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아시아 암호화폐 범죄 피해 2조 8,500억 원 돌파…현지 맞춤형 AML 시급

프로필
서지우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3

2025년 상반기 아시아에서 암호화폐 범죄로 발생한 피해액이 2조 8,500억 원을 넘어서며, 서구형 AML 도구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각국에 특화된 분석 체계와 민관 협력 기반의 대응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시아 암호화폐 범죄 피해 2조 8,500억 원 돌파…현지 맞춤형 AML 시급 / TokenPost.ai

아시아 암호화폐 범죄 피해 2조 8,500억 원 돌파…현지 맞춤형 AML 시급 / TokenPost.ai

아시아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한 번 ‘돈세탁 사각지대’로 떠올랐다. 2025년 상반기에만 동아시아 전역에서 발생한 암호화폐 범죄로 인한 피해액은 이미 약 2조 8500억 원(약 15억 달러)을 넘어섰다. 이는 2024년 전체 피해 규모를 초과한 수치다. 이는 바이빗 해킹 사건부터 동남아의 ‘피그 부처링(pig butchering)’ 사기 수법까지 지역 맞춤형 범죄가 대거 등장한 결과로 분석된다.

문제는 기존 글로벌 AML 도구들이 주로 서구권 기준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믹서, 텀블러, 미국과 유럽의 중앙화 온램프를 위주로 설계된 감시 엔진은 아시아 금융 지하 생태계의 특수성을 포착하지 못하고 있다. 태국 무허가 OTC 데스크, 필리핀 모바일머니 송금 통로, 홍콩, 인도네시아의 피어 투 피어 지갑 거래 등은 서구형 감시 툴이 감지할 수 없는 방식으로 자금세탁을 벌이고 있다.

법 집행 기관과의 현지 협업 및 지역 맞춤형 위험 라이브러리 구축이 시급하다. 싱가포르 유령회사 등을 통한 순환 거래 방식이나 인도네시아 전자지갑을 활용한 ‘레이어링’ 전략은 사후 추적보다 사전 차단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선 현지 체계에 특화된 온체인 데이터를 능동적으로 수집, 자금세탁 신규 수법에 실시간 대응할 수 있는 ‘살아 숨 쉬는 전력망’이 필요하다.

이미 몇몇 동남아 국가는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태국과 말레이시아에서는 실시간 대시보드 및 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피해 제보 수 시간 이내에 자금을 동결하는 데 성공했다. 과거 수주에서 수개월 걸린 대응 속도와는 비교할 수 없는 성과다. 이는 실제 범죄 억제 효과로 이어지며 현지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고 있다.

하지만 인프라만으로는 부족하다. 많은 국가의 규제당국은 여전히 블록체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민간 분석 기업들은 법적 행동 권한이 없다. 이 때문에 데이터 공유 및 공동 교육, 실시간 경고 체계를 포함한 공공-민간 협력(PPP) 모델이 필수적이다. 아시아의 암호화폐 범죄 대응은 이제 단순한 기술이 아닌 신뢰 구축의 문제로 진화했다.

시장 변화도 빠르다. 베트남, 태국, 인도 같은 국가에서 소매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활발히 유입되며 거래량이 급증 중이다. 하지만 투자자 보호 기반이 약하면 이러한 성장은 거품에 불과하다. 규제당국과 민간 기업이 함께 소비자 보호를 위한 규칙 정립, 장기적 시장 참여 기반 마련, 기관 투자자 유입 유도에 힘을 모아야 하는 이유다.

일각에서는 지역 규제 도입이 글로벌 기준과 충돌하거나 개인정보 침해 우려를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단기 데이터 보관, 허가형 감사 추적 시스템, 집행 보고서 공개 등 프라이버시 중심의 설계로 충분히 균형을 맞출 수 있다. 핵심은 지역 현실을 반영한 합리적 조율이다.

결국 현지 전문성을 갖춘 분석 파트너와 함께하는 기업만이 APAC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다. 기관 투자자들은 이제 ‘블록체인 환경 위생’에 대한 확신을 원하고 있으며, 규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글로벌 벤더는 상장 거래소에서 퇴출되고, 투자자 신뢰를 잃고, 시장 접근권조차 박탈될 위험에 직면해 있다.

지금이야말로 산업 연합과 분석 업체들 간 협업이 시급할 때다. 이를 통해 APAC 전역에 적용 가능한 검증된 컴플라이언스 체계를 공동 개발하고, 각국의 지하 금융 흐름에 대한 전문가를 확보해 관할권별 위험 라이브러리를 구축해야 한다. 여기에 더해 분기별 영향 보고서 발행 등의 투명성을 시스템에 내장함으로써 자금세탁 차단 효과를 정기적으로 평가해야 할 시점이다.

아시아는 지금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지방 맞춤형 AML 구조 구축, 글로벌-지역 간 협력 체계, 투명한 집행이 제자리를 잡지 못하면 ‘규제 없는 암호화폐 개척지’로 낙인찍힐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국제 기준을 존중하면서도 각국 현실에 맞춘 구조적 기반을 구축한다면, 규범과 혁신이 공존하는 새로운 크립토 허브로 도약할 가능성도 충분하다. 이때 핵심은 아시아의 암묵적 금융 언어를 이해하고, 이를 감시하고, 확산을 차단할 로컬 연결망의 힘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3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3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Slowpoke82

10:02

등급

사계절

06:44

등급

가즈아리가또

00:25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8.17 06:44:04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