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리비아 정부가 암호화폐와 스테이블코인을 공식 금융 시스템에 통합하겠다고 밝혔다. 전통 금융 시스템과 디지털 자산 간의 경계를 허무는 조치로, 남미 경제에서 암호화폐의 비중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호세 가브리엘 에스피노사 경제장관은 25일(현지시간) ‘볼리비아 경제 현대화 정책’의 일환으로 암호화폐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현지 은행들은 고객을 대신해 암호화폐를 수탁 보관할 수 있으며, 저축 계좌, 대출 상품 등에도 비트코인(BTC)과 같은 디지털 자산이 활용될 수 있다.
에스피노사 장관은 “암호화폐는 전 세계적으로 통제할 수 없다”며 “이를 인정하고, 오히려 국가 발전에 활용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볼리비아는 암호화폐에 대해 상당히 보수적인 입장을 유지해 왔다. 2014년에는 중앙은행이 디지털 자산 사용을 명시적으로 금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인플레이션과 외화 부족, 내수 경기 침체 등 경제 불안 요소가 지속되면서 정부가 투자 유치와 금융 효율성 제고를 위해 외환 다변화를 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정책 변화는 볼리비아가 현재 국제 금융기구들과 약 90억 달러(약 13조 2,300억 원) 규모의 차관 협상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나왔다. 디지털 금융 수단의 도입은 외자 유치와 금융 포용성 확대를 위한 전략적 수단이 될 수 있다.
시장에서는 볼리비아의 정책 전환이 남미 국가들 사이에서 암호화폐 채택 경쟁에 불을 지필 수 있다고 본다. 이미 엘살바도르는 2021년 비트코인을 법정통화로 채택했고, 브라질, 아르헨티나 역시 디지털화폐 인프라 강화를 추진 중이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볼리비아의 이번 조치는 라틴아메리카 전역에서 진행 중인 암호화폐 규제 완화 흐름과 궤를 같이한다. 자국 통화 신뢰도가 낮은 신흥국일수록 디지털 자산이 매력적인 대안이 되고 있다.
💡 전략 포인트
암호화폐 수용이 가속화되는 국가에서의 거래 확대, 지역 특화 프로젝트 진출이 유효한 시점이다. 특히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금융 상품 설계 가능성에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 법정화폐나 실물 자산에 연동돼 가격이 안정된 암호화폐. 대표적으로 테더(USDT), USD코인(USDC) 등이 있다.
수탁(Custody) : 고객 자산을 대신 보관·관리하는 서비스. 은행이나 거래소 등이 제공한다.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