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록 CEO "비트코인은 글로벌 자산, 모든 단일 통화 능가할 것"]
래리 핑크 블랙록 CEO가 오늘(14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는 투자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비용이 저렴한 금융 상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금융 대기업들의 사명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우리는 투자를 민주화할 책임이 있다고 믿는다. 전세계적으로 ETF의 역할은 투자를 변화시키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비트코인은 국제적인 자산으로 어떤 단일 통화라도 능가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에 대해 "블랙록의 이름이 붙을 경우 안전을 보장받아야 한다. 때문에 규제 당국과 협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美 SEC, 블랙록 등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 검토 착수]
블룸버그 인텔리전스 소속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가 블랙록, 반에크, 인베스코, 갤럭시 디지털, 피텔리티, 위스덤트리의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서 검토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아크인베스트와 21쉐어즈는 이미 해당 프로세스를 마쳤고, 비트와이즈는 어제 검토가 시작됐다"고 덧붙였다.
[美 변호사 "리플 판결, 모든 토큰 2차 시장 거래 증권 거래 무관 인정"]
우블록체인에 따르면 로펌 모리스 코헨의 파트너 제이슨 고틀립(Jason Gottlieb)이 "거래소에서 발생되는 실시간 거래와 같은 프로그래밍 판매(Programmatic Sales)방식에 따른 거래는 투자 계약을 구성하지 않는다는 판결내용은, 토큰의 2차 시장 거래가 모두 증권 거래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코인베이스가 XRP를 재상장하기로 결정한 것"이라며 "스테이킹에 대한 보상도 증권으로 간주하기 어렵고, 미국 이외의 지역에서 판매하는 경우 증권법 등록 요건에서도 면제 된다"고 설명했다.
[아베, 이더리움 메인넷에 GHO 출시 제안 투표 중...100% 찬성률 기록]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아베(AAVE) 커뮤니티가 고유 스테이블코인인 GHO를 이더리움 메인넷에 출시하기 위해 두 개의 초기 퍼실리테이터를 통할 것을 제안했다. 이 AIP는 Aave V3 이더리움 퍼실리테이터와 플래시민터 퍼실리테이터를 통해 아베 네이티브 스테이블코인 GHO를 출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 AIP가 승인되면 이더리움에서 아베 V3 사용자는 담보를 맡기고 GHO를 발행할 수 있게 된다. 투표는 15일 7시 종료되며, 현재 100% 찬성률을 기록중이다.
[CME BTC 9월물 프리미엄 상승 "기관, 9월 ETF 승인 베팅 가능성"]
인투더블록에 따르면 CME 비트코인 선물 9월물이 다른 포지션과 비교해 높은 프리미엄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인투더블록은 "기관 투자자들이 올 가을 현물 비트코인 ETF 승인에 베팅하고 있는가?"라고 전했다.
[코인베이스 법률 총괄 "크립토 윈터, 녹기 시작했다"]
폴 그로월 코인베이스 최고 법률 책임자가 CNBC와의 인터뷰에서 "크립토 윈터가 녹기 시작하고 있다"며 "리플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와의 오랜 분쟁에서 부분적으로 승리하며 우리는 초록색의 새싹을 보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사람들이 암호화폐에 대해 나같은 변호사나 판사로부터 소식을 듣기보다는 다시 혁신, 새로운 아이디어, 새로운 기술에 대해 초점을 맞추게 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신세틱스, 무기한 계약 거래 플랫폼 인파이넥스 론칭]
신세틱스가 탈중앙화 선물 무기한 계약 거래 플랫폼 인파이넥스(Infinex)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기존의 중앙화 거래소들과 경쟁한다는 전략이다. 이에 대해 신세틱스는 인파이넥스 토큰이 별도로 출시되지 않으며, SNX 토큰이 지속적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플랜비 "최근 BTC 매도, 차익 실현 물량이 주도"]
비트코인 가격 분석 인플루언서 플랜비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최근 몇 달 비트코인 매도자들은 대부분 2만 달러 이하에서 매수한 이익 실현자들이다"라며 "우리는 이들을 탓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리서치 기업 니덤, 코인베이스 목표 주가 $70 → $120 상향]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리서치회사 니덤(Needham) 애널리스트인 존 토다로(John Todaro)가 코인베이스 주식에 대해 매수 의견을 유지했으며, 목표 주가를 기존 70달러에서 12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존 토다로는 연구 보고서를 통해 "리플의 거래소를 통한 XRP 토큰 판매가 증권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미국 지방 법원의 판결이 증권법을 위반하지 않았다는 선례를 만들기 때문에 코인베이스 주식에 긍정적"이라며 "주식 가격에 대한 규제 압력이 완화될 것"이라고 전했다.
[채굴기업 메텐 홀딩 그룹, 채굴기 200대 추가 구입]
피알뉴스와이어에 따르면 나스닥 상장 암호화폐 채굴업체 메텐 홀딩 그룹(Meten Holding Group Ltd.)이 비트코인 채굴기인 앤트마이너 S19j 프로 200대를 인수하는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판매자에게는 88만 달러 상당의 회사 보통주를 발행한다. 비트코인 채굴기는 7월 31일 인도되어 가동 될 예정이다. 현재 회사는 1754대의 채굴기를 가동중이다.
[크리스티, 패션브랜드 구찌와 협력해 NFT 출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크리스티가 구찌와 협력해 디지털 아트 대체 불가능 토큰(NFT) 컬렉션을 출시한다. 이번 컬렉션에는 아티스트 클레어 실버, 에밀리 시에, 보토 등이 제작한 21개의 NFT가 포함된다. 이번 경매는 크리스트의 디지털 아트 플랫폼인 크리스티 3.0에서 진행되며 7월 18일 입찰을 시작해 25일 마감된다.
[트럼프 美 전 대통령, 최대 $50만 암호화폐 보유중]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에디션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소유한 NFT 기업 CIC디지털(CIC Digital LLC)가 최대 5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보유중이다.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은 최근 정부 윤리국에 제출한 서류를 통해 트럼프의 페르소나를 활용한 라이선스 비용을 받는 CIC디지털의 소유권을 공개했으며, 블룸버그는 해당 회사가 25만 달러에서 최대 50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보유중이라고 전했다. 앞서 트럼프는 시장에 두 개의 NFT 시리즈를 공개한 바 있으며, 두 번째 컬렉션의 공개 후 기존 컬렉션의 가치가 60%이상 급락한 바 있다.
[멀티체인 성명서 발표 후 팬텀서 자산 디페깅 심화]
블록체인 분석업체 0x스코프(0xScope)에 따르면 멀티체인(MULTI)의 성명서 발표 이후 팬텀에서 멀티체인 자산의 디페깅이 더욱 심화됐다. 팬텀은 현재 레이어제로 기반 자산으로 전환하고 있다.
[데이터 "BTC 도미넌스, 1년 來 최대 폭 하락..-2.6%]
코인데스크가 차트 플랫폼 트레이딩뷰의 데이터를 인용, 비트코인 도미넌스가 하루새 2.6% 하락한 50.14%를 기록하며 2022년 6월 13일 이후 가장 큰 하락폭을 맞이했다고 전했다. 이는 리플(XRP)의 승소에 따른 알트코인 가격 반등에 따른 것으로 해석됐다. 디센트럴 파크 캐피털(Decentral Park Capital)은 "리플 뉴스에 이어 알트 코인 시즌이 다가올 수 있다"며 "지표들을 보면 종합적으로 위험 선호도가 높은 코인으로 시장이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K33 리서치(K33 Research)의 애널리스트들은 "SEC가 판결에 항소할 수 있으며, 결과가 뒤집힐 수도 있기 때문에 소송은 현재 진행 중"이라고 우려를 나타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