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기술적 반등 신호 보이는 파이코인, 최대 570% 상승 가능성

프로필
이도현 기자
댓글 2
좋아요 비화설화 6

파이코인이 최근 0.4010달러에서 반등하며 기술적 분석상 상승 전환 신호를 보이고 있다. 이중바닥과 하락 웨지 패턴 형성으로 최대 2.98달러까지 상승 여력이 제시됐으며, 월렛 기능 확장과 바이낸스 상장 루머도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다만 주요 지지선 붕괴 여부와 확정되지 않은 재료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기술적 반등 신호 보이는 파이코인, 최대 570% 상승 가능성 / 셔터스톡

기술적 반등 신호 보이는 파이코인, 최대 570% 상승 가능성 / 셔터스톡

기술적 반전 신호에 주목 받는 파이코인, 최대 570% 상승 여력

파이코인(PI)이 현재 0.44달러(약 590원) 선에서 거래되며 지난 한 달간 약 23% 하락한 이후 기술적 분석상 반등 신호를 보이고 있다. 최근 기록한 역대 최저가 0.4010달러(약 540원)에서 소폭 반등한 지금, 투자자들은 다시금 가격 상승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더블바텀과 하락 웨지 패턴, 상승 전환 가능성 시사

차트 분석에 따르면, 파이코인은 0.4010달러에서 이중바닥(Double Bottom) 패턴을 형성하고 있으며, 하락 추세선으로 볼 수 있는 하락 웨지(Falling Wedge) 역시 발견된다. 이는 전형적인 상승 전환 신호로 해석된다. 이러한 기술적 패턴이 유효하다면, 가격이 1.6656달러(약 2,220원)의 저항선을 돌파할 경우, 역대 최고가였던 2.98달러(약 3,970원)까지 상승할 여지가 있다. 이는 현재 가격 기준으로 약 570%에 해당하는 상승폭이다.

다만 이 같은 상승 시나리오는 파이코인이 0.40달러(약 530원) 지지선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유효하다. 해당 지지선 이탈 시 상승 전망은 무력화될 가능성이 높다.

파이 월렛, 기능 다각화로 생태계 확대 추진

파이네트워크 개발팀은 파이 월렛(Pi Wallet)의 기능 확대를 통해 생태계 고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업데이트에서는 디지털 자산 통합 지원 강화를 목표로 신용카드 및 애플페이, 구글페이 등 법정화폐 결제를 통한 파이코인 구매 기능이 추가됐다.

또한 디앱(dApp)을 탐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구성도 개선됐다. 신규 기능인 ‘디렉토리 스테이킹’은 사용자가 디앱에 참여하며 블록체인 활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돕는 기능으로, 플랫폼 유입 환경을 강화하고 있다.

바이낸스 상장 루머와 스왑폰 거래소 영향

파이 월렛 내에서 ‘바이낸스 커넥트 지원’ 및 ‘바이낸스 P2P 지원’이라는 문구가 포착되면서, 세계 최대 규모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 상장 루머가 커뮤니티 내에 확산되고 있다. 공식적인 확인은 없지만 해당 가능성만으로도 이용자들의 기대를 자극하고 있다.

이 외에도 대형 보유자의 매수 움직임, 스왑폰(Swapfone) 거래소 신규 상장 등이 파이코인 시장의 추가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러한 요인들은 바이낸스 상장에 비해 보조적이며, 전반적인 실질적 모멘텀으로 보기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평가한다.

생태계 정당성 확보에 집중하는 개발진

파이네트워크는 창립자 니콜라스 코칼리스의 주도 하에 지속적인 기능 개선과 블록체인 생태계 정당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는 과거 회의적 시각과 규제 관련 우려에 대응하는 움직임으로 받아들여진다.

실제로 현재 파이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34억 1천만 달러(약 4조 5천억 원)로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35위를 기록 중이며, 하루 거래량은 약 4,287만 달러(약 570억 원) 수준이다. 이는 전일 대비 약 27.9% 감소한 수치로, 시장에서 아직 강한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낙관적 전망 속에서도 ‘신중함’ 강조

파이코인을 둘러싼 낙관적 전망은 기술적 반등 신호, 월렛 기능 강화, 거래소 상장 추측 등 여러 요소에 근거하고 있지만, 공식 발표가 없는 상황에서 모든 기대는 잠정적이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0.40달러 지지선 하방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울 필요가 있으며, 향후 가격 흐름은 파이네트워크의 로드맵 이행력 그리고 기능 확장 과정의 시장 반응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2

추천

6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2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07.27 07:45:1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가즈아리가또

2025.07.27 00:50:50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