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크립토 에코맵] 암호화폐 섹터 일제 급락…스테이킹 –21%, 이더리움·오라클 급반전

프로필
정민석 기자
댓글 5
좋아요 비화설화 8

최근 7일간 암호화폐 시장은 주요 섹터가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하며 전반적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전주 강세를 주도했던 스테이킹·이더리움·오라클 등이 불과 일주일 만에 급락세로 돌아선 점이 특징이다.

 암호화폐 주요 섹터의 주간 시가총액 변동률 / 아르테미스

암호화폐 주요 섹터의 주간 시가총액 변동률 / 아르테미스

전주 강세를 주도했던 주요 암호화폐 섹터가 이번 주 일제히 급락하며 시장 분위기가 급반전됐다.

20일 기준 아르테미스에 따르면 최근 7일간 암호화폐 시장은 전반적으로 큰 폭의 조정을 보이며 다수 섹터가 두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했다.

가장 큰 낙폭을 보인 부문은 ▲스테이킹 서비스(–21.1%)로, 전주(+35.0%) 급등세에서 불과 일주일 만에 급락으로 전환했다.

이어 ▲NFT 애플리케이션(–18.0%) ▲브리지(–17.9%) ▲데이터 가용성(–17.1%) ▲RWA(–16.2%) ▲디파이(–16.0%) 등이 줄줄이 하락했는데 이 역시 전주(+20% 이상) 강세에서 빠르게 반락한 흐름이다.

▲AI(–15.3%) ▲비트코인 생태계(–15.0%) ▲퍼페추얼 DEX(–15.0%) ▲게이밍(–14.6%) ▲밈코인(–14.5%) ▲이더리움(–14.0%)도 모두 두 자릿수 낙폭을 기록했다. 특히 이더리움은 전주(+24.8%) 급등세의 반작용으로 매수세가 크게 꺾였다.

▲파일 저장(–14.0%) ▲DePIN(–13.8%) ▲데이터 서비스(–13.3%) ▲유틸리티 및 서비스(–13.1%) ▲가치 저장(–12.3%)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11.1%) 역시 동반 하락하며 전주 상승세가 무너졌다.

그 외 ▲소셜(–9.8%) ▲1세대 스마트컨트랙트(–9.2%) ▲비트코인(–8.4%) ▲오라클(–2.6%) ▲거래소 토큰(–2.3%)도 하락세를 이어갔다. 오라클은 전주(+38.9%) 시장을 압도하던 강세에서 가장 가파른 온도 차를 보이며 조정세로 돌아섰다.

반면 ▲프라이버시 코인(+1.2%)만이 유일하게 플러스 전환에 성공했다. 전주(–7.5%)에서 하락했던 것과 대조적으로 방어적 성격이 부각되며 오히려 상승을 기록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5

추천

8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5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또리

2025.08.20 20:34:45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또리

2025.08.20 20:34:44

후속기사 원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사계절

2025.08.20 18:27:26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mini

2025.08.20 17:02:31

ㄱ ㅅ ㅇ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바다거북이

2025.08.20 16:52:08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