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에서 주요 알트코인 중심의 유출세가 두드러지는 가운데, 스테이블코인 USDT가 최대 수혜처로 자금을 흡수하고 있다.
5일 크립토미터 집계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암호화폐 시장에 미국 달러(USD) 자금은 총 6920만 달러가 유입됐다. 이는 ▲BTC(4810만 달러) ▲SOL(1010만 달러) ▲XRP(510만 달러) ▲USDC(170만 달러) ▲PUMP(160만 달러) 등으로 분산됐다.
원화(KRW) 자금은 4220만 달러가 유입돼 ▲USDT(3940만 달러) ▲USDC(180만 달러) ▲GRACY(87만 달러)로 이동했다.
터키 리라(TRY)는 1500만 달러가 투입됐고 대부분 ▲USDT(1400만 달러) ▲USDC(110만 달러)로 흘러가며 안정적 자산 선호가 두드러졌다.
FDUSD 자금은 1180만 달러가 이동해 ▲ETH(1030만 달러) ▲DOGE(150만 달러)로 전환됐으며 일본 엔화(JPY) 자금은 530만 달러가 들어와 ▲BTC(470만 달러) ▲ETH(65만 달러)로 이동했다.
유로(EUR)는 720만 달러가 ▲USDC(300만 달러) ▲SOL(180만 달러) ▲USDT(170만 달러) ▲RLUSD(67만 달러)로 배분됐고 브라질 헤알(BRL) 자금 92만 달러는 전액 ETH로 유입됐다.
이날 USDT는 법정화폐에서 들어온 5000만 달러를 포함해 총 1억8980만 달러를 흘려보냈다.
USDT 자금은 대부분 ▲USDC(1억1590만 달러)로 전환됐으며 ▲XRP(4110만 달러) ▲FLOCK(550만 달러) ▲PUMP(530만 달러) ▲MKR(420만 달러) 및 ▲BETH ▲SHIB ▲UNI ▲NEIRO 등으로 흩어졌다.
비트코인(BTC) 자금은 5280만 달러가 유입돼 일부가 ▲XRP(82만 달러) ▲BNB(170만 달러) ▲AVAX(110만 달러)로 분산됐다. 이더리움(ETH)은 1340만 달러 상당의 자금을 흡수했다. 이중 일부가 ▲TRX(140만 달러)로 빠졌다.
최종적으로 ▲USDC(1억2350만 달러) ▲XRP(4720만 달러) ▲SOL(1990만 달러) 등이 뚜렷한 종착지로 자리했다. ▲FLOCK(550만 달러) ▲PUMP(700만 달러) ▲BETH(280만 달러) ▲DOGE(160만 달러) 등 알트코인으로도 자금이 확산되는 흐름이 포착됐다.

이날 암호화폐 시장의 자금 유출 흐름을 살펴보면 이더리움(ETH)에서는 1억8540만 달러가 흘러나갔다.
자금은 ▲USDT(2500만 달러) ▲USDC(5600만 달러) ▲달러(2410만 달러) ▲원화(1650만 달러) ▲비트코인(6370만 달러)로 재배치됐다.
ETH에서 비트코인(BTC)로 들어온 자금 중 일부는 ▲USDT(1520만 달러) ▲유로(490만 달러)로 빠져나갔다.
솔라나(SOL)에서는 총 4670만 달러가 이탈해 ▲USDT(3550만 달러) ▲이더리움(230만 달러) ▲FDUSD(220만 달러) ▲원화(670만 달러)로 흩어졌다.
XRP에서는 3990만 달러가 유출되며 ▲원화(2290만 달러) ▲유로(940만 달러) ▲USDC(540만 달러) ▲이더리움(230만 달러)로 분산됐다.
체인링크(LINK)에서는 총 2310만 달러가 빠져나가며 ▲USDT(960만 달러) ▲USDC(410만 달러) ▲달러(940만 달러)로 옮겨갔고 카르다노(ADA)도 1280만 달러가 ▲USDT(950만 달러) ▲달러(330만 달러)로 이동했다.
WLFI에서는 1620만 달러가 유출돼 ▲원화(850만 달러) ▲USDT(760만 달러)로 분산됐다. 도지코인(DOGE) 역시 1310만 달러가 ▲달러(560만 달러) ▲원화(480만 달러) ▲USDT(280만 달러)로 쏠렸다.
ENA에서는 총 1080만 달러가 빠져 ▲USDT(550만 달러) ▲원화(530만 달러)로 흩어졌다.
TRX(1240만 달러), USD1(1050만 달러), MNT(720만 달러), HYPE(600만 달러), XUSD(540만 달러), OKB(530만 달러), TRUMP(530만 달러)는 전액 USDT로 이동했으며 BNB(520만 달러)는 FDUSD로 재배치됐다.
이 밖에도 PENGU, HBAR, FIL 등 다수 종목에서 매도세가 포착됐다.
가장 큰 자금 흡수처가 된 USDT는 총 2억90만 달러를 받아내며 시장의 핵심 피난처 역할을 했다. USDT에서 다시 달러(380만 달러), 브라질 헤알(250만 달러) 등으로 일부 현금화가 이뤄졌다.
이밖에 ▲USDC(6560만 달러)와 ▲달러(4900만 달러) ▲유로(1430만 달러) ▲브라질 헤알(250만 달러)로도 현금화 흐름이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