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팟캐스트 Ep.93] AI도 이제 경제활동 스스로 돈 벌고 투자하는 토큰들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2

AI가 단순한 도구를 넘어 블록체인 위에서 스스로 경제활동을 하는 자율적 주체로 진화하면서, FAT 연합의 초지능 개발부터 개인 맞춤 AI 토큰화, AI가 직접 운영하는 DAO, 현실 데이터 검증까지 다양한 혁신을 보여주는 2025년 주목할 4가지 AI 에이전트 토큰 프로젝트들을 심층 분석합니다.

 [팟캐스트 Ep.93] AI도 이제 경제활동 스스로 돈 벌고 투자하는 토큰들

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은요, 정말 빠르게 변하고 있는 두 기술이죠. 블록체인과 인공지능 AI가 만나는 그 지점 바로 AI 에이전트 가상자산 토큰에 대해 좀 깊게 파볼까 합니다. 저희가 오늘 볼 자료는 크립토 닷컴에서 나온 건데요. 2025년에 주목할 만한 AI 에이전트 토큰 4가지를 딱 짚어주는 글이에요. 이걸 보면서 AI 에이전트 토큰이 대체 뭐고 또 어떤 가능성이 있는지 그 핵심을 좀 알아보는 게 저희 목표입니다. 자 그럼 이 흥미로운 세계를 한번 같이 들어가 볼까요? 우선 AI 에이전트라는 거 이게 뭔지 간단하게라도 짚고 넘어가야겠죠. 특정 목표를 위해서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그런 소프트웨어 가상비서나 게임 캐릭터 같은 거 생각하면 될까요?

진행자
네 맞아요. 딱 그런 개념인데 여기에 이제 블록체인 기술을 결합한 게 바로 AI 에이전트 토큰인 거죠. 이게 단순히 AI를 뭐 구동한다. 이런 차원을 넘어서요

토큰포스트
아 넘어서는 거군요.

진행자
탈중앙화된 네트워크 안에서 AI가 하는 활동들 있잖아요. 예를 들면 뭐 데이터 분석이라던가 서비스 제공이라던가 그런 활동에 직접적으로 경제적인 가치를 부여하고 또 보상하는 그런 시스템을 만드는 거예요. 이 토큰들이 어떨 때는 AI 서비스 접근 권한이 되기도 하고요. 또 네트워크에 기여하면 인센티브로 받기도 하고 아니면 의사결정권 그 거버넌스 토큰으로도 쓰이고요. 가장 중요한 건 AI의 판단이나 행동 그 자체에 직접적인 경제적 동기를 준다는 점입니다.

토큰포스트
와 AI의 행동에 경제적 가치를 바로 연결한다니 진짜 새로운 개념인데요. 그럼 구체적인 프로젝트들을 좀 보면서 이게 실제로 어떻게 돌아가는지 살펴보죠. 첫 번째가 아티피셜 슈퍼 인텔리전스 얼라이언스 특히 FET라구요. 이건 좀 이름부터 거창한데 패치 AI 싱귤러리티넷 그리고 오션 프로토콜 이 새 거물급 프로젝트가 합병해서 만든 연합이라고 들었어요. 목표도 인공 초지능 ASI 개발이라는 어마어마한 거구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사실상 각 분야의 강자들이 뭉친 거죠. 싱귤러리티넷은 그 탈중앙화 AI 마켓 플레이스 비전으로 유명하구요. 벤 고르첼 박사는 설립했죠. 셋 에이아이는 또 에이전트 기반 기술 플랫폼 그 델타 브이 마켓 플레이스가 있구요. 오션 프로토콜은 데이터 접근 민주화랑 토큰화된 데이터 자산 거래에 특화돼 있구요.

토큰포스트
각각의 강점들이 정말 뚜렷하네요.

진행자
그렇죠. 그래서 이 셋이 합쳐지면 뭐 이론적으로는 정말 강력한 AI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거죠. 시너리 효과가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물론 이렇게 큰 규모의 합병이 기술 통합이나 거버넌스 면에서 얼마나 매끄럽게 진행될지는 이건 좀 지켜봐야 할 문제입니다.

토큰포스트
네 맞아요. 지켜봐야 할 부분이겠네요. 자 그럼 이 거대 연합과는 좀 다른 접근 방식도 있는 것 같은데요. 버츄얼스 프로토콜 티커 VIRTUAL인데 이건 개인이 직접 AI 에이전트를 만들고 그걸 또 토큰화해서 사고팔 수 있게 한다구요.

진행자
그게 핵심입니다. 공동 소유 모델이라고 하는데요. AI를 그냥 사용하는 걸 넘어서서 그 AI가 만들어내는 수익 있잖아요. 그걸 개발자랑 소유자들이 같이 나눠 갖는 구조인 거예요.

토큰포스트
와 같이 나눈다 디지털 동업 같은 느낌인데요.

진행자
투자 도구나 루나 에이 보컬리스트 같은 거요 이런 에이전트들은 참여자 모두에게 이익을 돌려주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 그 베이스 체인 기능 출시하고 나서 가격이 좀 주목받기도 했었죠.

토큰포스트
아 이거 정말 뭐랄까 SF 영화에나 나올 법한 이야기 같은데요. ai16z라는 토큰은 이름부터가 유명 투자가 마크 안드레센한테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고 심지어 이 토큰을 운영하는 게 자율 AI 에이전트가 직접 이끄는 DAO 탈중앙화 자율 조직이라구요. 솔라나 기반이구요.

진행자
네, 그렇습니다. 이건 정말 실험적인 시도라고 볼 수 있죠. 엘라이자 프레임워크라는 기술을 사용해서 이 AI 에이전트가 여러 다른 플랫폼에서도 일관된 어떤 성격이나 지식을 유지하면서 상호작용한다고 해요.

토큰포스트
일관성을 유지한다.

진행자
네 토큰은 당연히 이 AI DAO의 운영 방향을 정하는 거버넌스 역할 그리고 네트워크 내 유틸리티 기능을 하고요. 실제로 초기에 시가총액이 확 늘면서 많은 관심을 받기도 했습니다. 근데 사실 AI가 인간 개입 없이 조직을 운영한다는 개념 자체가 여러 가지 생각해 볼 거리를 던져주죠

토큰포스트
정말 상상만 하던 일들이 현실화되는 느낌인데요. 시도들이 정말 다양하네요. 마지막은 조금 더 현실적인 실용적인 응용 분야인 것 같아요. 오리진 트레일 티커는 티알에이신데요. 이건 공급망 데이터 검증을 위한 탈중앙화 지식 그래프를 설정하는 프로토콜이라고 소개됐어요.

진행자
아 네 맞아요. 이건 현실 세계의 데이터를 블록체인 상에서 어떻게 하면 신뢰할 수 있게 연결하고 검증할까 여기에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입니다. 디케이지라는 게 그 복잡하게 얽혀있는 데이터들을 구조화하고 또 검색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이구요.

토큰포스트
데이터를 구조화한다.

진행자
그래서 TRAC 토큰은 이 오리진 트레일 네트워크 ODN이라고 부르는데 여기서 데이터를 올리거나 검색할 때 쓰이구요. 또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노드 운영자들한테 스테이킹 보상으로 주기도 하고 데이터 생성자에게 보상을 주기도 하고 당연히 네트워크 거버넌스 참여에도 쓰이구요. 뭐 오라클 같은 큰 기업들과 협력도 하고 있고 웹3의 구글을 목표로 한다고 하니 그 포부가 느껴지죠

토큰포스트
정말 야심찬 목표네요. 오늘 이렇게 4가지 토큰들을 쭉 살펴봤는데요. 들어보니까 AI랑 블록체인이 만나서 정말 다채로운 가능성을 만들어내고 있다는 게 확 느껴집니다. 탈중화가 된 AI 마켓 플레이스부터 시작해서 디지털 동원 모델 심지어 AI가 직접 이끄는 조직 또 현실 데이터 검증까지 정말 다양하네요. 그렇다면 이 모든 것이 듣고 계신 여러분께는 어떤 의미로 다가올까요?

진행자
제 생각에는요 핵심은 이것 같아요. AI가 더 이상 그냥 독립된 똑똑한 프로그램이 아니라는 거죠. 블록체인 위에서 투명하게 기록되고 또 토큰을 통해서 경제적으로 동기부여를 받고 다른 시스템이랑 상호작용도 하는 말 그대로 자율적인 경제 주체가 될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점입니다.

토큰포스트
자율적인 경제 주체요

진행자
네 이건 정말 이전에 없던 새로운 시스템나 가치 창출 방식이 생겨날 수 있다는 걸 시사하는 거죠. 다만 이건 꼭 짚고 넘어가야 하는데요. 이 분야가 엄청난 잠재력을 가진 건 맞지만, 그만큼 변동성이나 위험성도 정말 큽니다. 결론 부분에서도 강조하고 있듯이 아직은 굉장히 초기 단계이고 기술적으로나 시장적으로나 불확실성이 높아요.

토큰포스트
그렇죠. 아직은 좀 불안정한 면이 있죠.

진행자
네 그래서 만약 투자나 참여를 고려하신다면 반드시 깊이 있는 본인만의 조사 그 DYOR이라고 하죠. 자체 조사가 필수적이고 아주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기술의 가능성만 보고 섣불리 뛰어들기에는 아직 좀 이른 감이 있다는 거죠.

토큰포스트
네 신중한 접근이 중요하겠네요. 오늘 이렇게 이야기를 나눠보니까 저는 오히려 더 궁금해지는 지점이 생겼어요. 만약에요. 이 자율적인 AI 에이전트들이 지금 이야기 한 것처럼 각자의 토큰을 가지고 서로 다른 블록체인이나 플랫폼을 막 넘나들면서요 서로 협력하기도 하고 때로는 경쟁하기도 하고 그렇게 되기 시작한다면, 그때는 정말 우리가 지금 상상하지 못하는 어떤 새로운 모습의 미래가 펼쳐질 수도 있지 않을까요?

진행자
오늘 AI 에이전트 토큰에 대한 심층 분석은 여기서 마무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시간에도 흥미로운 자료 분석으로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이상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디스나

10:45

등급

Slowpoke82

10:35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디스나

2025.08.06 10:45:11

감사합니다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