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밈 코인 관심도, 미국 1위...이어 인도·영국·필리핀 순 外

프로필
토큰포스트 기자
댓글 13
좋아요 비화설화 0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밈 코인 관심도, 미국 1위...이어 인도·영국·필리핀 순]

코인게코 보고서를 인용해 최근 밈코인 열풍을 주도하고 있는 국가는 미국, 인도, 영국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보고서는 "온라인상 국가별 밈코인 관심도를 분석한 결과, 미국의 비중이 23.6%로 나타났으며 이어 인도와 영국 순으로 조사됐다. 미국 이용자들이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밈코인은 SHIB, PEPE, VOLT 순이었다. 아울러 지난 3일 기준 밈코인의 시가총액은 182억 5000만 달러 규모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설명했다.

['SEC 기소' 비트렉스, 챕터11 파산보호 신청]

지난 4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미등록 거래소 운영 등 혐의로 비트렉스를 기소한 가운데, 8일(현지시간) 비트렉스가 챕터11 파산보호를 신청했다고 더블록이 보도했다. 델라웨어 파산 법원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비트렉스의 자산 및 부채는 각각 5-10억 달러로 추정된다. 채권자는 10만 명 이상이다. 이와함께 또다른 법인인 비트렉스 몰타(Bittrex Malta Ltd) 및 비트렉스 몰타 홀딩스(Bittrex Malta Holdings Ltd)도 델라웨어 법원에 파산보호 신청서를 제출했다. 관련 비트렉스 측의 공식 발표는 아직 없다. 앞서 지난 3월 비트렉스는 미국 사업을 4월 말에 종료할 계획이라고 발표했으며, 이후 4월 SEC는 미등록 거래소, 브로커, 청산소를 운영했다며 비트렉스와 공동 설립자 윌리엄 시하라(William Shihara)를 기소했다고 밝힌 바 있다.

[칸토, 5/11 유동성 채굴 인센티브 및 블록 보상 조정 투표 진행]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코스모스 생태계 체인 칸토(Canto) 커뮤니티가 오는 11일(현지시간) 유동성 채굴 인센티브 및 블록 보상 설정 관련 제안에 대한 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들 제안은 전체 공급 인플레이션율을 낮추는 내용으로, 제안이 통과되면 ETH/CANTO, ATOM/CANTO 등 각 유동성 풀에 대한 채굴 인센티브가 평균 약 38% 감소된다. 또한 블록당 발행 보상은 15% 감소된다. 앞서 지난 2월 칸토 커뮤니티는 CANTO 발행량을 30% 줄이는 내용의 거버넌스 제안을 찬성 통과시킨 바 있다. 오는 11일 진행될 예정인 거버넌스 제안 투표는 유동성 채굴 보상 뿐만 아니라 블록 보상 등에 대한 내용도 포함된다. 코인마켓캡 기준 CANTO는 현재 6.95% 내린 0.2152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카르다노 창업자 "SEC 뇌물 받았다는 XRP 커뮤니티 주장, 음모일뿐"]

카르다노(ADA, 에이다) 창업자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이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이더리움 내부자의 뇌물을 받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이때문에 XRP를 적대시한다는 주장은 음모라고 말한 적 있다. 최근 코인베이스, 크라켄, 비트렉스, 트론 등 다양한 기업도 SEC로 인해 타격을 입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해당 주장에 신빙성이 부여된다"고 말했다. 이어 "XRP 커뮤니티가 나의 이러한 주장을 거짓말이라고 일축하고 있다. 그들은 나를 조롱하고 미워한다. 해당 주제와 관련해 더이상 할말은 없다"고 덧붙였다.

[코인베이스, SUI 상장 로드맵 추가]

코인베이스가 트위터를 통해 상장 로드맵에 수이(SUI)를 추가했다고 밝혔다.

[미 투자은행 캔터 피츠제럴드 전무이사 "기관 투자자, 암호화폐 관심 여전... 성숙 단계"]

미국 투자은행 캔터 피츠제럴드(Cantor Fitzgerald) 전무이사인 엘리엇 한(Elliot Han)이 CNBC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에 대한 기관 투자자의 관심이 사라진 것처럼 느껴질 수 있겠지만, 이들의 관심은 여전하다고 말했다. 그는 "많은 기업이 암호화폐를 다양한 관점과 각도에서 바라보고 있다. 우리는 이것을 더 배우고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악명 높은 변동성을 이겨내고 높은 수익성을 확보하겠다는 희망을 가지고 암호화폐 시장에 몰려들었던 2021년 때와는 다르다. 그때는 열광적이었다.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에 대한 과대광고와 행복함이 가득했다. 그때는 사용사례적 관점이 아닌 수익성으로 업계를 평가했다. 이제 우리는 성숙해지고 있다. 규제가 자리잡고 있으며 제도적 플레이어가 업계에 진입하고 있다. 오래전 암호화폐 테스트를 시작한 JP모건, 골드만삭스 등은 여전히 시장에 남아있다. 패밀리오피스, 소규모 벤처캐피탈펀드 등도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벨기에 금융당국 "'서비스 중단' 비트포유, 비리 혐의점 발견...검찰에 수사의뢰"]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벨기에 금융규제당국(FSMA)이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포유(Bit4you)가 지난달 운영중단을 발표하기 이전부터 서비스 제공업체 등록 취소는 물론 기소 직전에 놓였었다고 밝혔다. FSMA는 성명을 통해 "우리는 지난 2일 비트포유가 '임시 등록'을 취소해달라고 요청하기 전에 이미 임시 등록을 승인하지 않겠다고 통보한 바 있다. 당시 FSMA는 임시 등록 신청을 검토하면서 비트포유 전 경영진과 관련해 비리 혐의점을 발견해 검찰에 수사도 의뢰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비트포유는 지난달 28일 자산을 위탁했던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코인론 파산위기를 이유로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로이터 "암호화폐 관련주 하락 거래중...바이낸스 BTC 출금 중단 여파"]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비트코인(BTC) 출금을 일시 중단한 8일(현지시간) 암호화폐 관련주들이 하락세를 기록하고 있다. 미디어는 "코인베이스는 -3.6%, 비트팜스는 -5.1% 하락해 거래되고 있다. 라이엇 플랫폼, 마라톤 디지털 등도 5% 이상 하락하고 있다.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이날 BTC 출금을 일시 중단한 것이 관련주에 영향을 끼쳤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P2P 암호화폐 거래소 팍스풀 운영 재개...서비스 중단 한달만]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미국 규제 영향으로 운영을 중단한 P2P 암호화폐 거래소 팍스풀이 운영을 재개했다. 앞서 팍스풀은 지난 4월 4일 일부 주요 직원들의 이탈과 P2P 시장에 대한 미국의 규제 등을 이유로 운영을 중단한다고 공지했다. 이후 레이 유세프(Ray Youssef) 최고경영자는 CEO직에서 사임했으며, 그는 지난달 22일 "동결된 사용자 자금의 88%가 동결 해제돼 고객 자금의 약 3.3%만이 팍스풀 지갑에 남아있는 상황이다. 나머지 계정의 동결을 해제하기 위해 나는 회사 지분의 45% 이상을 차지하는 팍스풀 개인 지분 99.9%를 공공 신탁에 맡길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10억 USDT 신규 발행]

웨일알러트에 따르면, 10억 USDT가 Tether Treasury의 주소에서 신규 발행됐다.

[英, 세무당국에 탈세 의심 기업 '암호화폐 압수' 권한 부여 추진]

비인크립토에 따르면 영국 정부가 탈세가 의심되는 기업의 월렛에 디지털 자산을 압수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을 세무당국에 부여하는 법률 개정안 발의를 검토하고 있다. 해당 법안에는 세무당국의 요청이 있을 경우, 암호화폐 거래소가 특정 월렛의 자금을 동결시키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를 위해 정부는 디지털 월렛 업체들과도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美 공화당 의원 "'CBDC 연준 권한 제한' 법안, 민주당서도 지지"]

디크립트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하원의원 톰 에머가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에 대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권한을 제한하는 내용이 담긴 법안이 민주당으로부터도 적잖은 지지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 2월 제출한 이 법안은 당초 공동 발의자 명단에 의원 9명의 이름만 있었으나, 현재는 23명으로 늘어났다. 이들은 모두 공화당 소속이지만, 민주당에서도 지지를 얻고 있다. 단, 바이든 행정부가 이 법안에 대해 우호적인 것은 아니기 때문에 민주당 내부에서도 공개적인 지지 의사를 밝히지는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1시간 0.54억 달러 규모 선물 포지션 강제 청산]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0.54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2.12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캐나다 중앙은행, CBDC 관련 대국민 의견수렴]

크립토 슬레이트에 따르면 캐나다 중앙은행이 CBDC(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에 대한 대국민 의견수렴에 나선다고 밝혔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아직 CBDC 도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지는 않지만, 우선 국민들의 의견을 묻고 취합할 계획이다.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누구나 CBDC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의견을 게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메이커다오,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스파크 출시]

더블록에 따르면 메이커다오(MakerDAO)가 DAI 중심의 디파이 대출 프로토콜 스파크(Spark)를 출시했다. 스파크는 메이커다오 내 직접 대출 기능을 통합하는 대출 프로토콜인 Aave v3의 소프트웨어 포크로, DAI 차입 및 ETH, wstETH 등 담보물 설정을 지원한다. 이용자는 암호화폐 자산을 담보로 연 1.1%의 DAI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앞서 지난 2월 메이커다오 커뮤니티에 유동성 시장 활성화를 위한 스파크 프로토콜 출시 제안이 상정된 바 있다.

[외신 "운용자산 $5000억 사모펀드 아폴로, 셀시우스 인수전 참여"]

코인데스크가 소식통을 인용해 운용자산 5000억 달러 규모의 대형 사모펀드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가 챕터11 파산 절차를 진행 중인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셀시우스(CEL) 인수전에 참여했다고 보도했다. 미디어는 "전통 금융권의 대형 기관이 셀시우스 인수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드문 사례다. 아폴로 글로벌 매니지먼트는 셀시우스 인수 의향을 밝힌 디지털 자산 투자사 노바울프에 인수 자금 투자자로 이름을 올린 상태다. 단, 노바울프와 아폴로 측 모두 이에 대해 논평을 거부했다"고 설명했다.

[코인베이스 CEO "규제 불확실성 불구 미국 떠나지 않을 것"]

외신에 따르면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최고경영자(CEO)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이 게리 겐슬러 SEC 의장은 미국 암호화폐 업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 소송을 제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SEC가 독단적으로 행동하고 있다. 게리 겐슬러는 반(反) 암호화폐적 견해를 가지고 있다. 암호화폐 산업을 규범화하려는게 아닌 제한하려고 하고 있는것 같다"며 "게리 겐슬러가 미국 암호화폐 업계에 도움이 되지않는 소송을 제기하고 있지만, 이는 반대로 코인베이스가 법원에게 암호화폐 업계와 미국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는 것들을 밝힐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의 규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이곳을 떠나진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XRPL 기반 월렛 줌, 결제 플랫폼 포코와 파트너십]

레이어1 퍼블릭체인 리플렛저(XRPL) 기반 비수탁형 월렛 줌(Xumm)이 공식 트위터를 통해 결제 플랫폼 포코(Poko)와 파트너십을 맺고 온램프 애그리게이터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포코 제휴사 등에서 100개 이상의 결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줌의 설명이다.

[1Q NFT 거래량 45억 달러 기록... 전분기比 136.8% ↑]

디크립트가 난센(Nansen) 데이터를 인용, 지난 1분기 NFT 거래량이 45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전분기(2022년 4분기, 19억 달러) 대비 136.8% 증가한 수준이다. 거래량은 크게 증가했으나, NFT를 거래하는 고유 지갑 수는 1390만 개로 24.5% 소폭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미디어는 "NFT 마켓플레이스 블러(BLUR)의 에어드랍 파밍 열풍으로 NFT 거래량이 급증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리플 CEO "글로벌 금융 허브 '두바이'로 사업 확장"]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XRP) CEO가 트위터를 통해 "리플은 두바이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메나(MENA, 중동과 북아프리카 합성어) 지역의 시민 20%가 암호화폐를 이용하고 있고, 이곳은 규제 체계도 차근차근 마련되고 있다. 두바이는 암호화폐 혁신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는 글로벌 금융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인마켓캡 기준 XRP는 현재 5.26% 내린 0.436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KBW2025]

[KBW2025] "AI는 신뢰가 핵심"…블록체인 해법에 시선 집중

[KBW2025] 백악관

[KBW2025] 백악관 "친암호화폐 기조 후퇴 없다"…클래리티법 연내 통과 자신감

[KBW2025] “온체인 투자 시대 본격 시작”…연기금·자산운용사, 크립토 수익 도입 확산 전망

[KBW2025] “온체인 투자 시대 본격 시작”…연기금·자산운용사, 크립토 수익 도입 확산 전망

댓글

댓글

13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3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남이대장군

2023.05.10 12:26:48

우리는별론가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qkrjw

2023.05.10 03:52:2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3.05.09 17:38:29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제우스코인

2023.05.09 11:42:48

잘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FADO

2023.05.09 10:57:13

화사한 봄날 좋은 뉴스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prsdt5928

2023.05.09 10:16:23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양주사랑

2023.05.09 09:44:45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3.05.09 09:29:19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응가야

2023.05.09 09:26:36

감사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응가야

2023.05.09 09:26:31

그래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