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재무장관 "디지털 화폐, 국가간 결제 시스템에 도입될 수 있다"]
러시아 타스 통신에 따르면 안톤 실루아노프 러시아 재무장관이 "향후 디지털 화폐의 국가간 결제 시스템 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는 곧 새로운 기술을 기반으로 한 잠재적 결제 시스템을 구축해나갈 예정이다. 디지털 화폐가 국가 간 결제 시스템에 도입될 수 있다. 새로운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는 가능성을 검토하는 수준의 초기 단계에 있다. 가까운 미래에는 디지털 루블, 디지털 위안화 등 화폐가 사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1쉐어즈-아크 인베스트, 비트코인 현물 ETF 재신청]
블룸버그에 따르면 ETP 상품 운영사 21쉐어즈와 캐시 우드가 이끄는 아크 인베스트먼트가 공동으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비트코인 현물 ETF 상품 출시를 다시 신청했다. 21쉐어즈와 아크 인베스트의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은 지난 1월, 작년 4월 SEC에 의해 반려된 바 있다.
[美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 피규어, 블록체인에 ABS 발행..첫 신용평가 획득]
블록체인 기반 담보 대출 서비스 업체 피규어 테크놀로지스가 자체 개발한 퍼블릭 블록체인 프로비넌스에서 주택 모기지와 신용대출을 혼합한 상품인 HELOC(Home Equity Line of Credit)을 기반으로 한 자산 유동화 증권(ABS)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DBRS 모닝스타는 해당 ABS 클래스 A 채권에 대해 AAA 등급을, 클래스 B 채권에 대해 A 등급을 부여했으며, JP모건, 골드만삭스 등이 ABS를 매입에 참여했다. 이와 관련해 피규어 측은 "신용 등급을 부여받은 피규어의 첫 블록체인 기반 ABS 발행"이라고 설명했다.
[비트킵, 향후 레이어제로 토큰 수령 위한 인증 토큰 론칭]
월렛 서비스 비트킵과 거래소 비트겟이 레이어제로(LayerZeo) 에어드랍 인증 토큰인 LZBG를 론칭한다고 밝혔다. LZBG 토큰은 향후 레이어제로 공식 토큰과 교환된다. 비트킵 월렛, 비트겟 거래소에서 각각 LZBG 토큰을 수령할 수 있으며, LZBG 홀더는 향후 특정 미션을 수행하고 레이어제로 공식 토큰을 수령할 수 있다.
[아즈텍, 2차 개발자 보조금 프로그램 출시]
이더리움 프라이버시 보호 솔루션 아즈텍(Aztec)이 2차 개발자 보조금 프로그램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2차 프로그램은 느와르(Noir) 에코 개발자에게 보조금 지급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 느와르란 영지식 증명의 생성검증을 위한 도메인 전용 언어이며, 영지식 개발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아즈텍 측은 "이미 느와르로 구축한 프로젝트가 있다면 지원금의 소급 신청도 가능하다"고 전했다.
[디플로우, 550만 달러 투자 유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디파이(DeFi) 프로토콜 디플로우(DFlow)가 55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프레임워크 벤처스가 주도했으며, 코인베이스 벤처스, 서클 벤처스, 컴벌랜드, 윈터뮤트 벤처스, 스파르탄 그룹, 지프라임 등이 함께 참여했다. 투자금의 구체적인 사용처는 밝혀지지 않았다.
[쿠코인, 3월 160만 달러 상당 KCS 소각 완료]
암호화폐 거래소 쿠코인이 3월에 약 160만 달러에 해당하는 184,096개의 거래소 토큰 KCS의 소각을 완료했다고 공지했다. 쿠코인의 3월 기준 수익의 10%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이더파이, 솔로 스테이커 프로그램 출시]
비수탁형 유동성 스테이킹 플랫폼 이더파이(Ether.Fi)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솔로 스테이커(Solo Stakers)프로그램을 출시했다고 알렸다. 해당 프로그램은 솔로 스테이커 신청자에게 이더리움 검증 노드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와 스테이킹할 이더리움을 제공해준다.
[NFT스캔, 앱토스서 NFT 브라우저 론칭]
NFT 브라우저 및 데이터 플랫폼 NFT스캔(NFTSCAN)이 앱토스 네트워크서 NFT 브라우저를 론칭했다. 이를 통해 이용자는 앱토스 기반 NFT에 대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USDT 마켓, 스테이블 코인 중 유동성 압도적 1위]
코인데스크가 프랑스 파리 소재 암호화폐 데이터 제공업체 카이코(Kaiko)의 데이터를 인용,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BTC/TUSD 페어의 거래량이 지난 4주간 급증했지만, 유동성 측면에서는 BTC/USDT 페어가 압도적이라고 전했다. 카이코의 리서치 애널리스트 코너 라이더는 "바이낸스가 BTC/TUSD 페어의 거래 수수료를 제로화 함으로써, 거래량이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시장 뎁스(유동성 측정에 사용되는 데이터)에 따르면 유동성 측면에서 BTC/USDT가 여전히 압도적이며, 마켓 메이커 역시 테더마켓에서 활동하는 것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타이니탭, 850만 달러 규모 투자 유치]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애니모카브랜드 자회사인 교육 콘텐츠 플랫폼 타이니탭이 85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투자는 세쿼이아 차이나, 쉬마 캐피털, 폴리곤, 리버티 시티 벤처스, 킹스웨이 캐피털, 게임파이 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추가 인력 채용과 제품 개발에 사용될 예정이다.
[우간다 고등법원, "중앙은행 암호화폐 금지 가이드라인, 문제 없다"]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우간다 고등법원 판사가 허가받은 법인과 개인이 암호화폐 거래 행위를 하는 것을 금지하는 우간다 중앙은행의 가이드라인을 철회해달라는 신청을 기각했다. 무사 스세카나판사는 판결문에서 "우간다 중앙은행(BOU)의 가이드라인(암호화폐 금지)은 개인의 재산권을 침해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그러면서 "이 지침은 중앙은행이 우간다에서 결제 수단으로 정의되지 않은 시스템을 합법화하지 않으려는 결정"이라고 덧붙였다. 작년 5월 코인니스는 우간다 중앙은행이 암호화폐 거래 및 환전 행위를 금지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한 바 있다.
tokenpost.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