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크라켄, 6,950억 원 조달 완료…IPO 본격 시동

프로필
민태윤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크라켄이 약 6,950억 원 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2026년 IPO를 목표로 본격 행보를 시작했다. 미국 주식 토큰화 등 비즈니스 다변화도 추진 중이다.

 크라켄, 6,950억 원 조달 완료…IPO 본격 시동 / TokenPost.ai

크라켄, 6,950억 원 조달 완료…IPO 본격 시동 / TokenPost.ai

암호화폐 거래소 크라켄(Kraken)이 약 6,950억 원 규모의 시리즈 자금 조달을 마무리하며 향후 IPO(기업공개) 행보에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전체 기업가치는 약 20조 8,500억 원에 달하며, 이번 투자는 전통 금융을 아우르려는 크라켄의 전략을 뒷받침하는 계기로 평가된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크라켄의 설립 이후 가장 큰 규모로, 과거 10년간 누적된 벤처 투자액 2700만 달러(약 375억 원)에 비해 비약적인 성장세를 보여준다. 2021년 당시 강세장이 정점을 찍었을 때 IPO 가능성을 처음 언급했던 당시 CEO 제시 파월(Jesse Powell)의 발언이 현실화되는 분위기다. 다만 2022년 암호화폐 시장의 장기 침체, 이른바 ‘크립토 겨울’로 인해 IPO는 한동안 연기됐었다.

하지만 최근 기류는 다르다. 2026년 IPO를 목표로 다시금 준비 태세에 돌입한 크라켄은, 현지 보도에 따르면 올해 3월 선물 거래 플랫폼 닌자트레이더(NinjaTrader)를 인수하며 전략적 포지셔닝을 강화한 바 있다. 미국 암호화폐 업계 전반의 IPO 붐도 크라켄의 상장 추진에 힘을 싣는 요인으로 꼽힌다. 써클(Circle)과 제미니(Gemini) 등 주요 플레이어들도 상장 절차에 나서고 있는 만큼, 크라켄에 대한 시장의 기대도 점점 커지고 있다.

현재 공동 CEO로 재직 중인 아르준 세티(Arjun Sethi)는 다소 색다른 방식으로 회사를 이끌고 있다. 그는 미국 멘로 파크 자택을 본사처럼 활용하며, 업무와 삶을 유연하게 결합시키는 경영 방식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유연성은 크라켄이 블록체인 기술을 전통 금융 인프라로 확장하려는 맥락과 맞물려 있다.

특히 크라켄은 최근 미국 주식 자산을 토큰화한 ‘xStocks’ 프로젝트를 선보이며, 개인 투자자 유치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증권성과 토큰화를 결합한 시도로, 거래소 본연의 역할을 탈피해 새로운 금융 생태계를 창출하려는 의도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물론 상장까지는 여전히 수많은 변수들이 존재한다. 암호화폐 가격이 2026년에 급락할 경우, 현재 평가받는 150억 달러(약 20조 8,500억 원) 기업가치가 크게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러나 크라켄은 여전히 안정적인 수익 구조와 다변화된 사업 모델을 갖추고 있어,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에 대해서는 낙관론이 우세하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