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토큰포스트 브리핑] 블랙록, 비트코인 현물 ETF 수정 신청서 제출 外

프로필
하이레 기자
댓글 11
좋아요 비화설화 30
 [토큰포스트 브리핑] 블랙록, 비트코인 현물 ETF 수정 신청서 제출 外

[포브스 "내년 BTC 현물 ETF 승인 및 출시로 암호화폐 가치 재평가"]

포브스가 내년 주목해야 할 디지털자산 시장 동향 5가지를 꼽았다.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및 출시에 따른 가격 재평가 ▲반감기 이후 소규모 채굴 업체 간 생존 경쟁 ▲밀레니얼 세대의 암호화폐 시장 유입 ▲비트코인 오디널스 인기 상승 및 NFT 시장 회복 ▲재생 에너지 활용 비트코인 채굴 산업 확대

[美 법원, 자오창펑 및 바이낸스 상대로 28.5억 달러 지불 명령]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미국 법원이 자오창펑 전 바이낸스 CEO를 상대로 1억 500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으며, 바이낸스를 상대로 13억 5000만 달러의 부당 취득 수수료 반환을 명령하고 13억 500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이와 관련 법원은 "자오창펑과 바이낸스는 상품거래소법(CEA)과 CFTC 규정을 위반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지난 11월 21일 자오창펑은 미국 법무부, 재무부, CFTC와의 합의를 이뤄냈으며, 같은날 자금세탁방지법과 관련된 다수의 민사 혐의와 한 건의 형사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한 바 있다. 한편, 법원은 바이낸스 전 최고준법책임자(CCO) 사무엘 림(Samuel Lim)을 상대로 "바이낸스의 위법 행위를 돕고 미국 외 지역에서 미국 법률을 고의로 회피하거나 회피하려는 시도를 했다"며 150만 달러의 민사 벌금을 지불하라고 명령했다.

[블랙록, 비트코인 현물 ETF 수정 신청서 제출]

암호화폐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블랙록이 비트코인 현물 ETF s-1 신청서의 수정된 버전을 제출했다"고 전했다.

[위즈덤트리,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서 수정본 제출]

암호화폐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위즈덤트리가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서의 수정본을 제출했다"고 전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아크21쉐어스 BTC 현물 ETF 신청서 수정안 업데이트"]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구 트위터)를 통해 "아크(Ark), 21쉐어스(21Shares)의 BTC 현물 ETF 신청서(S-1) 수정안이 업데이트됐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블룸버그 ETF 애널리스트 에릭 발츄나스(Eric Balchunas)는 "해당 ETF가 현금 정산(Cash Creates) 방식으로 수정됐다. 사실 아크와 21쉐어스는 현금 정산 방식을 원하지 않았고 때문에 이를 대체할 방법을 모색했다. 이들 기업은 SEC에 항복했고, 관련 논쟁은 끝났다"며 "다음 차례는 아마도 블랙록일 것같다"고 말했다.

[데이터 "올해 BTC 연평균 30일 변동성 41.53%... 역대 최저"]

암호화폐 전문 리서치 업체 CC데이터(CCData)에 따르면 2023년 비트코인 연평균 30일 변동성(Average Annualised 30D Volatility)은 41.53%로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美 SEC, 아크21쉐어스 ETH 현물 ETF 승인 결정 연기]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아크(Ark), 21쉐어스(21Shares)의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결정을 연기했다. 해당 ETF 결정 기한은 12월 26일(현지시간)이었으며, 이에 따라 5월 말로 연기됐다"고 전했다. 이날 SEC는 반에크의 이더리움 ETF의 승인 결정도 연기했다.

[미 SEC, 반에크 이더리움 ETF 승인 결정 연기]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반에크의 이더리움 ETF 승인 결정을 연기했다. 해당 ETF의 결정 마감일은 12월 25일(현지시간)로, 승인 결정 연기는 예상되던 일"이라고 전했다.

[美 SEC, 그레이스케일 ETH 선물 ETF 승인 결정 연기]

암호화폐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그레이스케일의 이더리움 선물 ETF 승인 결정을 연기했다"고 전했다.

[美 SEC, 해시덱스 ETH 현물-선물 혼합 ETF 승인 결정 연기]

암호화폐 마켓 인사이트 플랫폼 언폴디드(Unfolded)가 공식 X(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해시덱스의 이더리움 현물-선물 혼합 ETF 승인 결정을 연기했다"고 전했다.

[그레이스케일 CEO "BTC 현물 ETF 승인시 30조 달러 시장 열릴 것"]

마이클 소넨샤인(Michael Sonnenshein) 그레이스케일 최고경영자(CEO)가 18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현물 ETF가 승인되면 암호화폐 업계에 30조 달러 시장이 열릴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BTC 현물 ETF 승인으로 제한된 개인의 투자가 허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그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한번에 다수의 BTC 현물 ETF를 승인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캐시 주코 윌콕스 CEO, 사임]

프라이버시(트랜잭션 익명성 강화) 암호화폐 프로젝트 지캐시(ZEC)의 개발사 일렉트로닉 코인(Electric Coin, ECC)이 블로그를 통해 "ECC의 최고경영자(CEO) 주코 윌콕스(Zooko Wilcox)가 CEO 자리에서 물러나며, 조시 스와이하트(Josh Swihart)가 그 자리를 대신한다"고 밝혔다. 주코 윌콕스는 별도의 블로그 게시물을 통해 "지캐시와 나의 정체성이 점차 일치되어 가고 있다. 이는 개인적으로도 지캐시에게도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CEO 사임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퓨즈네트워크, 영지식 레이어2 구축 위해 폴리곤랩스와 협업]

웹3 결제 인프라 프로젝트 퓨즈네트워크(FUSE)가 이더리움 기반 영지식(ZK) 레이어2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폴리곤랩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를 위해 폴리곤 체인개발키트(CDK)를 활용한다는 설명이다.

[코인베이스 "암호화폐 업계, 내년 미 대선 지원할 $7800만 모금"]

코인베이스가 공식 블로그를 통해 "2024년 미국 대선에서 암호화폐 업계에 우호적인 후보를 지지하기 위한 7,800만 달러 자금이 모금됐다"고 밝혔다. 코인베이스는 "미국 암호화폐 커뮤니티를 대표하는 페어쉐이크 슈퍼 PAC는 코인베이스를 포함, 20개 기업 및 개인으로부터 해당 자금을 모금했다. 미국인 중 단 9%만이 현재 미국의 암호화폐 규제 정책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 해당 자금이 정책 개선 및 올바른 규제 확립에 사용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영국, 규제기관의 토큰화 증권 샌드박스 시행 허용 법안 발표]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영국 정부가 금융 규제기관이 토큰화 증권 관련 샌드박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정을 발표했다. 해당 규정은 오는 2024년 1월 8일(현지시간) 부로 시행되며, 해당 규정에 따라 금융감독청(FCA) 및 영란은행은 디지털 증권 샌드박스(DSS)를 시행할 수 있게된다. 샌드박스를 통해 기업은 토큰화 증권, 분산원장기술 등 새로운 솔루션 및 상품을 테스트할 수 있다.

[BTC 네트워크 평균수수료, $37.59... 2021년 4월 이후 최고]

코인데스크가 비트인포차트를 인용, "지난 17일(현지시간)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발생한 평균 트랜잭션 수수료가 37.59 달러로, 2021년 4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이는 오디널스 인스크립션(NFT)의 인기가 높아진 영향으로 분석됐다.

[헬륨 모바일 "신규 가입자 대상 MOBILE 토큰 지급 규정 일부 수정"]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헬륨(HNT)의 솔라나(SOL) 생태계 토큰 인센티브 모델 탑재 하이브리드 모바일 통신사 헬륨 모바일(MOBILE)이 "MOBILE 토큰 가격이 급등하면서 최근 가입 건수가 과도하게 증가했다. 일부 의심 활동 계정도 확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MOBILE 토큰 보상에 대한 규정을 일부 수정했다"고 전했다. 18일(현지시간) 업데이트된 회사 서비스 약관에 따라 디스커버리 매핑(Discovery Mapping)을 통한 위치 공유를 허용한 신규 가입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던 MOBILE 보상 신청이 가입 후 8일부터 가능해졌다. 미디어는 "헬륨 모바일의 해당 서비스를 통해 하루 기준 2000 MOBILE 이상이 지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설명했다. 코인마켓캡 기준 MOBILE은 현재 35.21% 오른 0.007009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EY 블록체인 책임자 "내년, 암호화폐 산업 위한 새로운 규제 환경 구축 전망"]

세계 4대 회계·컨설팅법인 중 하나인 언스트앤영(Ernst & Young, 이하 EY)의 블록체인 부문 총 책임자인 폴 브로디(Paul Brody)가 코인데스크 기고문을 통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산업을 위한 새로운 규제의 환경이 내년 구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올해는 암호화폐 시장에 있어서 매우 건설적인 한 해였다. 관련 범죄자에 대한 처벌이 이뤄졌고, 작년 이더리움 머지 이후 올해는 레이어2 트래픽이 크게 늘었다. 더 큰 일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 한해라고 생각한다"고 진단했다.

[전 SEC 자문위원 "워렌 발의 자금세탁방지법, 암호화폐 핵심 원칙 훼손 위험 커"]

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자문위원 J.W. 베렛(J.W. Verret)이 코인텔레그래프 기고문을 통해 "엘리자베스 워렌(민주당) 상원의원이 발의한 암호화폐 자금세탁방지법은 개인 주권 및 탈중앙화를 추구하는 암호화폐의 핵심 원칙을 훼손할 위험이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워렌은 불법 활동 근절을 위해 해당 법안이 통과돼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법안을 자세히 뜯어보면 혁신을 억제하고 사용자 개인정보를 위협할 수 있는 내용이 담겨있다"고 분석했다. 워렌 의원이 발의한 암호화폐 자금세탁방지법에는 해외 계정을 이용한 1만 달러 이상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해외금융계좌 신고(FBAR) 의무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또 자금세탁 또는 탈세 의심 활동 보고 내용과 자체 커스터디 월렛에 대한 신원 및 기록 요구 강화 등 내용도 담겼다.

[SEC "판도애셋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 확인"]

더블록 프로 X 계정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스위스 자산운용사 판도애셋(Pando Asset)의 비트코인 현물 ETF의 출시 신청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외신 "레볼루트, 영국 기업고객 대상 일부 암호화폐 서비스 중단"]

코인데스크가 영국 비즈니스 미디어 시티AM을 인용, "디지털 은행 레볼루트(Revolut)가 "영국 기업 고객 대상 일부 암호화폐 서비스를 중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레볼루트는 내년 1월 3일부터 영국 사용자의 비즈니스 계정을 통한 암호화폐 구매 서비스를 일시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10월부터 시행 중인 영국 금융감독청(FCA)의 암호화폐 광고 및 마케팅 관련 새로운 지침에 따른 영향이다. 코인데스크는 "FCA의 강화된 암호화폐 광고 및 마케팅 규제로 인해 이미 많은 암호화폐 기업들이 영국에서 서비스를 중단했다"고 전했다.

[라이도다오, LDO 투자자로부터 집단 소송 피소]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라이도(LDO) 투자자들이 라이도다오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했다. 17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지방 법원에 제출된 서류에 따르면 해당 투자자들은 "LDO는 미등록 증권이며, LDO 가격 하락으로 인한 손실이 라이도다오 측에 있다. LDO 토큰의 64%는 소수의 벤처캐피털에 의해 통제되고 있어 일반 투자자들은 거버넌스 문제 등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英 메타버스 기술업체 임프로버블, 게임 자회사 1억 달러에 매각]

더블록에 따르면 영국 메타버스 기술 업체 임프로버블(Improbable)이 게임 서비스 자회사인 MPG를 아일랜드 비디오 게임 업체 키워드 스튜디오(Keywords Studios)에 매각했다. 매각 규모는 9680만 달러다. 임프로버블은 "이번 매각은 회사의 메타버스 사업 확대 및 혁신을 위한 전략적 매각"이라고 설명했다.

[아스타 설립자 "한국서 사업 확대 계획"]

일본계 퍼블릭체인 프로젝트 아스타(ASTR) 설립자 소타 와타나베(Sota Watanabe)가 더블록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시장에서의 사업 확대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국에서 수 개월간 여러 프로젝트와 만나 적극적으로 협력을 논의했다. 현지 직원도 채용했다. 일본과 한국은 서로 배울 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한국에서의 사업에 더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업비트는 18일 ASTR을 원화 마켓에 상장한 바 있다.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주요 기사

[사설] KBW 2025 총평 – 세계가 모인 서울, 법제화로 모멘텀을 지켜야 한다

[사설] KBW 2025 총평 – 세계가 모인 서울, 법제화로 모멘텀을 지켜야 한다

[KBW2025] 톰 리 비트마인 회장

[KBW2025] 톰 리 비트마인 회장 "이더리움, 슈퍼 사이클 진입한다...토큰화 시대 승자될 것"

댓글

댓글

11

추천

3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1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ksy2384

2023.12.19 23:24:0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엠마코스모스

2023.12.19 22:49:43

정보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copynote

2023.12.19 22:36:03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lsy2384

2023.12.19 18:14:07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젤로는천사

2023.12.19 11:20:59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남이대장군

2023.12.19 10:58:49

파이팅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가즈아리가또

2023.12.19 10:51:17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디스나

2023.12.19 10:33:08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토큰부자

2023.12.19 09:28:55

기사 잘 봤습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지후왕

2023.12.19 09:14:17

뉴감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