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기영 "월드코인 발행 이유 모르겠다"]
주기영 크립토퀀트 대표는 "미국인은 오브(월드코인 홍채 스캔기)를 사용해 홍채를 스캔할 수는 있지만 토큰을 받을 수는 없다. 인센티브가 전혀 없다. 비트코인을 대체할 글로벌 디지털 머니로 굳이 월드코인을 발행할 필요가 있는지 여전히 이해가 가지 않는다. 홍채 정보는 디지털 지갑 관리에도 사용되지 않는데 말이다. 토큰이 더 많은 사용자를 유치하기 위한 인센티브일 뿐 효용(유틸리티)이 전혀 없다면(불분명한 토큰이코노미) 그것은 스캠이다. 내가 틀렸다면 정정해달라"고 트윗했다.
[지난주 11개 암호화폐 기업, $2.01억 투자 유치]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암호화폐 기업 11곳이 지난주 총 2.01억달러 투자를 유치했다. 이중 메타버스 스타트업 퓨처버스(Futureverse)가 5400만달러를 조달했고 영지식증명 툴 개발사 RISC 제로가 4000만달러를 조달했다. 월렛 및 커스터디 업체 Echooo와 영지식(zk) 기반 프라이버시 강화 레이어1 블록체인 만타 네트워크는 각각 1500만달러, 2500만달러를 조달했다.
[리네아 “자산 보호 위해 트랜잭션 처리 8시간 지연”]
컨센시스의 zkEVM 이더리움 레이어2 네트워크 리네아가 트위터를 통해 “메인넷 알파 출시 이후 트랜잭션이 급증하면서 이더리움 네트워크 출금 소요시간이 일시적으로 증가했다. L2>L1 브릿지 자산의 트랜잭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작업 중이며, 향후 며칠 동안 출금 소요시간은 8~32시간을 목표로 점차 줄어들 것이다. 펜딩 중인 트랜잭션은 모두 처리될 예정이다. 보안을 위해 최소 8시간의 트랜잭션 처리 시간을 두고 있으며, 이 시간은 몇 주 내에 더 줄어들 예정이다. 시스템이 안정화되면 이를 해제할 것"이라고 전했다.
[플래시봇, MEV-쉐어 노드 소스코드 공개]
이더리움 인프라 서비스 플래시봇(Flashbots)은 MEV-쉐어 노드(MEV-Share Node) 소스코드를 공개했다고 밝혔다. 사용자가 MEV 서플라이 체인에서 자신의 트랜잭션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MEV 서플라이 체인의 투명성은 주문 흐름(orderflow)을 만드는 당사자(사용자, 지갑, 디앱 등)가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데 중요하다. MEV는 밸리데이터가 블록체인 트랜잭션이 기록되는 순서를 조정/최적화해 얻을 수 있는 추가 수입의 양을 말하며, MEV-쉐어 프로토콜은 검증자, 블록 생성자 외 이더리움 사용자들에게도 MEV 수익의 일부를 분배한다.
[아이콘, 'xCall 인센티브 테스트넷' 프로그램 진행...총 상금 $20만]
레이어1 블록체인 프로젝트 아이콘(ICX)이 공식 채널을 통해 "크로스체인 앱 개발을 장려하기 위해 'xCall 인센티브 테스트넷' 프로그램을 오는 7월 31일부터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xCall 인센티브 테스트넷 프로그램은 아이콘,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이더리움, 하바 네트워크를 횡단하는 크로스체인 앱 및 툴링 개발, xCall 기능 테스트, xCall 개발 문서 작성, xCall 관련 블로그 및 소셜 미디어 컨텐츠 작성 등 과제를 완수한 참여자 중 수상자를 선정해 총 84.5만 ICX(약 20만 달러) 상당의 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프로그램은 7월 31일부터 9월 11일까지 진행되며, 심사, KYC 등 절차를 거쳐 10월 23일 상금을 수여할 계획이다.
[지난주 웹3 생태계 보안 사고 규모 $3060만]
슬로우미스트에 따르면 지난주 웹3 생태계 보안 사고 규모는 $3060만달러였다. 보안 사고를 당한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1. BNO: $50만 피해
2. GMETA: $360만 피해
3. 코닉 파이낸스: $350만 피해
4. 알파포: $2300만 피해
[온체인 데이터 "수익권 BTC 비율 70.4%로 하락"]
글래스노드는 "BTC 현물 가격이 $30263에서 $29201로 하락하면서 111만 BTC(-5.9%)가 (온체인 상으로) 손실권 전환됐다. 이에 따라 공급량 대비 수익 비율은 현재 70.4%(1345만 BTC)를 기록 중"이라고 트윗했다.
[푸틴 대통령, 디지털 루블 도입 법안 서명]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인 디지털 루블 도입 법안에 서명했다고 텔레트레이더가 전했다. 법안은 디지털 루블 플랫폼 운영자를 러시아 중앙은행으로 명시하고, 오는 2024년 12월 31일까지 사용자 범위, 거래 유형 등을 규정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오는 8월 1일 정식 발효된다.
[바이낸스 21시 WLD 무기한 선물거래 지원]
바이낸스는 7월 24일 21시 USDⓈ-M 월드코인(WLD) 무기한 선물계약을 상장한다고 공지했다. 최고 20배 레버리지를 지원한다.
[오프체인 도쿄-샤디움, 7/27 도쿄 밋업 진행]
글로벌 웹3 커뮤니티 오프체인 도쿄가 레이어1 블록체인 샤디움과 7월 27일 도쿄 롯폰기에서 밋업을 진행한다. 이번 밋업에서는 샤딩 솔루션, EIP-2030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지난 1시간 0.6억 달러 규모 선물 포지션 강제 청산]
주요 거래소에서 지난 1시간 0.6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24시간 기준으로는 1.18억 달러 규모의 선물 포지션이 강제 청산됐다.
[지난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 $650만 순유출]
코인쉐어스 주간 자금 흐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주 디지털 자산 투자 상품에서 약 650만달러가 유출됐다. 비트코인(BTC) 투자 상품에서 1300만달러가 유출됐고, BTC 하락에 베팅하는 숏 BTC 투자 상품에서는 550만달러가 순유출돼 13주 연속 유출세를 기록했다. 이더리움 상품에는 약 660만달러가 순유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