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2019년 시나리오 재현시 BTC 올 7월까지 $4.6만 도달"]
크립토퀀트 저자 oinonen_t가 "2018~2019년 마지막 약세장에 현재 시장 상황을 대입했을 때, BTC는 올해 손쉽게 40,000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암호화폐 데이터 플랫폼 코인페어밸류(CoinFairValue)에 따르면 BTC의 적정 가격은 40,673달러로, 현재 가격인 약 24,786 달러 대비 64% 높다. '역사는 반복되지 않지만 때때로 운율이 맞을 때가 있다'는 미국 유명 소설가 마크 트웨인의 말처럼, 지난 현재 시장을 2018~2019년에 대입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019년 1월 1일에서 7월 1일까지 BTC 현물 가격은 3,808 달러에서 10,570 달러로 178% 상승했다. 이를 올해 1월 1일~7월 1일로 치환하면 16,607에서 46,092 달러로 상승하는 셈이다. 아울러 여러 온체인 지표는 BTC가 31,000 달러를 돌파한다면 새로운 장기 보유자 집단이 시장에 진입할 수 있음을 가리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블랙록 메타버스 테마 펀드, 뉴욕증권거래소 아카 상장]
ETF스트래티지에 따르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이 출시한 메타버스 테마 펀드 iShares Future Metaverse Tech and Communications ETF(IVRS US)가 뉴욕증권거래소 아카(NYSE Arca)에 상장됐다. 이 상품은 인도를 제외한 선진국 및 신흥국에서 유망 종목을 선택해 포트폴리오로 편입하는 모닝스타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는 메타버스 플랫폼, 웨어러블 기술, 가상현실(VR) 관련 기업이 포함된다.
[빗썸, 오늘 17시 CRO 입출금 일시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빗썸이 크로노스(CRO)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로 인해 일시적으로 오늘 17시부터 CRO 입출금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ETH 리스테이킹 프로토콜 아이겐레이어, 첫 번째 백서 발표]
이더리움 리스테이킹(Re-staking) 프로토콜 아이겐레이어(EigenLayer)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첫 번째 백서를 발표했다. 아이겐레이어는 오는 22일 2시(한국시간) 트위터 실시간 방송(스페이스)을 통해 백서 관련 브리핑을 진행할 예정이다. 앞서 더블록은 지난 4일 아이겐레이어가 시리즈A 펀딩에서 5000만 달러를 모금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너보스, 디지털 생체인증 솔루션 '조이ID' 베타 테스트 시작]
너보스(CKB)가 자체 블록체인 기반 조이ID(joy.id ) 베타 테스트를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조이ID는 웹 오센티케이션(WebAuthn)를 이용해 사용자 단말에서 퍼블릭키 페어를 만들고 프라이빗키를 탈취 불가능한 방식으로 사용해 서명한다. 사용자는 키 생성, 사용, 복구 과정에서 패스워드 또는 니모닉을 기억할 필요가 없다는 설명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CKB는 12.25% 오른 0.00577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코빗 "가상자산 증권성 평가 결과, USDC·AMP 가장 높아...BTC는 최저점"]
코빗 리서치센터가 가상자산 증권성 평가 방법‘ 보고서를 통해 자체 개발한 가상자산 증권성 평가 평가 지수를 공개했다. 해당 지수는 개별 가상자산의 증권성을 20부터 100까지 지수로 수치화해 각 가상자산의 증권성 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센터가 이 지수를 통해 자사에서 거래 지원 이력이 있는 36개 가상자산을 평가한 결과, 국내 자본시장법상 증권에 해당하는 수치인 100점을 기록한 가상자산은 없었다. USDC와 AMP가 90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더리움이 30점, 비트코인은 20점으로 가장 낮았다.
[뉴트리노 프로토콜, 로드맵 확정까지 거버넌스 일시 중단 제안]
웨이브(WAVES) 기반 스테이블코인 프로토콜 뉴트리노 프로토콜(구 USDN, 현 XTN)이 최근 커뮤니티에 명확한 로드맵이 제시될때까지 거버넌스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비활성화 및 중단하는 내용을 골자로한 거버넌스 제안을 발의했다. 이와 관련 뉴트리노 측은 "현재 뉴트리노 시스템은 투명성과 방향성이 부족하다. 이해 관계자가 장기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전략을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태다. 명확한 로드맵이 없으면 이해 관계자들은 프로젝트의 미래를 위한 결정을 내리거나 합리적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없다. 특히 웨이브(WAVES) 기반 디파이 풀 바이어스(Vires Finance)에 락업된 XTN 토큰의 상황도 불분명해 커뮤니티 내 혼란과 우려를 낳고 있다. 이에 따라 로드맵이 확정되기 전까지 거버넌스를 일시 중단해 뉴트리노 프로토콜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개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1월 말 뉴트리노 측은 다중 담보 스테이블코인 USDN을 웨이브 생태계 토큰 담보 기반 인덱스 토큰 XTN으로 전환하는 내용을 골자로한 라이트페이퍼를 공개한 바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XTN은 현재 3.45% 내린 0.199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3대 선물 거래소 BTC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미결제 약정 규모 기준 세계 3대 암호화폐 마진 거래소 내 최근 24시간 BTC 무기한 선물 롱·숏 포지션 비율은 다음과 같다.
1. 바이낸스 (BTC-USDT, 시장 점유율 30.38%)
롱 50.71% | 숏 49.29%
2. 바이비트 (BTC-USDT, 시장 점유율 13.01%)
롱 51.09% | 숏 48.91%
3. 비트겟 (BTC-USDT, 시장 점유율 11.92%)
롱 50.79% | 숏 49.21%
[빗썸 SOC 투자유의종목 지정]
빗썸이 소다코인(SOC)을 투자유의종목으로 지정했다고 공지했다. 이에 따라 오늘 16시 입금이 중지된다. 빗썸은 "재단의 개발 및 사업 현황을 확인하기 어렵고, 지난 투자유의 지정 기간에 재단 측에서 제출한 소명자료 대부분 이행되지 않았으며 커뮤니케이션 채널 관리 부재 등으로 투자자 보호를 위한 방안을 재단과 확인 중"이라고 전했다.
[게임파이 개발사 DEA, 자체 NFT 게임 '잡 트라이브' 한정판 NFT 출시]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싱가포르 소재 게임파이 개발사 겸 딥코인(DEP) 발행사 디지털엔터테인먼트애셋(이하 DEA)이 오는 3월 9일 17시부터 일본 라쿠텐 산하 NFT 마켓플레이스 라쿠텐 NFT에서 한정판 NFT를 출시한다. 해당 NFT는 DEA의 자체 NFT 카드 배틀 게임 '잡 트라이브'(Job Tribes)에서 사용 가능한 두 종류의 스타터팩으로 출시되며, 사용자는 라쿠텐 NFT 마켓에서 ETH 및 라쿠텐 포인트를 통해 구매할 수 있다. 코인마켓캡 기준 DEP는 현재 0.57% 오른 0.00484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인도 최대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로코, 아발란체와 파트너십...웹3 제품군 구축]
벤처비트에 따르면, 인도 최대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로코(Loco)가 아발란체(AVAX) 블록체인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21일 발표했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로코는 아발란체 멀티버스 인센티브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아발란체 서브넷 기반 웹3 제품군울 구축할 예정이다. 코인마켓캡 기준 AVAX는 현재 0.59% 오른 20.51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크립토닷컴, 1,750만 달러 상당 CRO 소각]
웨일알러트에 따르면, 한국시간 기준 21일 13시 26분 크립토닷컴 주소 0xCFFAd3200574698b78f32232aa9D63eABD290703에서 이더리움 블랙홀 주소 0x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dEaD로 2억 CRO가 이체됐다. 이더리움 블랙홀 주소는 프로젝트가 ERC20 기반 자체 토큰을 소각할 때 보내는 주소로, 해당 주소로 보내진 토큰은 총 공급량에서 제외된다. 코인마켓캡 기준 CRO는 현재 8.11% 오른 0.0873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특정 주소, 코인베이스로 $4320만 ETH 이체]
웨일알러트에 따르면 약 40분 전 '0xA38'로 시작하는 주소가 코인베이스로 2만5368 ETH를 코인베이스로 이체했다. 약 4320만달러 규모다.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타임스왑, 폴리곤 메인넷서 v2 버전 출시]
폴리곤(MATIC) 기반 탈중앙화 암호화폐 대출 프로토콜 타임스왑(Timeswap)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20일(현지시간) 폴리곤 메인넷 상에 v2 버전 프로토콜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v2 버전 업그레이드를 통해 대출자 및 유동성 공급자에게 만기 전 부채 상환 등 기능을 업데이트했다는 게 타임스왑 측의 설명이다.
[비트코인 NFT 프로토콜 오디널스, 라이트코인 포크 버전 출시]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호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앤서니 게레라(Anthony Guerrera)가 최근 비트코인 메인넷 기반 NFT 발행 프로토콜 오디널스(Ordinals)의 라이트코인(LTC) 포크 버전을 깃허브 상에 게시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익명의 트위터리안 인디고 나카모토(Indigo Nakamoto)가 라이트코인 버전 오디널스 제작에 건 5 LTC 상금을 걸었다는 소식에 자극을 받아 라이트코인 버전 오디널스 포크를 제작했다. 라이트코인 네트워크 역시 비트코인의 하드포크 버전으로, 세그윗 및 탭루트 업그레이드가 활성화돼 있어 오디널스 구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다. 네트워크의 유사성으로 포크 버전 제작에는 약 1주일밖에 소요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퍼지펭귄, 美 지재권 에이전트 '리테일 몬스터'와 파트너십]
유명 NFT 프로젝트 퍼지펭귄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미국 지식재산권(IP) 라이선스 에이전트인 리테일 몬스터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퍼지펭귄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향후 출시 예정인 퍼지 장난감 시리즈를 전 세계 소매업체에 제공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2/23 0시 FLOW 입출금 일시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원]
바이낸스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플로우(FLOW)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진행에 따라 한국시간 기준 23일 0시부터 FLOW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 24시간 WBTC·WETH 매집]
상위 100개 이더리움 고래 지갑이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많이 구매한 토큰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블코인은 제외.
1. WBTC $47,909
2. WETH $23,679
3. LINK $21,023
4. CRV $17,506
5. MATIC $16,187
6. SHIB $9,764
7. GRT $8,200
[오픈씨 씨포트 V1.4 배포...이전 버전 오류 해결]
오픈씨 개발자 0age에 따르면 Seaport V1.4 컨트랙트가 배포됐다. 이번 버전은 v1.2, v1.3에서 발견됐던 몇 가지 버그 등이 해결됐다.
[블랙록 메타버스 테마 펀드, 뉴욕증권거래소 아카 상장]
ETF스트래티지에 따르면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이 출시한 메타버스 테마 펀드 iShares Future Metaverse Tech and Communications ETF(IVRS US)가 뉴욕증권거래소 아카(NYSE Arca)에 상장됐다. 이 상품은 인도를 제외한 선진국 및 신흥국에서 유망 종목을 선택해 포트폴리오로 편입하는 모닝스타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는 메타버스 플랫폼, 웨어러블 기술, 가상현실(VR) 관련 기업이 포함된다.
[인권재단 최고전략총괄 "비트코인은 정부 억압으로부터 자유 지켜주는 울타리"]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알렉스 그래드스테인(Alex Gladstein) 인권재단(Human Rights Foundation) 최고전략총괄이 "비트코인은 언론의 자유, 재산권, 자본시장 개방화를 대표해 정부의 압제와 억압으로부터 저항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주주의가 붕괴된 국가는 법정화폐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돼 있는데, 비트코인은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탈중앙화라는 비트코인의 특성은 부패와 폭정으로부터 사람들을 지키는 울타리 역할을 한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는 검열과 자본 시장 폐쇄화, 재산 몰수 등을 자행하고 있지만, 비트코인은 이같은 행위를 어렵게 만든다"고 강조했다.
[외신 "코인글래스, 비트겟 BTC 미결제 약정 임의 조정...API 제공값과 달라"]
유력 암호화폐 미디어 우블록체인이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업체 코인글래스가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겟의 BTC 미결제 약정 규모를 임의 조정한 것으로 보인다. 조정된 수치는 비트겟 API 제공값과 약 50%의 차이가 존재한다. 이는 오류 또는 고의적인 데이터 조작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비트겟의 미결제 약정과 플랫폼 토큰을 제외한 머클트리 준비금 증명(merkle tree proof-of-reserves, POF) 간 레버리지 비율은 3.99배 수준이다. 이는 또 다른 파생상품 거래소 페멕스(Phemex) 다음으로 큰 레버리지"라고 설명했다.
[온체인 데이터 "전날 ETH 채굴자 보유량, 총 공급량 14% 차지"]
OKlink에 따르면 온체인 데이터 상 전날 이더리움 채굴자 주소의 보유량이 1700만 ETH를 돌파, 이더리움 총 공급량의 14.23%를 차지했다. 이는 연초 대비 90.9만 ETH 증가한 규모다
['사업 철수' 갈루아캐피탈 "새 펀드 출시 계획 없어"]
최근 사업 철수를 결정한 암호화폐 중심 헤지펀드 갈루아캐피탈(Galois Capital)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새로운 펀드를 출시할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FTX 채권 청구권 판매와 관련해서는 금융 브로커리지 기업 BTIG와 기밀유지계약(NDA)을 맺었기 때문에 거래 조건, 가격 등 구체적 내용은 공개할 수 없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BTIG 등과 협력해 청구권 경매에 나섰고 그 결과에 만족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는 갈루아캐피탈이 FTX 사태 여파로 사업 철수를 결정했으며, FTX 채권 청구권을 1달러당 약 16센트에 매도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한 바 있다.
[바이낸스, 오늘 STX·COCOS 무기한 선물 상장...최대 20배 레버리지 지원]
바이낸스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산하 암호화폐 선물 거래 플랫폼 바이낸스퓨처스 USDT 마켓에 스택스(STX), 코코스(COCOS) 무기한 선물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STX 무기한 선물은 한국시간 기준 21일 23시 30분, COCOS 선물은 한국시간 21일 23시 45분 상장되며, 최대 20배 레버리지 거래가 지원된다.
[dYdX 커뮤니티, 마켓메이커 리베이트 프로그램 도입 투표 진행]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dYdX(DYDX) 커뮤니티에서 마켓메이커(MM) 리베이트 프로그램 도입을 골자로한 거버넌스 제안 투표를 진행 중이다. 해당 안건을 발의한 dYdX 측은 "dYdX 플랫폼의 지속 가능성은 유동성 제공자와 트레이더 수를 유지하는 것이다. 만약 플랫폼 자체의 보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유동성 공급자인 마켓 메이커들을 붙잡아두기 어렵다. dYdX는 경쟁 플랫폼들과 달리 자체 마케팅 수수료 프로그램이 없다. 이는 유동성 기여 보상 프로그램의 일환이다. 하지만 현재의 시스템에서 마켓, 상품, 경쟁 플랫폼 수가 증가하면 MM이 가져갈 수 있는 보상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dYdX 30일 거래량 중 MM 팀이 기여한 거래량을 퍼센트로 집계해 5개 단계로 나눠 트레이딩 리베이트 보상을 0.0025%~0.01% 범위에서 차등 지급하는 방안을 건의한다"고 설명했다. 지난 2월 18일 상정된 해당 거버넌스 제안은 오는 22일 10시 34분 투표가 마감되며, 현재 투표에 참여한 2,400만 DYDX 토큰 중 99.66%가 찬성에 투표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