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금융 불안이 고조되는 가운데, 금과 암호화폐가 자산 방어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블랙록(BlackRock) 최고경영자 래리 핑크(Larry Fink)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미래투자이니셔티브(FII) 포럼에서 “투자자들은 자산 가치 하락에 대한 두려움 속에 금이나 암호화폐 같은 ‘공포의 자산’을 선택하고 있다”고 밝혔다.
핑크는 “자산이 평가절하되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안전한 피난처를 찾아 나선 결과가 금과 암호화폐”라고 설명하며, “이는 단순한 수익률보다 자산의 금융적, 물리적 안전성이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라고 강조했다.
그의 발언은 최근 금 가격이 급락한 데 이어 나왔다. 트레이딩뷰(TradingView)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 온스당 4,377달러(약 6,080만 원)라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금 현물 가격은 이후 하락해 4,000달러(약 5,560만 원) 아래로 내려갔다. 여전히 고가 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급등과 급락이 반복되면서 시장의 불안 심리를 반영하고 있다는 평가다.
미국 경제와 관련해서도 핑크는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그는 “미국은 자국 국채의 30~35%를 여전히 해외 투자자에게 판매해야 한다”며, “달러 기반 자산 판매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미국 경제의 최대 리스크”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구조가 변할 경우 연쇄적인 파급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민간 자본을 정책적으로 유입할 수 있는 구조 개편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언은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수장의 시각이라는 점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핑크가 명시적 언급은 하지 않았지만, 비트코인(BTC)을 포함한 암호화폐 전반에 대해 ‘금과 같은 대체투자자산’으로 보는 인식이 커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글로벌 자산 포트폴리오 내에서 암호화폐의 입지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