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마감 브리핑] 가상자산 불공정거래에 '매출액 비례 과징금' 추진 外

프로필
하이레 기자
댓글 64
좋아요 비화설화 2
 사진 = Shutterstock

사진 = Shutterstock

[가상자산 불공정거래에 '매출액 비례 과징금' 추진]

SBS비즈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희곤 국민의힘 의원은 9일 가상자산사업자의 불공정 거래에 대한 과징금을 매출액 규모를 고려해 차등 부과하는 내용의 법안(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을 발의했다. 현행 가상자산법은 불공정거래시 이익 또는 회피한 손실액의 2배에 달하는 과징금을 부과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국내 가상자산 업계 쏠림이 심해 악용할 수 있어 매출액 규모에 따라 과징금을 차등 부과해야 한다는 취지다. 가상자산법은 내년 7월 19일부터 시행되며, 논의와 의견 수렴과정을 거쳐 차등 상세 비율을 정할 계획이다.

[김남국 의원 코인 논란 이후 첫 거래 포착]

최근 김남국 무소속 의원이 가상자산 월렛에서 스테이킹 보상을 수령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일요신문이 단독 보도했다. 미디어는 "코인 보유 논란으로 입길에 오른 뒤 김남국 의원은 자신의 클레이튼 기반 코인 지갑인 클립에서 어떠한 활동도 하지 않았으나, 10월 29일 4시 27분 논란 이후 첫 거래가 이뤄졌다. 앞서 김 의원은 3만 9172 KSP를 클레이스왑에 스테이킹해뒀으며, 이 보상으로 3491 KSP(230만 원 상당)를 받았다. 현재 KSP를 스테이킹할 경우 수익률은 연 22.43%다. 김 의원은 이 보상을 다시 재스테이킹해서 vKSP 2만 7928개를 수령했다"고 설명했다.

[美 CFTC 위원 "韓가상자산 규제, 혁신 도모해야...디파이도 규제 대상"]

뉴스1에 따르면 미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의 캐롤라인 팜 위원이 BWB 2023 컨퍼런스에서 한국 디지털자산 규제와 관련한 제언을 부탁받자 "시장 참여자들의 혁신과 올바른 경쟁을 도모할 수 있는 규제 프레임워크가 돼야 한다. 원칙에 기반한 규제를 만들되, 규제 자체도 진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탈중앙화 프로토콜 안에서의 금융 행위도 당연히 규제를 받아야 한다. 다만 CFTC가 디파이를 구동하는 업체들을 규제하는 것은 아니다. 탈중앙화적 성격을 지닌 특정한 플랫폼에서 트레이딩 등 금융 활동이 규제 대상이 된다"고 덧붙였다.

[분석 "FTX·알라메다 보유 FTT 평가액 $4.27억↑"]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더 데이터너드(The Data Nerd)가 X를 통해 "최근 이틀 동안 FTT가 약 255% 급등하면서 FTX와 알라메다 리서치가 보유한 FTT의 평가가치가 3억 3,400만 달러에서 7억 2,6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이들은 현재 2억 6700만 FTT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FTT 유통량의 76% 수준이다. 또 이 물량은 아직 거래소에 입급된 적이 없다"고 전했다.

[스시스왑, 유동성 관리 자동화 솔루션 출시]

탈중앙화 암호화폐 거래소(DEX) 스시스왑(SUSHI)이 공식 블로그를 통해 유동성 관리 자동화 솔루션인 스마트 풀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유동성 공급자(LP)가 비교적 쉽게 유동성 관리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이 스시스왑의 설명이다.

[2027년 가상자산 자동정보교환 앞두고 韓·美 등 각국법 정비]

한국을 포함해 미국·일본 등 주요국들이 2027년 국가간 가상자산(암호화자산) 자동정보교환을 위해 각국의 국내법을 정비하기로 했다고 뉴시스가 전했다. 기획재정부는 10일 프랑스·독일·일본·영국·미국 등 48개 국가·관할권과 함께 '암호화자산 자동정보교환 체계(CARF)' 이행을 확산시키기 위한 공동성명에 참여했다고 밝혔다. 가상자산 시장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관련 역외탈세 방지 및 조세투명성 제고를 위해 보고대상 거래의 총 지급금액, 거래횟수 등 가입국간 가상자산 거래 관련 정보를 매년 자동으로 교환하는 체계다. 2022년 8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재정위원회에서 승인하고 같은 해 11월 주요 20개국(G20)이 지지를 표명했다.

[홍콩 노이즈 그룹, 해시키 익스체인지에 계정 개설]

디지털자산 투자사 해시키그룹 산하 홍콩 규제 적격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 해시키 익스체인지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홍콩에 기반을 둔 핀테크 회사 노이즈 그룹(Noiz Group Limited)이 해시키 익스체인지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를 시작한다. 해시키 익스체인지에 계정을 개설했다"고 밝혔다.

[뉴욕 지방법원, 세이프문 CEO 보석 기각]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뉴욕 지방법원이 사기 및 자금세탁 혐의로 기소된 암호화폐 기업 세이프문(SafeMoon LLC)의 최고경영자(CEO) 브래든 존 카로니(Braden John Karony)의 보석 신청을 기각했다. 앞서 미국 유타주 치안판사는 카로니를 보석금 50만 달러에 석방하라고 결정했지만, 검찰은 도주 우려가 있다며 상급 법원인 미국 뉴욕 지방법원에 이의를 제기했다. 세이프문은 지난 2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사기, 미등록 암호화폐 판매 혐의로 기소된 바 있다.

[이더리움 가스 수수료, 최대 220달러 기록]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더리움의 우선순위 거래를 위한 가스 수수료가 최대 220달러를 기록했다. 일반적으로는 100달러의 수수료가 요구됐다. 비트인포차트(BitInfoCharts)에 따르면 수수료 상승 전 이더리움의 거래 수수료는 11월 8일 평균 11.35달러였으며, 10월 14일 기준 2023년 최저 수준인 1.40달러였다. 코인텔레그래프는 "가스 수수료 상승으로 아비트럼(ARB), 옵티미즘(OP), 폴리곤(MATIC) 등 레이어2 프로젝트들이 더 빠르고 저렴한 수수료를 강점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블록체인 애널리스트 카이사크립토(KaisaCrypto)는 "현재 펄스체인(PLS) 가스 수수료는 이더리움보다 4000배, 비트코인보다 14000배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바이낸스, 오늘 14시 30분 HIGH/BUSD 등 10여개 거래 페어 상장 폐지]

바이낸스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10일 14시 30분(한국시간) HIGH/BUSD, LINA/BUSD, LIT/BUSD, PAXG/BUSD, PROM/BUSD, PROS/BUSD, SXP/BUSD, VIDT/BUSD, WAVES/BUSD, XEC/BUSD, XVS/BUSD 현물 거래 페어를 상장 폐지한다고 공지했다.

[보고서 "우크라이나, 암호화폐 부문서 $490억 세수 손실...규제미비 탓"]

크립토뉴스가 우크라이나 이코노미 아웃룩·우크라이나 블록체인 협회 공동 보고서를 인용해 "우크라이나 정부는 암호화폐 부분에 적절한 규제를 마련하지 않아 2016년부터 2022년까지 490억 달러 상당 세수 손실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보고서는 "우크라이나는 암호화폐 거래세를 도입한 뒤인 2016년부터 약 104억 달러 상당 세수를 올렸지만, 채굴자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등에는 적절한 규제가 마련되지 않아 결과적으로는 세수 손실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과거 유럽연합(EU)과는 별개의 암호화폐 과세 정책을 추진했지만, 러시아 침공 이후 미카(MiCA·유럽연합 암호화폐 규제법)법 등 EU 선례를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1월부터 BTC 매집한 고래 주소, 오늘 500 BTC 추가 매수]

비트인포차트에 따르면 지난 1월 17일부터 꾸준히 500 BTC 이상을 추가 매수해온 특정 고래 주소(bc1qvh로 시작)가 10일 새벽 5시 7분경 500 BTC를 추가 매수했다. 현재 보유량은 14,598.88 BTC(5.36억 달러 상당)다.

[해시키캐피털 "홍콩, 암호화폐 성장 맞이할 준비됐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해시키캐피털의 포트폴리오 매니저 주피터 정(Jupiter Zheng)이 "홍콩은 암호화폐 부문과 함께 향후 4년간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홍콩은 웹3 프로젝트와 암호화폐 관련 규제 개발의 결합을 통해 암호화폐 분야 성장과 함께 할 준비가 됐다. 최근 몇 년간 홍콩의 GDP는 코로나 19로 인해 좋지 않았다. 이제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어줄 요인으로 암호화폐와 웹3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암호화폐 부문에 대한 규제 계획을 설명함으로써 투자자 우려를 해소하고 암호화폐 수요를 촉진한다"고 덧붙였다.

[갤럭시디지털, 3Q $9400만 순손실]

PR뉴스와이어에 따르면 암호화폐 전문 금융 서비스 기업 갤럭시디지털이 3분기 9,400만 달러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트레이딩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600만 달러 감소한 1400만 달러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기자본은 16억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쿠사마 네트워크서 폴카닷 XCM 버그 발생]

폴카닷(DOT) 기반 디파이 네트워크 아칼라(ACA) 공동 창립자 브라이언 첸(Bryan Chen)이 X를 통해 "쿠사마(KSM) 네트워크에서 폴카닷 크로스체인 메시징 시스템 XCM의 버그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네트워크에 일부 자금이 묶인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거버넌스 제안을 발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DWF랩스, DID 솔루션 업체 리텐트리와 파트너십]

암호화폐 마켓 메이킹 업체 DWF랩스가 공식 미디움을 통해 탈중앙화 신원증명(DID) 솔루션 업체 리텐트리(Litentry)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향후 웹3 생태계를 위한 DID 솔루션을 개발하고 생태계를 확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사설] KBW 2025 총평 – 세계가 모인 서울, 법제화로 모멘텀을 지켜야 한다

[사설] KBW 2025 총평 – 세계가 모인 서울, 법제화로 모멘텀을 지켜야 한다

[KBW2025] 톰 리 비트마인 회장

[KBW2025] 톰 리 비트마인 회장 "이더리움, 슈퍼 사이클 진입한다...토큰화 시대 승자될 것"

댓글

댓글

64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64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copynote

2023.12.24 18:40:59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블루레인

2023.11.13 01:54:13

출첵~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위당당

2023.11.13 00:20:01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3.11.12 23:47:27

ㄱ ㅅ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낙뢰도

2023.11.12 21:11:45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빅리치

2023.11.12 19:36:06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젤로는천사

2023.11.12 14:52:4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tomy1004

2023.11.12 12:35:32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탄트라

2023.11.12 12:24:4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붕나맘

2023.11.12 11:45:36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34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