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최근 9만 달러(약 1억 3,173만 원)를 돌파하며 단기 반등세를 보였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본격적인 ‘상승 전환’이라 보기에는 이르다고 평가한다. 주요 저항선을 앞두고 반락 가능성도 상존하면서 비트코인은 결정적인 분기점에 진입했다.
일단 비트코인은 강한 매수세가 유입된 8만 달러(약 1억 1,709만 원) 초반대 지지 영역에서 반발 상승에 성공했다. 단기적으로는 공포 분위기 속에서도 일정 수준의 저가 매수가 지속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전체적인 시장 흐름은 여전히 하락 추세로 분류된다. 현재 가격대가 단순한 기술적 반등에 불과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일간 차트에서는 첫 번째 주요 저항 구간으로 9만 6,000달러(약 1억 4,065만 원) 선이 주목된다. 이 구간을 뚫고 안착할 경우 10만~10만 4,000달러(약 1억 4,637만 원~1억 5,222만 원) 재시험도 가능하다. 그러나 여기서 반락할 경우, 비트코인은 다시 8만~8만 3,000달러(약 1억 1,709만 원~1억 2,150만 원) 지지대를 시험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4시간 차트에서는 기존의 하락 추세선을 돌파하며 단기 상승 전환 신호가 확인됐다. 이번 상승은 시장에 재차 수요가 유입되고 있다는 증거로 해석된다. 다만 현재 가격대인 9만 1,000달러(약 1억 3,312만 원)구간은 수급 저항과 하락 추세선이 교차하는 중요한 저항대다. 업사이드가 열리려면 이 수준을 강하게 돌파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되돌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온체인 지표에서도 유의미한 신호가 포착됐다. 2주 단위 청산 히트맵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현재 심리적 분기점인 10만 달러 아래에 대규모 청산 구역이 형성돼 있다. 최근 급락 구간에서 다수의 숏 포지션이 몰렸는데, 이 구간은 강한 가격 반동이 촉발될 수 있는 ‘유동성 밀집 지점’으로 판단된다. 반대로, 하단의 8만~8만 5,000달러(약 1억 1,709만 원~1억 2,441만 원) 구간은 유동성 공백이 큰 곳으로 다시금 밀릴 경우 대량 매수세 유입 여부가 중대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비트코인은 ‘관성적 하락 후 약한 회복’ 국면에 있다. 차트상 상방 돌파 여부가 아직 확실치 않으며, 온체인상으로도 수급이 아직 정리되지 않은 구간이 많다. 가격이 의미 있는 상단 저항을 돌파하고 안정적으로 안착하는지를 지켜보는 것이 관건이다.
기사요약 by TokenPost.ai
🔎 시장 해석
비트코인은 현재 단기 반등 흐름 속에서 하락세를 멈췄지만, 본격 상승 전환 판단은 시기상조다. 핵심 저항선 돌파 여부가 중장기 흐름을 결정지을 전망이다.
💡 전략 포인트
9만 6,000달러 이상 안착 여부가 관건이다. 실패할 경우 8만 달러대로 재조정 가능성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온체인 유동성 흐름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 용어정리
- 유동성 히트맵(Liquidation Heatmap): 청산 주문 밀집 구간을 그래픽으로 나타낸 차트. 가격 급변 구간을 예측하는 데 사용
- 수요대(Supply Zone): 매도 물량이 쌓여 있는 가격대. 상승을 저지하는 저항 구간
- 추세선(Trendline): 차트상 고점 또는 저점을 연결한 선으로, 추세의 방향성과 변곡점을 판단하는 데 활용됨
TP AI 유의사항
TokenPost.ai 기반 언어 모델을 사용하여 기사를 요약했습니다. 본문의 주요 내용이 제외되거나 사실과 다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