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이더리움($ETH), 실현 가격 지지선 도달…고래 매집에 반등 가능성 제기

프로필
손정환 기자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2

이더리움이 실현 가격 밀집 구간에 도달하면서 장기 투자자 매수세 유입이 확인되고 있으며, 고래 지갑 누적도 증가해 반등 기대가 커지고 있다.

 이더리움($ETH), 실현 가격 지지선 도달…고래 매집에 반등 가능성 제기 / TokenPost.ai

이더리움($ETH), 실현 가격 지지선 도달…고래 매집에 반등 가능성 제기 / TokenPost.ai

이더리움(ETH)이 최근 2,870달러(약 387만 원)까지 하락하며 핵심 온체인 지지선에 도달했다. 주요 분석가는 이 지점을 ‘전통적인 바닥 구간’이라고 평가하며 반등 가능성을 시사했다.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애널리스트 MAC_D는 이더리움의 이번 급락이 ‘실현 가격(realized price)’ 밀집 구간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현 가격은 최근 매입자들의 평균 매수 단가로, 과거 사례들을 보면 해당 지점에서 장기 투자자의 매수가 유입되며 반등 기반이 형성되는 경향이 있다는 설명이다.

이더리움 가격은 엔비디아 실적 발표 전 투자 심리 위축으로 2,900달러(약 391만 원) 이하로 밀렸지만, 이후 시장 예상을 웃도는 엔비디아 결과에 힘입어 빠르게 회복했다. 특히 장기 보유 성향의 이더리움 고래(whale) 지갑들이 지속적으로 매집에 나서고 있어, 투자자들 간 행동 방향이 뚜렷하게 갈리고 있다.

MAC_D는 이와 같은 ‘공급 구조 재편’이 보통 시장의 늦은 단계 바닥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언급했다. 단기 투자자가 이탈하는 동안 대형 지갑이 물량을 흡수하는 흐름이 확인되고 있다는 것이다.

청산 지표도 개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최근 이더리움이 단기 저점을 찍을 때마다 강제 청산에 따른 매도 강도가 줄어드는 모습을 보여준 것. 이는 과도한 레버리지를 걸었던 매수 포지션들이 대부분 정리됐음을 시사한다.

반면 공매도 포지션은 증가세다. 얇아진 유동성 환경 속에 이런 포지션 집중은 반등 시 ‘쇼트 스퀴즈(short squeeze)’ 조건을 만들 수 있다. 소폭 상승만으로도 매도 세력이 강제 청산돼 급등할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이더리움은 약 3,020달러(약 407만 원)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1% 하락, 1주일 기준으론 15% 넘게 하락했다. 한 달 기준 낙폭은 22%에 이른다.

시장 내에서 레버리지 위험도는 커지고 있다. 바이낸스 거래소에서의 이더리움 예상 레버리지 비율(ELR)이 최근 0.5617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롱과 숏 양방향으로 긴장 상태에 있다는 신호다.

시장에서는 향후 유동성 밀집 구간이 주목 대상이다. 분석가 크립토 파텔(Crypto Patel)은 지난 19일, 이더리움이 2,940달러(약 396만 원)에서 ‘구조 붕괴(BOS)’ 신호를 보여줬다고 평가하며, 3,270~3,360달러(약 440만~452만 원) 사이에 존재하는 ‘공정 가치 격차(Fair Value Gap)’ 회복이 단기 상승 목표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현 시점에서 이 가격대까지 도달하려면 약 14~15% 상승이 필요하다.

이를 종합하면, 이더리움은 여러 지표상 바닥 형성 단계에 접근하고 있으며 대형 투자자들의 행보가 강력한 지지선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레버리지 누적과 유동성 부족이 여전히 불안 요인으로 남아 있어, 단기 반등의 강도와 지속성에 따라 추세 전환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TokenPost Ai

🔎 시장 해석

- 실현 가격 기반의 온체인 분석과 고래 지갑의 누적 매입은 이더리움이 중기적 반등을 시도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 그러나 레버리지 수준이 과열된 만큼 단기 급변 가능성도 열려 있다.

💡 전략 포인트

- 단기 트레이더는 3,270~3,360달러의 가격 격차 회복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장기 투자자는 고래 매집 구간과 실현 가격 밀집의 의미를 고려한 분할 매수가 전략이 될 수 있다.

📘 용어정리

- ‘실현 가격(Realized Price)’: 네트워크 내 평균 매수 단가로, 장기적 수익성 기반을 나타냄

- ‘공정 가치 격차(Fair Value Gap)’: 큰 가격 움직임 속 미체결 주문으로 발생한 유동성 공백

- ‘구조 붕괴(BOS, Break of Structure)’: 기존 가격 흐름이 무너지고 새로운 추세가 형성되는 지점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빅리치

07:36

등급

릴라당

06:18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릴라당

2025.11.21 06:18:03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