될 때와 회수될 때 시장의 반응은 대칭적이지 않다며, 미국 신용 시장 일부가 붕괴돼 광범위환 금융 시장 붕괴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2023년은 연준 피벗이 있을 때까지 2022년만큼 시장 상황이 나쁠 수 있으며, BTC $15000~$16000대가 앞으로의 주요 관심 가격대라고 덧붙였다.

[웹3·AI소셜 플랫폼 PLAI랩스, a16z 주도 하에 투자 유치]

외신에 따르면 웹3 및 AI 소셜 플랫폼 PLAI랩스가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의 주도 하에 투자를 유치했다. 구체적인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웹3 자격 증명 게이트웨이, $420만 시드 투자 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웹3 자격 증명 프로토콜 게이트웨이(Gateway)가 $420만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는 소식이 뒤늦게 알려졌다. Reciprocal Ventures 주도로 th Man Ventures, Spartan Group, Figment 등이 참여했다. 폴리곤 창립자 산딥 네일왈, 메사리 라이언 셀키스 등 엔젤 투자자들도 참여했다. 게이트웨이 공동 설립자는 작년 초 시드 라운드 펀딩을 시작해 2분기 마감했지만 시장 상황을 고려해 지금 이 소식을 발표했다고 밝혔다. 라운드는 지분, 토큰 보증 계약 형태로 진행됐으며 토큰 출시일은 언급되지 않았다. 게이트웨이는 알위브에 자격 증명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며, 곧 솔라나 네트워크도 지원할 계획이다.

[문페이, 웹3 스튜디오 나이트시프트 인수]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결제 스타트업 문페이(MoonPay)가 웹3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 나이트시프트(Nightshift)를 인수했다. 인수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문페이는 나이트시프트를 '아더라이프 바이 문페이(Otherlife by MoonPay)'로 리브랜딩 할 예정이다.

[레볼루트, 자체코인 레브코인 발행 연기]

파이낸셜뉴스런던에 따르면 디지털은행 레볼루트(Revolut)가 자체 코인인 레브코인(Revcoin) 발행을 연기했다. 레볼루트는 "당초 레브코인을 2022년 말 발행할 계획이었지만, FTX 붕괴 후 시장 상황을 감안해 잠시 발행을 연기하기로 했다. 추후 적당한 시기로 발행 날짜를 확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파산 암호화폐 거래소 고객들, 자산 청구권 $2억치 매물로 내놔]

PR뉴스와이어에 따르면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에 묶인 자산의 청구권을 거래하는 플랫폼 엑스클레임(Xclaim)이 FTX, 블록파이, 셀시우스, 보이저 등의 고객들이 매물로 내놓은 자산 청구권이 2억 달러어치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파산한 거래소 등으로부터 언제 자신의 자산을 돌려받을 수 있을지 모르는 고객들이 저렴하게 청구권을 팔아 현금화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엑스클레임의 설명이다.

[인도 전자·IT부 장관 "법 준수하면 암호화폐 거래 가능"]

로이터에 따르면 라지브 찬드라세카르(Rajeev Chandrasekhar) 인도 전자·IT부 장관이 19일(현지시간) 벵갈루루에서 열린 한 행사에 참석해 "법을 준수한다면, 인도에서 암호화폐 거래가 금지될 일은 없다"고 밝혔다. 그는 "암호화폐 투자를 희망한다면 인도중앙은행(RBI)을 통해 송금 자유화 계획(LRS) 자격을 얻고, 법을 준수하면 된다"고 부연했다. 이에 대해 미디어는 "암호화폐 거래 전면 금지를 주장하는 RBI와 정반대되는 발언"이라고 해석했다. 앞서 인도 중앙은행 총재 샤크티칸타 다스(Shaktikanta Das)는 "암호화폐는 금융상품으로 간주될 수 없다. 암호화폐는 도박과 같이 취급돼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스타게이트, 메티스 블록체인으로 확장]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레이어제로의 크로스체인 프로토콜 스타게이트(STG)가 이더리움 레이어2 프로토콜 메티스(METIS) 블록체인으로 확장된다. 메티스의 엘레나 시넬니코바(Elena Sinelnikova) CEO는 이에 대해 "레이어제로 기술을 활용해 자금을 관리하는 프로젝트에 더 큰 유연성이 제공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멀티체인 웹3 지갑 싸이퍼, $430만 시드 투자 유치]

멀티체인 웹3 지갑 싸이퍼(Cypher)가 430만달러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와이콤비네이터가 주도했으며, 오렌지다오, 삼성넥스트 등이 참여했다. 싸이퍼는 암호화폐 지갑 애플리케이션의 설계를 단순화하는 것을 목표로, 사용자 경험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비수탁 암호화폐 지갑이다.

[英 의회, 블록체인 기술 활용한 무역 공문서 보관 법안 논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영국 의회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무역 관련 공문을 저장하는 내용이 담긴 법률 개정안 입법을 논의하고 있다. 현행법은 무역과 관련된 모든 공문을 종이 문서 형태로 보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방법은 작업과 비용 측면에서 모두 비효율적이라는 것이 영국 의회는 보고있다. 이와 관련해 국제상공회의소 사무총장인 크리스 사우스워스(Chris Southworth)는 "해당 법안이 통과되면 약 1조 2,000억 파운드 상당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싱가포르와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 국가와 함께 이 문제에 대해 논의해 볼 수 있다. 물론 해킹에 대한 우려도 있지만, 전자 문서가 종이 문서보다 더 안전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클린스파크, 운영 용량 50MW 추가 예정]

더블록에 따르면 나스닥 상장 미국 비트코인 채굴 업체 클린스파크(티커: CLSK)가 최근 인수한 조지아주 부지에 운영 용량 50MW를 추가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운영 용량은 기존 36MW에서 86MW로 늘어난다. 클린스파크의 해시레이트는 약 기존 6.2 EH/s에 1.6-2.2 EH/s가 추가될 것으로 추산된다. 또 클린스파크는 ASIC채굴기 26,500대 이상도 투입될 예정이다. 앞서 클린스파크는 지난 5일 연례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총 4,621 BTC를 채굴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14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solkae

2023.01.21 07:09:18

ㅊㅊ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bityou

2023.01.21 00:21:3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임곡

2023.01.20 21:50:06

잘보고갑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응가야

2023.01.20 16:52:48

감사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응가야

2023.01.20 16:52:42

그래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광란의우덩

2023.01.20 13:45:49

ㄱ 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광란의셔터

2023.01.20 13:29:14

ㄱ 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황보드야

2023.01.20 13:00:41

잘보고갑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3.01.20 12:46:58

ㄱ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olkae

2023.01.20 11:40:16

ㅊㅊ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