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비트코인 783개 한 번에 탈취…12억 원 피해 부른 '사회공학 사기'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피해자 한 명이 고객지원 사칭 사기에 속아 비트코인 783개, 약 12억 원을 한 번에 도난당했다. 프라이버시 지갑으로 전송돼 자산 흔적도 거의 사라졌다.

 비트코인 783개 한 번에 탈취…12억 원 피해 부른 '사회공학 사기' / TokenPost.ai

비트코인 783개 한 번에 탈취…12억 원 피해 부른 '사회공학 사기' / TokenPost.ai

한 비트코인(BTC) 보유자가 한순간의 실수로 약 91만 달러(약 12억 6,490만 원)를 잃는 최악의 사기 피해를 당했다. 블록체인 분석가 잭엑스비티(ZachXBT)의 조사에 따르면, 해커는 고객지원 직원을 사칭해 피해자의 신뢰를 얻은 뒤, 그 과정에서 사기 방식인 '사회공학적 공격'을 이용해 피해자의 자산을 탈취했다.

피해자는 사칭된 암호화폐 거래소 및 하드웨어 지갑 업체의 지원 팀에 속은 뒤, 비트코인 783개를 단 한 번의 전송으로 도난당했다. 이후 이 자산은 프라이버시에 초점을 맞춘 비트코인 지갑 서비스인 와사비 월렛(Wasabi Wallet)으로 옮겨져 흔적을 감췄다. 사건은 25일 오후 8시 6분(한국시간 기준)에 발생했고, 도난 자산은 이튿날 세탁이 시작됐다.

이른바 사회공학 기법은 기술적 해킹이 아니라, 사람의 심리를 노려 정보를 갈취하는 수법이다. 사기범은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사람들의 경계심을 무너뜨린 뒤, 지갑의 프라이빗 키나 패스워드 같은 민감 정보를 확보하고 자금을 탈취한다. 이 같은 수법은 단순 투자자부터 고령층까지 폭넓게 피해를 입히고 있어 꾸준한 주의가 요구된다.

ZachXBT는 이번 사건을 소개하며 “모든 전화나 이메일은 처음부터 사기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하라”고 강조했다. 해커들이 정교한 시나리오를 구성해 접근하는 만큼, 평소 의심하는 습관이 디지털 자산을 지키는 첫걸음이라는 조언이다. 이번 사례는 보안의 허점이 기술이 아닌, 사람의 방심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다시금 일깨우고 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빅리치

11:38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