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이 가상자산 산업 선점을 위한 전략을 본격화하면서, 미국이 글로벌 디지털 금융 혁신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려는 움직임이 뚜렷해지고 있다.
패트릭 위트 미국 백악관 디지털자산 자문위원회 사무국장은 9월 23일 서울에서 열린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행사에 화상으로 참석해, 미국이 단순히 세계 가상자산의 중심지가 아닌, 전통적 기술 혁신 국가로서의 위상을 지키고자 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현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 아래 가상자산 산업을 육성하려는 정책적 의지가 강하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지난 세기 내내 경제 혁신을 선도해왔던 것처럼, 디지털 자산 부분에서도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위트 사무국장은 미국 정부가 최근 추진 중인 ‘지니어스법’의 후속 입법 작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관련 법·제도 정비를 통해 국제 기업들을 미국으로 유치하기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현재는 가상자산 기업들이 미국 내에 회사를 설립하고 자금을 조달하며 기술을 실현하기에 매우 적합한 시기다. 이를 통해 미국이 디지털 금융의 주요 기지로 자리 잡겠다는 전략이다.
또한 그는 미국의 은행 시스템과 결합된 스테이블코인(가치가 안정된 가상화폐)의 사용 확대가 달러의 국제적 위상 유지에 도움이 될 것이라 전망했다. 아울러 이러한 정책 기반은 미국이 국제 사회에 규제 표준을 제시하는 리더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가상자산 관련 전략을 조속히 입법화하길 원하며, 이에 따라 백악관 역시 비트코인 전략 비축을 법제화해 확장하는 작업을 병행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같은 행사에 참석한 김서준 해시드 대표는 이어진 발표에서, 앞으로 국가 경쟁력은 물리적 영토보다 연결된 가치와 디지털 네트워크의 깊이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특히 한국이 금융 혁신 분야에서 중국보다 더 개방적이고 역동적인 환경을 조성할 잠재력이 있다며, 디지털 시민권과 같은 새로운 개념이 100년 후 한국의 국가 정체성에 중요한 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처럼 미국 정부가 제도 정비와 산업 기반 마련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글로벌 가상자산 기업들의 미국 진출도 활발해질 가능성이 커졌다. 중장기적으로는 미국이 디지털 통화의 규범과 질서를 주도하는 중심국가로 부상하면서, 다른 나라에도 정책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파급력이 상당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