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오디널스 인스크립션 발행 수수료 $5000만 돌파]
듄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비트코인 오디널스(Ordinals) 프로토콜에서 소비된 네트워크 거래 수수료가 1,756.2934 BTC로 약 5,045만 달러를 넘어섰다. 발행된 비트코인 인스크립션(Inscriptions, NFT) 수는 21일 기준 1312만 2724개를 기록했다.
[파월 "금리 인상 속도 별로 중요하지 않다"]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의장이 하원 금융위원회 보고에서 "금리 수준과 금리인상 속도는 별개다. 초기에는 속도가 중요했지만 지금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금리를 소폭 인상하는 게 합리적인 결정일 수 있다. (중략) 좀 더 완만한 속도로 금리를 인상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중략) 우리는 속도를 늦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스테이블코인을 화폐의 한 형태로 보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연준의 역할을 약화시키는 것은 실수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뉴트론 $1000만 투자 유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바이낸스랩스, 코인펀드는 코스모스 생태계 인터체인 보안 중점 크로스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뉴트론(Neutron)의 $1000만 펀딩 라운드를 공동 주도했다. 이밖에 델파이 벤처스, 롱해시 벤처스, 시맨틱 벤처스, 노매드 캐피탈이 참여했다. 투자금은 블록체인 소프트웨어 개발, 생태계 성장에 쓰인다.
[렛저, 하드월렛 시드 복구 솔루션 백서 발표]
시드문구 복구 기능을 지원하는 '렛저 리커버' 서비스를 출시하려다가 커뮤니티 반발로 출시를 연기한 암호화폐 하드월렛 제조사 렛저가 렛저 리커버 백서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오는 4분기 코인커버(Coincover)가 렛저 리커버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백서에는 하드월렛 시드 백업, 복원을 위한 렛저 솔루션의 기술 개요 등이 설명돼 있다. 렛저 CTO는 새로운 시드 복구 솔루션은 하드월렛 보안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카이버스왑, zkSync Era 배포]
카이버네트워크(KNC) 산하 토큰 스왑 플랫폼 카이버스왑(KyberSwap)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카이버스왑을 zkSync Era에 배포한다. EVM DEX 애그리게이터로 기능할 것"이라고 전했다.
[메이커다오, $7억 규모 미 국채 매입]
더블록에 따르면 탈중앙화 금융(DeFi) 대출 플랫폼이자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DAI 발행사 메이커다오(MKR)가 7억 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를 매입했다. 이에 따라 메이커다오 보유 미국 국채 규모는 12억 달러로 늘었다. 국채 매입은 투자자문사 모네알리스 클리스데일(Monetalis Clysdale)이 대행했다. 앞서 메이커다오 커뮤니티는 지난 2일 최대 12.8억 달러 규모의 미국 국채를 추가 매입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카사, 이더리움 커스터디 서비스 출시]
더블록에 따르면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제공 업체 카사(Casa)가 이더리움(ETH) 커스터디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해당 커스터디는 사용자가 최대 5개의 키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카사는 NFT, 스테이블코인 등 이더리움 기반 다른 자산에 대한 서비스 출시도 준비 중에 있다.
[31억 USDT 소각...체인스왑]
웨일알러트에 따르면, 31억 USDT가 Tether Treasury 주소에서 소각됐다. 앞서 테더 측은 31억 USDT 소각을 예고하며 "체인스왑 물량으로, 총 공급량은 변동이 없다"고 공지한 바 있다.
[스타크넷 재단, 전 페이스북 임원 CEO 임명]
더블록에 따르면 스타크넷 재단은 전 페이스북 임원 디에고 올리바(Diego Oliva)를 CEO로 임명했다. 올리바는 2009년부터 2015년까지 페이스북에서 유럽, 중동, 아프리카 지역 디렉터로 일했다. 스타크넷은 이더리움 레이어2 확장 네트워크다.
[애니모카브랜드, 셀로 생태계 합류]
셀로 재단은 셀로 생태계에 애니모카브랜드가 합류한다고 밝혔다. 웹3 게임 확장이 목표다. 애니모카브랜드는 셀로의 밸리데이터로 활동하며, 블록체인 기술 보급을 위한 셀로의 번영을 위한 얼라이언스(Alliance for Prosperity)에도 합류한다.
[매버릭 프로토콜, $900만 투자 유치]
더블록에 따르면 디파이 인프라 스타트업 매버릭 프로토콜(Maverick Protocol)이 900만 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번 라운드는 파운더스 펀드가 주도했으며, 판테라 캐피털, 바이낸스 랩스, 코인베이스 벤처스, 아폴로 크립토 등이 함께 참여했다. 투자금은 프로토콜 성장과 개발자 채용, 생태계 유치에 사용될 예정이다.
[클린스파크, 채굴장 2곳 $930만에 인수]
더블록에 따르면 비트코인 채굴업체 클린스파크는 미국 조지아주 소재 비트코인 채굴장 2곳을 현금 $930만에 인수한다. 새로운 채굴장에서 6000대 이상 비트코인 채굴기가 가동될 전망이다. 클린스파크 CEO는 "이번 인수로 우리의 연말 목표인 16 EH/s를 달성하기에 충분한 인프라를 확보하게 됐다"고 말했다.
[난센 "저스틴선 라이도 15800 stETH 출금 요청"]
암호화폐 데이터 분석 업체 난센의 마틴 리는 "저스틴선 트론(TRX) 설립자가 약 2500만 달러 상당의 15804.72stETH를 인출하기 시작했다. 현재 라이도 출금 대기열에 있다"고 전했다.
[분석 "BTC $26,190 지지 확인...$34,280 저항선"]
암호화폐 온체인 분석 업체 글래스노드가 공식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 현물 가격이 피보나치 되돌림 구간인 0.618 부근($26190)에서 강력한 지지선을 확인했다. 피보나치 모델에 따른 다음 저항선은 0.5 구간인 $34280 선이다" 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