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수요일 아시아 장 초반 11만 1,500달러(약 1억 5,509만 원)를 하회하며 11만 1,000달러(약 1억 5,429만 원)까지 밀렸다가 빠르게 반등해 11만 3,900달러(약 1억 5,822만 원)까지 회복했다. 이 반등은 주초 낙폭을 일부 되돌리며 중반 주 흐름 전환 가능성을 시사하는 움직임으로 해석됐다. 특히 차트상에서 감지된 여러 상승 다이버전스가 매수 신호로 작용하며 단기 바닥 다지기의 명분을 제공했다.
이 같은 상승 시도에도 불구하고, 비트코인 시장에는 여전히 공급 압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온체인 분석 업체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지난 8월 이후 고래급 지갑 주소에서 14만 7,000BTC 규모의 매도가 포착됐다. 이는 현재 시세 기준 약 167억 5,000만 달러(약 23조 2,825억 원)에 달하는 물량이다. 단기간 내 이 정도 수준의 매도는 가격 움직임에 부담이 될 수밖에 없으며, 시장의 상방 여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파생상품 시장에선 이상 조짐이 감지됐다. 비트코인 옵션의 내재 변동성(Implied Volatility)은 최근 수년래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며 잠복된 대규모 움직임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일반적으로 내재 변동성이 낮다는 건 트레이더들이 단기적으로 큰 변동을 예상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지만, 이는 오히려 변동성이 급격히 폭발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음을 뜻하기도 한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러한 조용한 국면 직후, 방향성을 가늠하기 어려운 급격한 가격 반전이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이 커지며 암호화폐 규제 기조에 변화 조짐이 있다는 점에서, 매크로 조건이 비트코인에 우호적으로 작용할 여지도 있다. 따라서 변동성의 급등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포지션을 조절하라는 경계도 잇따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