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골드만삭스 "3월 CPI 6% 넘으면 S&P500 최소 2% 하락" 전망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28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골드만삭스 "3월 CPI 6% 넘으면 S&P500 최소 2% 하락" 전망]

3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증감률이 전월과 마찬가지로 전년동월대비 기준 6%대를 기록한다면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가 적어도 2%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존 플러드 골드만삭스 파트너는 11일(현지시간) 발간한 보고서에서 12일 발표되는 3월 CPI 결과에 따른 증시 전망치를 통해 이같이 전망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보고서에서 플러드가 3월 CPI가 6%대를 기록할 경우 S&P500 지수는 최소 2% 하락, 5.2%∼6% 사이에서 형성된다면 1~2% 하락을 전망했다고 보도했다. 반면 CPI 증감률이 5.1% 이하로 집계될 경우 주가가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고 그는 전망했다. 4.6%~5.1% 사이에서 CPI가 형성되면 S&P500 지수는 0.5~1% 오르고, 4.6% 미만이면 주가 상승률은 2%를 넘긴다는 게 플러드의 예상이다. 시장 전문가들은 3월 CPI가 전년동월대비 5.1%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中 증시 블록체인 테마주 상승 마감]

중국 증시 A주 블록체인 테마주가 상승 마감했다. 중국 선전거래소 블록체인 50지수는 전날 대비 2.12% 상승한 3615.85 포인트를 기록했다. 블록체인, 디지털화폐 섹터는 각각 2.33%, 2.87% 상승 마감했다.

[BofA "이더리움 샤펠라 업글, 확장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성과 아냐"]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지난주 리서치 보고서에서 이더리움은 스마트 컨트랙트, 디앱 사용이 가능한 블록체인 운영체제 개념을 처음 도입했지만, 선점자 이점에도 불구하고 트랜잭션 처리량이 제한적이라고 지적했다. BofA의 알케시 샤와 앤드류 모스는 곧 진행될 샤펠라 업그레이드가 확장성과는 관계가 없지만 향후 업그레이드를 위한 전초전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술적 성과라면서도, 대안으로 떠오른 다른 차세대 블록체인들이 구현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거나 발전된 성과는 아니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더리움이 단기간에 트랜잭션 처리량을 늘리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며, 다른 블록체인과 경쟁이 치열해져 이더리움의 채택과 사용이 제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확장성을 개선할 수 있는 댕크샤딩 구현까지는 아직 몇 년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한편 이번 샤펠라 업그레이드로 인한 이더리움 단기 매도 압력 우려에 대해서는 "(스테이킹 ETH 인출 절차는) 밸리데이터의 단기적인 대량 이탈과 그로 인한 보안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업비트 4/18 HIVE, HBD, STEEM, SBD 입출금 일시 중단]

업비트는 HIVE, HBD, STEEM, SBD 월렛 시스템 점검으로 인하여 4월 18일 23시 HIVE, HBD, STEEM, SBD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상하이 데이터 거래소, 이더리움서 NFT 1000개 발행]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중국 정부 산하 상하이 데이터 거래소는 프리민트 메커니즘을 사용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총 1000개의 기념 NFT를 발행했다. 현재 민팅 완료됐다.

[바이낸스 CEO "홍콩 은행 암호화폐 지원 시작...새 스테이블코인 등장 기대"]

자오창펑 바이낸스 CEO가 "홍콩 은행들이 암호화폐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더 많은 자금이 홍콩으로 이동할 것이다. USDT 시가총액만 $800억이다. 앞으로 더 많은 스테이블코인이 등장할 것"이라고 트윗했다.

[스시스왑 "곧 버그 피해 사용자 자금 반환 시작"]

스시스왑이 화이트햇/블랙햇 컨트랙트별 사용자 자금 상환 절차를 업데이트했다. 사용자 자금이 화이트햇 컨트랙트에 보관돼 있다면 곧 안전하게 클레임 가능할 것이며, 화이트햇 컨트랙트에 보관돼 있지 않다면 이메일이나 디스코드를 통해 분실 자금의 트랜잭션ID와 블록체인 데이터를 제공해야 한다. 블랙햇 자금은 수동 확인이 필요하므로 반환 절차가 더 오래 걸린다. 앞서 코인니스는 스마트 컨트랙트 버그로 인해 스시스왑이 $330만 손실을 입었다고 전한 바 있다.

[FTX, 모든 렌프로토콜 자산 콜드 월렛으로 이전]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FTX가 공식 성명을 통해 "FTX 및 FTX 관계사가 보유하고 있는 크로스체인 프로토콜 렌(REN)의 주식 및 모든 암호화폐 자산을 렌 인프라 및 시스템 종료 가능성에 대비해 FTX 채무자의 콜드 스토리지 지갑으로 이전하도록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FTX 측은 "특히 렌의 암호화폐 자산의 경우 다른 채무자 콜드 월렛과는 다른 지갑으로 이체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해 11월 렌 측은 "현재 남은 자금으로 렌 개발팀은 4분기까지만 운영이 가능하다. 추가 자금 조달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렌 프로토콜은 지난 2021년 FTX 관계사 알라메다리서치에 인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코인마켓캡 기준 REN은 현재 11.54% 내린 0.0961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킵 "SUI 에어드랍 없어도 SUIBG↔SUI 일정 비율 환전 지원"]

웹3 멀티체인 지갑 비트킵(BitKeep)이 공식 채널을 통해 "레이어1 프로젝트 수이(SUI)가 에어드랍을 진행하지 않아도 자체 선물형 토큰 SUIBG와 SUI간의 일정 비율 환전을 지원할 것"이라며 "아직 공식 출시되지 않은 SUI 토큰에 대한 액세스가 가능한 토큰은 SUIBG가 유일하다"고 밝혔다. 이어 비트킵 측은 "플랫폼 내 SUIBG 에어드랍, ARBK 사용자 대상 에어드랍, 거래 채굴, 친구 초대, 비트겟 이벤트 등을 통해 획득한 SUIBG에 대해서만 SUI 환전을 지원하며, 공식 루트가 아닌 경로를 통해 취득한 SUIBG에 대해서는 환전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SUIBG는 향후 수이네트워크의 메인넷 출시 후 공식 SUI 토큰과 일정 비율로 교환되는 선물 성격의 토큰이다. 앞서 수이 공동 창업자 아데이니 아비오둔(Adeniyi Abiodun)은 "SUI 에어드랍은 계획된 바도 없고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며 "SUI 에어드랍 관련 허위 정보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1분기 웹3 해킹 피해 규모 $2.95억...전 분기比 77%↓]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보안 전문 업체 비오신(Beosin)에 따르면 올 1분기 웹3 분야에서 총 61건의 해킹 공격이 발생해 2억 9500만 달러 규모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4분기 대비 77% 줄어든 수치다. 1분기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분야는 디파이였다. 총 42건의 해킹 공격이 발생했고, 피해 규모는 2억 4,800만 달러로, 전체 피해의 84%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러그풀은 41건, 피해금액은 총 2,034만 달러 수준이었다.

[빗썸, 오늘 15시 BEP-20 계열 가상자산 입출금 일시중단]

빗썸이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BSC) 메인넷 업그레이드로 인해 12일 15시 BEP-20 계열 가상자산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입출금 일시 중단 대상은 팬케이크스왑(CAKE), 비너스(XVS), 코인98(C98), 스테픈(GMT), 아치루트(ALT), 마인즈 오브 달라니아(DAR), 세이프팔(SFP), 훅트프로토콜(HOOK)이다.

[홍콩 입법회 의원 "웹3 산업, 기술-정책 함께 발전시켜야"]

홍콩 입법회(의회) 의원 치우다건(邱达根)이 12일 개최된 2023 홍콩 웹3 페스티벌에서 "웹3 산업을 위해서는 기술과 정책을 동시에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그래야 보다 나은 경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홍콩 정부는 가상자산, 스테이블코인 등을 적절하게 규제하기 위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금은 홍콩 웹3 산업 발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다. 이제 질서있고 합법적으로 웹3 산업 발전을 지원하기 위해 남은 것은 규제법 개정, 산업 규제, 투자자 보호 및 기업 관리 등이다"라고 덧붙였다.

[리서치 "ETH 상하이 업그레이드 첫 주 언스테이킹 물량 1% 미만"]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암호화폐 온체인 데이터 분석 업체 글래스노드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이더리움(ETH) 상하이 하드포크가 적용된 첫 주 내 비콘체인에 스테이킹된 1,810만 ETH 중 1% 미만에 해당하는 약 17만 ETH가 언스테이킹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보고서는 "현재까지 비콘체인에 ETH를 스테이킹한 검증자 중 253개 검증자만이 ETH 포지션 완전 출금을 위해 등록한 상태다. 또 지나치게 많은 양의 ETH가 한 번에 시장에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상의 메커니즘도 존재한다. 따라서 극단적인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ETH 가격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메이드 대표 "지닥 위믹스 해킹, 우리 문제 아닌 거래소 문제"]

위메이드 장현국 대표가 최근 가상화폐 거래소 지닥(GDAC)에서 해킹으로 위믹스(WEMIX)가 대량으로 유출된 사태와 관련해 "블록체인의 문제도, 우리 플랫폼 서비스의 문제도 아닌 거래소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12일 온라인으로 진행한 2분기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위믹스 재단이 보유한 위믹스는 모두 재단 지갑 또는 커스터디(수탁) 지갑에 있고, 지닥에서 유출된 위믹스는 모두 이용자들의 물량이다. 지닥에서 유난히 위믹스가 많이 탈취된 이유는 알 수 없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위믹스의 증권성 여부, 국내의 블록체인 게임 규제와 관련해 "위믹스는 발행처인 싱가포르 당국에서 증권이 아니라는 판단을 받았고, 한국이나 미국은 가상화폐의 증권성에 대한 기준을 현재 논의 중이다. 저나 (위메이드 창업자) 박관호 의장이 위믹스를 매입한다고 그게 곧 증권이 되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홍콩 웹3 허브 재단 출범...첫 의장에 홍콩 재무국장 '천마오보' 선임]

복수의 중국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홍콩 웹3.0 협회 및 홍콩 웹3 허브 재단이 11일 공식 출범했다. 재단의 첫 의장으로는 천마오보(陳茂波) 홍콩 특구 정부 재정사(司) 사장(국장)이 선임됐으며, 핀테크, 블록체인, 암호화폐 분야 전문가들로 관리위원회가 구성됐다. 재단은 향후 홍콩과기원, 정부 혁신 과학 기술 부서 등과 협력해 글로벌 웹3 기업의 홍콩 시장 진출을 지원할 예정이다.

[닥사 OMG, SRM 상장폐지]

업비트, 빗썸 등으로 구성된 닥사는 4월 26일 14시 오미세고(OMG), 세럼(SRM) 거래지원을 종료한다고 공지했다.

[스텔라개발재단 CEO "연내 스테이블코인 규제해야 달러 패권 유지 가능"]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스텔라개발재단(SDF) CEO 데넬 딕슨은 올해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시행되지 않으면 미국과 달러화가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달러 패권 유지를 위해서는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딕슨은 스테이블코인 규제에 대해 선택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며, 기술 스택보다는 사용자 유틸리티와 가치에 더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日 재무관 "G7, 국제 표준 CBDC 개발도상국 도입 지원 방안 검토 중"]

간다 마사토(神田眞人) 일본 재무성 재무관이 미국 워싱턴D.C.에서 개최된 한 세미나에 참석해 "주요 7개국(G7)은 적절한 국제 표준 부합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를 개발도상국에 도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G7 의장국을 맡은 일본의 재무관은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 기술에 발 맞추고, 글로벌 커뮤니티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BDC 관련 논의는 G7 회담의 핵심 주제 중 하나가 될 것"이라며 "적절한 투명성과 건전한 거버넌스와 같은 요소를 보장해 CBDC 관련 리스크를 해소해야 한다. 개발도상국이 G7가 제시한 표준에 부합하는 소매용 CBDC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이날 "지난해 암호화폐 거래소 FTX의 붕괴는 특히 각국 정책입안자들의 경각심을 일깨워줬다. 각국의 견해와 입장은 조금씩 다르지만, FTX 사태 이후 보다 많은 규제가 필요하다는 데는 분명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고 강조했다.

[업비트 4/16 BORA, SSX, OBSR 입출금 중단...클레이튼 하드포크]

업비트는 4월 16일 12시부터 KCT 계열 BORA, SSX, OBSR 입출금 지원을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4월 17일 클레이튼 네트워크 하드포크가 예정돼 있기 때문이다.

[컨센시스, 내일 이더리움 샤펠라 업그레이드 기념 무료 NFT 출시]

이더리움 인프라 개발사 컨센시스가 이더리움 상하이/카펠라 업그레이드를 기념해 'Ethereum,Evolved:Shanghai' NFT 컬렉션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4월 13일 코어 개발자에게 에어드랍되는 에디션과 메타마스크 지갑 사용자 누구나 받을 수 있는 퍼블릭 에디션으로 나뉜다. 민팅 시작 후 72시간까지 무료 NFT를 받을 수 있다.

[음악 NFT 플랫폼 Sound.xyz 3개월 내 오픈]

음악 NFT 플랫폼 Sound.xyz는 3개월 내 모든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플랫폼을 오픈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바이낸스, BNB 및 BEP20 입출금 일시 중단...네트워크 하드포크 지원]

바이낸스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BNB 스마트 체인 네트워크의 업그레이드 및 하드포크 작업을 지원하며, 이에 따라 한국시간 기준 4월 12일 14시 15분부터 BNB 및 BEP20 토큰들의 입출금이 일시 중단된다고 공지했다. BNB체인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하드포크는 BNB 스마트 체인 블록높이 27,281,024 도달 시 활성화될 예정이다. 한국시간 기준 4월 12일 14시 30분으로 전망된다. 코인니스는 앞서 BNB체인이 크로스체인 보안 강화를 위해 12일 플랑크(Planck) 하드포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보도한 바 있다.

[홍콩, 中 항저우시 웹3 산업 연계 MOU 체결]

복수의 중국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12일 홍콩에서 개최된 2023 홍콩 웹3 페스티벌에서 쿵더쥔(孔德君) 중국 항저우시 샹청구 인민정부 부구청장이 홍콩 무역발전국 대표 리다펑(李达锋)이 '항저우-홍콩 웹3 산업 연계 MOU'를 체결했다. 양 정부는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지역적 장점을 활용, 관련 리소스를 공유하고, 웹3 산업 연계 및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바이낸스, 4/13 XVS 무기한 선물 상장]

바이낸스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한국시간 기준 4월 13일 11시 30분 USDT 기반 무기한 선물 마켓에 비너스(XVS)를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최대 20배 레버리지 거래를 지원한다. 코인마켓캡 기준 XVS는 현재 2.15% 내린 6.5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건보료 책정 때 코인 자산도 반영" 법 개정 추진]

가상자산에 투자한 재산을 건강보험공단이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국회에 발의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한규 국회의원(제주시을)은 국민건강보험공단(건보공단)이 가상자산사업자에게 정보 제공을 요청할 수 있게 하는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김 의원은 "지역가입자의 건보료 책정시 재산 정보가 필요한데, 가상자산이 재산 은닉의 수단이 되고 있다"며 "건보공단이 가상자산에 넣어둔 재산까지 볼 수 있어야 보험료 부과에 공정성이 높아질 것"이라며 법안의 취지를 설명했다.

[솔라나폰 사가 4/14 새벽 제품 발표회]

태평양 표준시 4월 13일 오전 10시 솔라나 웹3 기능 지원 스마트폰 사가(Saga) 론칭 이벤트가 열릴 예정이다. 한국시간으로는 4월 14일 새벽 2시다.

[업비트, STX 입출금 일시 중단...월렛 점검]

업비트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스택스(STX) 월렛 시스템 점검에 따라 STX 입출금 서비스를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블록체인 캐피탈, 보유 LDO·RPL 대부분 매도]

온체인 분석가 비트코인엠버에 따르면 블록체인 캐피탈은 오늘 오전 대부분의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LDO, RPL)을 매도해 $223만 이익을 실현했다. 앞서 블록체인 캐피탈은 2022년 1월 27일-동년 2월 22일 기간 1,535,919 LDO를 평균 $1.67에 매입했었고, 4시간 전 1,535,919 LDO를 1871 ETH($357만)로 교환했다. 평균 매도가는 $2.33다. RPL의 경우 2021년 10월 8일-2022년 4월 15일 유니스왑에서 평균 $34.4에 120,775 RPL을 매입해 4시간 전 65,352 RPL을 1522 ETH($290만)로 교환했다. 평균 매도가는 $44.5다. 이를 두고 비트코인엠버는 블록체인 캐피탈이 상하이 업그레이드까지 24시간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유동성 스테이킹 토큰 보유량의 대부분을 매도했다는 사실이 의미심장하다고 말했다.

[바이낸스, 4/17 KLAY 입출금 일시중단]

바이낸스가 클레이튼(KLAY)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하드포크 지원으로 오는 17일 0시(한국시간) KLAY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우지한 채굴업체 비트디어, 4/14 나스닥 스팩 상장]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세계 최대 암호화폐 채굴기 제조사 비트메인의 공동 창업자 우지한이 비트메인에서 분할시켜 소유하고 있는 채굴업체 비트디어가 나스닥 상장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블루 사파리와의 사업 합병 승인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나스닥에 우회 상장하게 되는 비트디어 주식은 4월 14일(현지시간) 나스닥에서 티커 BTDR로 거래를 시작할 예정이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KBW 2025 사전 행사 ‘K.I.N.G’ 성료…0G랩스, 인터뷰 직후 바이낸스 상장 소식

KBW 2025 사전 행사 ‘K.I.N.G’ 성료…0G랩스, 인터뷰 직후 바이낸스 상장 소식

글로벌 VC 200곳 몰린다…‘경기 스타트업 서밋’, 제3 벤처붐 시동

글로벌 VC 200곳 몰린다…‘경기 스타트업 서밋’, 제3 벤처붐 시동

댓글

댓글

28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8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금동보안관

2023.04.23 00:42:13

잘 읽었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Atomy찰리

2023.04.13 23:56:44

좋아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3.04.13 15:39:02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블루레인

2023.04.13 12:36:46

잘봤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꽃미인

2023.04.13 12:34:18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남이대장군

2023.04.13 10:07:43

적당히해라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늘봄

2023.04.13 07:45:4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양주사랑

2023.04.13 07:21:35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StarB

2023.04.13 07:16:16

ㄱ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gymboree

2023.04.13 05:13:4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