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암호화폐 애널 "美 10년물 국채금리 3.5% 하회 시 비트코인 4만5000 달러 상승"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25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암호화폐 애널 "美 10년물 국채금리 3.5% 하회 시 비트코인 4만5000 달러 상승"]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업체 매트릭스포트(Matrixport)의 수석 연구원 마르쿠스 틸렌(Markus Thielen)이 26일 자신의 SNS를 통해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가 3.50% 이하로 내려갈 경우 비트코인에 순풍이 불 것"이라며 "이 경우 비트코인은 연말 약 45,000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그는 "지금 가격대에서 45,000 달러 전망은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비춰질 수 있지만, 충분히 달성 가능한 목표가다. 따라서 비트코인의 공정가치(fair value) 수준으로 평가되는 27,000~27,500 달러 부근에서 BTC 매수는 합리적 선택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BTC는 현재 3.54% 오른 28,351.17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아발란체 코티나 업그레이드, 메인넷서 활성화]

아발란체(AVAX)가 오늘 새벽 공식 트위터를 통해 "코티나(Cortina) 업그레이드가 메인넷에서 활성화됐다"고 밝혔다. 이번 코티나 업그레이드에는 X체인(X-Chain) 마이그레이션, 위임자 일괄 보상, C체인 가스 상한을 블록당 1500만 가스로 늘리는 방안이 포함됐다.

[비탈릭 "블록체인, 인간의 협력과 상호작용이 핵심"]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탈릭 부테린 이더리움(ETH) 창시자가 최근 한 인터뷰에서 "블록체인의 핵심은 인간의 협력과 상호작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서로 다른 그룹에 속했던 사람들이 블록체인 기술을 구심점으로 모여 서로를 더 신뢰하고 다양한 종류의 프로젝트를 추진해가며 협력한다. 기술은 결국 사람들을 모으고 조직하는 것을 도와주는 도구다. 궁극적으로 모든 기술들은 소셜 기술의 일종"이라고 설명했다.

[피터 브랜트 "SEC 위원장, 투자자 이익 보호 안 해...대형은행 하수인"]

미국 유명 암호화폐 트레이더 피터 브랜트(Peter Brandt)가 트위터를 통해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게리 겐슬러 위원장의 정체에 대해 알아야 한다. 그는 파산, 사기 사건에서 기업의 도피처 역할을 했던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위원장 출신이다. CFTC는 2011년 파산한 미 선물중개업체 MF글로벌이 고객 자금을 유용해 유로존 국채에 투자할 때 이를 승인하기도 했다. 겐슬러 위원장은 투자자 이익을 보호하는 게 아니다. 그는 대형은행 및 브로커의 하수인이다. FTX가 바로 그 증거"라고 지적했다.

[멀린 공격자, 바이낸스 등 거래소로 165,000 USDC 이체]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펙실드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에 노출된 zkSynk 기반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 멀린(Merlin) 해커 추정 주소(0x2744로 시작)가 3만 1000 달러 상당 USDC를 바이낸스로, 13만 38000만 달러를 MEXC로 이체했다. 해당 주소는 총 16만 5000 USDC를 중앙화거래소(CEX)로 이채했다"고 밝혔다. 앞서 멀린은 182만 달러의 암호화폐를 도난 당했다고 밝힌 바 있다.

[외신 "익스플로잇 피해 DEX 멀린, 코드감사 무용지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25일(현지시간) 메이지(MAGE) 토큰 퍼블릭 세일 과정에서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에 노출돼 110만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를 탈취당한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 멀린(Merlin)은 블록체인 보안 업체 서틱(CertiK)으로부터 코드감사를 완료했지만 보안사고를 막지 못했다. 당시 서틱은 감사 과정에서 중대한 취약점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진단했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멀린이 익스플로잇에 노출될 때 유동성 풀을 통제할 수 있는 일부 주체는 어렵지 않게 자금을 인출할 수 있었다. 이는 복잡하거나 정교하게 계획된 공격이 아니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멀린 측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익스플로잇 사고를 조사 중"이라며 "사용자는 거래소 내 월렛 연동을 해제하고 서명 권한을 철회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스시스왑 CEO "내달 토크노믹스 개선 새 거버넌스 대시보드 공개"]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 스시스왑(SUSHI)의 자레드 그레이(Jared Gray) 헤드셰프 겸 최고경영자(CEO)가 트위터를 통해 "1월 개선된 토크노믹스 제안 이후 4개월간 이를 보완해왔다. 이제 토크노믹스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셰프 컨트랙트를 전면적으로 개편할 계획이며, 곧 토크노믹스를 거버넌스 프로세스로 옮겨 최종적인 논의와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새롭게 구축된 거버넌스 대시보드는 5월 공개된다. 우리의 목표는 다오(DAO) 운영의 투명성을 높이고, 거버넌스 참여율을 높이는 것"이라고 밝혔다.

[해시플로우, 전 아비트럼 CMO 영입]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 해시플로우(HFT)가 아비트럼의 전 최고마케팅책임자(CMO) 앤드류 손더스(Andrew Saunders)를 CMO로 영입했다고 공식 미디움을 통해 밝혔다. 손더스는 아비트럼에 합류하기 전 아마존 글로벌 브랜드 마케팅 팀에서 근무한 바 있다.

[멀린 "익스플로잇 분석 중...이용자, 월렛 연동 해제해야"]

오늘 익스플로잇(취약점 공격)에 노출된 zkSynk 기반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 멀린(Merlin)이 트위터를 통해 "현재 이와 관련해 분석 중"이라며 "사용자는 거래소 내 월렛 연동을 해제하고 서명 권한을 철회하라"고 당부했다. 앞서 우블록체인은 멀린이 이번 해킹으로 182만달러 상당 암호화폐를 도난당했다고 전한 바 있다.

[위메이드, 301억 규모 비덴트 전환사채 처분]

위메이드(WEMIX)가 301억원 규모의 제15회차 비덴트 전환사채를 처분한다고 26일 공시했다. 이번 조치는 조기상환청구권을 행사하고 투자자금을 회수하기 위함이다. 처분 예정 일자는 오는 27일이다. 앞서 위메이드는 빗썸의 주요 주주인 비덴트에 1000억원에 육박하는 대규모 투자를 집행하며 간접적으로 빗썸과 연을 맺었다.

[콤보, 테스트넷 출시]

웹 3 게임 개발을 위한 확장 솔루션 제공 인프라 프로젝트 콤보(COMBO)가 공식 테스트넷을 출시했다고 25일 트위터를 통해 밝혔다. 사용자는 BNB 체인 테스트넷에서 해당 제품을 테스트할 수 있다.

[수이 재단, 23만 달러 규모 2차 보조금 지급 대상자 선정 완료]

레이어1 블록체인 수이(Sui) 재단이 지난 1월 19일 신청을 마감한 온체인 개발자 보조금 프로그램 지급 대상자를 발표했다. 이번 보조금 지급 대상자에는 게임, 금융, 거버넌스 등의 8개 프로젝트가 이름을 올렸다. MoveFuzz, ChainIDE, OneKey, Cetus, Noot Standard, Movernance, Momentum Safe, Carbon으로, 각 프로젝트는 1만5000~5만 달러 상당의 보조금을 받게 된다. 수이 재단은 "개발자 보조금 프로그램은 여전히 현재 진행 중이다. 수이 커뮤니티 모든 빌더가 신청할 수 있다"고 전했다.

[서클 CEO "미 암호화폐 규제 및 은행 위기, USDC 점유율 하락 야기"]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의 최고경영자(CEO) 제레미 알레어(Jeremy Allaire)가 블룸버그 인터뷰에서 "최근 미국 내 은행 시스템 위기와 암호화폐 규제 리스크로 인해 투자자들이 미국을 벗어나려 하고 있다"며 "그로 인해 USDC 점유율이 하락했다"고 말했다. 앞서 그는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달러 패권이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쉘프로토콜, 자체 토큰 출시 가능성]

디파이 프로토콜 쉘프로토콜(Shell Protocol)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자체 토큰의 출시를 암시하는 트윗을 게재했다. 해당 트윗에서 쉘 측은 공식 로고의 디자인을 본뜬 토큰 로고와 함께 "곧 미스터리한 토큰이 공개된다"고 설명했다.

[옴니네트워크, $1,800만 투자 유치...판테라캐피털·해시드 등 참여]

이더리움 상호운용성 프로토콜 옴니네트워크(Omni Network)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최근 진행한 펀딩 라운드를 통해 1,8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옴니네트워크의 이번 투자 라운드에는 판테라캐피털, 투시그마벤처스, 점프크립토, 해시드, 더스파르탄그룹 등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날 옴니네트워크 측은 "옴니는 크로스 롤업 앱들이 블록체인 생태계의 새로운 표준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호운용성 프로토콜이다. 이더리움의 핵심 기술 파트너인 아이건레이어, 아비트럼, 폴리곤, 스타크웨어, 스크롤, 리네아 팀과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中 앤트그룹 부총재 "이더리움 호환 웹3 컨소시엄체인 출시 예정"]

복수의 중국 현지 미디어에 따르면, 중국 전자상거래 공룡 알리바바의 핀테크 계열사 앤트그룹의 장궈페이(蒋国飞) 부총재가 26일 항저우에서 개최된 앤트그룹 디지털 개발자 포럼에 참석해 "이더리움(ETH)과 호환 가능하고 다수의 기관이 공동 참여할 수 있는 웹3 개방형 컨소시엄 체인 출시를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날 그는 "앤트그룹은 ▲만개의 노드, 수십만 TPS, PB급 장부 저장 및 데이터 처리 능력을 갖춘 대규모 블록체인 아키텍처 ▲오픈소스 크로스체인 브릿지 프로토콜 앤트체인브릿지 ▲네트워크, 미들, 애플리케이션, 비짓 레이어 커버 가능 이더리움 호환 컨소시엄 체인 등을 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美 SEC 위원장 '암호화폐 3/4 비증권 해당' 5년 전 강의 영상 트위터서 화제]

26일 트위터에서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CEO, 에릭 부어히스 쉐이프시프트 CEO 등 주요 크립토 업계 리더들이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의 5년 전 MIT 교수 재직 당시 강의 동영상을 리트윗하며 현 SEC 위원장의 '태세전환'을 비판하고 있다. 해당 영상에서 겐슬러 현 SEC 위원장은 "미국을 비롯한 많은 지역 시장에 존재하는 암호화폐 중 3/4은 ICO(토큰공개)가 아니며, 증권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증권성 여부를 판단할 때 하위테스트 및 유사 기준을 활용하는 미국, 캐나다, 대만에서도 마찬가지다. 암호화폐는 상품, 현금 성격을 가졌을 뿐"이라고 말하고 있다. 해당 영상의 최초 게시자인 크립토 인플루언서 'ZK_shark'는 "영상 클립은 '블록체인과 돈'이라는 주제로 2018년 MIT 대학원에서 겐슬러가 강의한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겐슬러는 위선을 떨고 있다"고 지적했다.

[외신 "애플 '인앱결제 강제' 경쟁법 위반 판결, 암호화폐·NFT iOS 앱에 호재"]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가 "지난 24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법원이 인기 게임 포트나이트 개발사 에픽게임즈가 애플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서 애플의 '인앱결제 강제' 정책은 주 경쟁법 위반에 해당한다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애플이 항소해 판결이 뒤집히지 않는 한, 암호화폐 및 NFT 프로젝트들이 iOS 앱에 보다 자유롭게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이라고 26일 보도했다. 이와 관련 미디어는 "애플은 그동안 앱 개발사들에게 30%의 결제 수수료를 부과하는 자체 결제 루트 외 결제 수단 사용을 금지하는 정책을 적용해왔다. 하지만 이번 판결로 개발사들은 앱 사용자를 자체 시스템으로 유도해 보다 자유로운 환경에서 결제 진행이 가능해졌다"고 설명했다.

[中 위챗페이, 위챗 미니앱 등 일부 계정 대상 디지털 위안 결제 지원]

중국의 국민 메신저인 '위챗'의 간편결제 서비스 위챗페이가 공식 채널을 통해 위챗 애플리케이션 내 미니앱, 숏폼 영상 플랫폼 계정 등 일부 계정에 디지털 위안화 결제를 지원한다고 26일 발표했다. 이와 관련 위챗 측은 "위챗 사용자는 앱 내 디지털 위안화 지갑 간편결제 기능을 활용해 가맹 스토어와 거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zkSync 기반 DEX 멀린, 해킹 노출 정황...$182만 암호화폐 도난]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영지식 증명 이더리움(ETH) 롤업 레이어2 네트워크 zkSynk 기반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 멀린(Merlin)이 해킹에 노출된 정황이 포착됐다. 멀린은 약 182만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를 도난당했으며, 유동성 풀 내 자금이 유출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관련 우블록체인은 "최근 zkSync 기반 프로젝트들의 사건 사고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사용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바이낸스, BAND 입출금 일시 중단...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원]

바이낸스가 방금 전 공식 사이트를 통해 밴드프로토콜(BAND)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지원을 위해 한국시간 기준 4월 27일 22시부터 BAND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밴드프로토콜의 네트워크 업그레이드는 블록높이 16,562,500에서 활성화되며 27일 23시 경으로 전망된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KBW2025]

[KBW2025] "AI는 신뢰가 핵심"…블록체인 해법에 시선 집중

[KBW2025]

[KBW2025] "기관 첫 발 뗐다"...아메리칸 비트코인 , 채굴·DAT 결합 전략 구사

[KBW2025] 아서 헤이즈

[KBW2025] 아서 헤이즈 "美 정부 기조, 사이클 패턴 깬다...비트코인 100만 달러 가능성"

댓글

댓글

25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5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엠마코스모스

2023.04.27 22:13:25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남이대장군

2023.04.27 09:47:32

파이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경희

2023.04.27 08:20:14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에드워드김

2023.04.27 07:54:33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황보드야

2023.04.27 07:20:53

잘보고갑니다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황보드야

2023.04.27 07:20:48

그래요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haocha76

2023.04.27 07:14:00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1
0

이전 답글 더보기

XrpXdc

2023.04.27 05:52:2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러너일이

2023.04.27 04:54:54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양주사랑

2023.04.27 03:38:56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