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9월 말 반등에 성공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다시 모으고 있다. 미국 고용 지표 발표와 금 가격 상승이라는 거시 변수 속에서, 이날 비트코인은 주간 종가 기준으로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 선을 회복하며 강세 흐름을 연출했다.
앞서 비트코인은 9월 저점인 10만 9,000달러(약 1억 5,151만 원) 아래로 하락하며 약세 전환 우려가 컸지만, 주말 사이 돌연 반등에 나서며 상승 에너지를 되살렸다. 이로써 강세장 재진입 여부를 둘러싼 시장 참가자 간의 강한 공방이 시작된 셈이다. 일부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이 다음 저항선 위에서 안착할 경우 연말까지의 랠리를 노릴 수 있을 것이란 분석도 내놨다.
다만, 시장의 유동성은 여전히 불안정하다. 특정 가격 영역대에서 롱 포지션 청산을 유도하려는 움직임이 되풀이되며, 투자자들의 방향성 판단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데이터 분석가들은 비트코인의 단기 하락 이후 다시 반등이 나타나는 전략적 유동성 게임이 반복되고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이번 주 발표될 고용 지표가 주요 이벤트로 지목된다. 이 지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기조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 물가 압력과 성장 둔화 사이에서 상당한 정책적 부담을 안고 있는 상황이다.
전통 자산 시장에서는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 이로 인해 비트코인 역시 안전자산 대체재로서 유사한 흐름을 나타낼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일부 분석가는 금이 새 고점을 찍자 “이제 비트코인의 차례”라는 메시지를 던지며 심리적 전환 가능성을 제기했다.
한편,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급락 구간에서 단기 트레이더 중심의 투매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반대로 장기 보유자들은 별다른 움직임 없이 그대로 자리를 지키며, 비트코인의 내재적 가치를 신뢰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비트코인의 반등이 단순한 기술적 되돌림에 그칠지, 아니면 탄탄한 회복의 신호탄이 될지는 아직 미지수다. 다만 주목할 점은, 거시환경과 심리적 변곡점 모두가 겹쳐 있는 지금이 시장에 중대한 전환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