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P가 하루 만에 거래량의 30%를 잃으면서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 급격한 하락은 대규모 롱 포지션 청산과 판세 전환을 동반하며 시장 불안을 키우고 있다.
26일 코인가스(CoinGlass) 데이터에 따르면 XRP는 단 하루새 30% 가까이 가격이 급락했고, 12시간 만에 약 114만 달러(약 1억 6,809만 원)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다. 이 중 대부분은 레버리지 롱포지션이었으며, 숏 포지션 청산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특히 바닥 영역이 무너지면서 자동 청산 알고리즘이 대거 작동해 매도 압력을 키운 것으로 보인다.
거래량 분석에서도 이 같은 흐름이 확인된다. 메이저 거래소인 바이낸스와 MEXC의 XRP 현물 거래량이 각각 약 17억 달러(약 2조 5,066억 원)를 기록했으며, 이는 청산의 진원지라 할 수 있다. 이들 플랫폼에서는 매도 포지션이 연달아 출현하며 시장에 연쇄적 하락 압력을 가했다.
롱/숏 포지션 비율 역시 하락을 가속화한 요인 중 하나다. 바이낸스에서는 XRP의 롱/숏 비율이 2.55:1까지 치솟으며 포지션 쏠림이 극대화됐다. 이 같은 비대칭은 작은 가격하락에도 대규모 청산을 유발하는 '도미노 현상'을 낳는다. 실제로 XRP는 이전 지지선이던 2.15~2.20달러 구간을 깨고 급락한 뒤, 하단 추세선 근방에서 간신히 반등 흐름을 보였다.
기술 지표 측면에서는 다소 희망적인 신호도 있다. 가격은 하락 채널 하단을 회복했고, RSI(상대강도지수)는 과매도 상태에서 빠르게 반등했다. 이는 매도세가 다소 누그러질 가능성을 시사한다. 다만 거래소 유입량이 회복되지 않거나 선물 시장 자금 흐름이 여전히 부정적이라면, 2달러 지지선 재시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XRP 급락은 과도한 롱 포지션과 거래소 쏠림 현상이 결합하며 촉발된 전형적인 유동성 위기 패턴이다. 최근의 단기 반등은 기술적 조정일 수 있으며, 방향성 확인에는 시간이 필요하다.
💡 전략 포인트
- 롱/숏 포지션 비율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시장 구조 주의
- 메이저 거래소 내 거래량 흐름은 향후 추세 전환의 핵심 지표
- 2달러 지지선과 2.30~2.40달러 회복 여부가 단기 분수령
📘 용어정리
- 청산(liquidation): 레버리지 거래 중 손실이 유지 증거금을 초과해 거래소가 자동으로 포지션을 종료시키는 것
- 롱 포지션(long position): 가격 상승을 예상하고 매수한 상태
- RSI(Relative Strength Index): 70 이상이면 과매수, 30 이하이면 과매도로 판단하는 기술적 지표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