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금감원 “원자재 ETP 투자, 국제정세 따라 손실 커질 수 있어” 경고

프로필
김민준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금융감독원이 국제정세 불안과 투기 자금 유입으로 원자재 연동 ETP 투자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며 신중한 투자를 당부했다. 특히 파생형 상품은 구조적 손실 우려가 커 투자 전 정보 확인이 필수라고 설명했다.

 금감원 “원자재 ETP 투자, 국제정세 따라 손실 커질 수 있어” 경고 / TokenPost.ai

금감원 “원자재 ETP 투자, 국제정세 따라 손실 커질 수 있어” 경고 / TokenPost.ai

금융감독원이 원자재 관련 상장지수상품(ETP) 투자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최근 글로벌 공급망을 뒤흔드는 전쟁과 관세 등의 영향으로 원자재 가격이 급등락을 반복하면서, 연계 상품 투자에 따른 리스크가 커지고 있다는 판단이다.

금감원이 6일 발표한 '원자재 ETP 투자 유의사항' 자료에 따르면, 개인투자자가 원자재 가격과 연동된 상장지수펀드(ETF) 및 상장지수증권(ETN) 등에 투자할 경우 국제정세에 따른 가격 불확실성과 투기적 자금 유입으로 인한 괴리율 확대 가능성을 충분히 인식해야 한다. 실제로 코로나19 확산기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에도 원자재 가격과 관련한 ETP 투자에서 큰 손실 사례가 다수 발생했으며, 이와 관련해 당시 소비자경보가 발령된 바 있다.

최근에도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 특히 이스라엘-이란 간 군사 충돌 등으로 국제유가가 단기간 크게 출렁였고, 미국의 무역정책 변화로 인해 구리 가격 또한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금감원은 이러한 여건 속에서 원자재 가격 불안정성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유의해야 할 부분은 레버리지나 인버스 구조를 포함한 파생형 ETP 투자다. 이러한 상품은 기초자산의 수익률 변동을 몇 배로 수익 또는 손실에 반영시키기 때문에, 복리 효과까지 반영되면 단기 손실 폭이 지나치게 커질 수 있다. 단순히 상승 혹은 하락 전망에만 의존해 쉽게 접근하기에는 구조적 위험이 크다.

또한 금감원은 대규모 단기 자금이 특정 원자재 ETP로 유입될 경우 시장가격과 실제 내재가치 간 괴리율이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런 상황에서는 기초자산의 움직임과 무관하게 투자 성과가 왜곡될 수 있어, 투자 전 관련 정보 확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원자재 투자 수요가 꾸준한 가운데 불확실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는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불가피하다. 금감원은 향후에도 ETP 상품에 대한 소비자 보호 및 정보 제공을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