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한 선물은 투자 심리에 따라 현물과 가격 차이가 생긴다. 선물 시장은 펀딩비(Funding Rate)를 통해 이러한 가격차를 조정한다. 선물 가격이 높으면 롱이 숏에게, 낮으면 숏이 롱에게 펀딩비를 지급해 현물과 선물 가격 균형을 맞춘다. 이 구조를 활용, 현물을 매수하고 선물에서 숏을 잡아 자산의 가격 변동을 헤징한 상태에서 펀딩비를 통해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 전략이 있다.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높은 펀딩비로 수익 기회를 나타내는 상위 종목들을 정리했다. [편집자주]
8월 2일 12시 10분 기준, 데이터맥시플러스에 따르면 MAGIC 종목이 펀딩비 역전 전략에서 연간 최대 72,975.89달러의 수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전략은 OKX 선물 시장에서 롱 포지션을, Gate.io, Bybit, HTX, Bitget, Binance 등의 현물 시장에서 마진 숏 포지션을 동시에 취하는 방식이다.
MAGIC(OKX 선물 <> Gate.io 현물)의 경우 -0.667%의 8시간당 펀딩비가 적용되며, 연 환산 수익률은 14.61%다. 이 전략을 통해 연간 약 72,975.89달러의 펀딩 수익이 가능하다. 유사한 수익 구조는 Bybit, HTX, Bitget, Binance와의 조합에서도 확인된다.
펀딩비가 음수일 경우, 선물 포지션에서는 펀딩 수익을 받고, 현물 숏 포지션으로 가격 변동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만, 마진 거래 시에는 이자와 수수료를 고려한 실질 수익률 산정이 필요하다. 최근처럼 단기적으로 펀딩비가 깊은 음수 상태를 유지하는 시장에서는 짧은 기간에도 수익 실현이 가능하다.
한편, 이 시각 기준 최고 펀딩비 상위 종목은 Gate.io의 ELX(0.0284%), Bitget의 PIPPIN(0.0697%), FIO(0.0676%), Gate.io의 BSW(0.0651%), Bitget의 HIPPO(0.0543%)이며, 최저 펀딩비는 Bitget의 PIPPIN(-1.2596%), Gate.io의 ELX(-0.3348%) 등에서 기록되고 있다.
펀딩비가 높거나 양수일 경우, 롱 포지션 수요가 높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상대적으로 비싼 상황으로, 롱 포지션이 숏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는 현물 매수와 선물 숏(공매도) 전략을 구사해 펀딩비 수익을 확보할 수 있다.
반대로, 펀딩비가 낮거나 음수일 경우, 숏 포지션 수요가 많아 선물 가격이 현물 가격보다 낮아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게 펀딩비를 지급해야 한다. 투자자들은 현물 매도와 선물 롱 전략을 활용해 펀딩비 차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
펀딩비 차익거래는 시장 변동성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전략으로, 장기적인 시장 방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다만, 펀딩비는 시장 참여자의 포지션 비율에 따라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거래소별 펀딩비 차이와 자금 비용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기사는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