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큰포스트
안녕하세요.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 2025년 9월 15일 월요일인데요. 암호화폐 시장의 주요 동향 그리고 좀 주목해야 할 뉴스들 저희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시장 흐름을 같이 읽어보시죠. 먼저 현재 시장 상황부터 알아볼까요? 전반적으로는? 혼조세 이렇게 봐야 할 것 같은데요? 네. 오늘 오후 4시 9분 기준으로 보면요. 비트코인 BTC는 전날보다 0.34% 상승했습니다. 11만 6117.82달러 우리 돈으로 하면 약 1억 6121만 원 정도네요. 그런데 반면에 이더리움 ETH는 좀 내렸어요. 0.73% 하락해서 4633.14달러 약 642만 9304원이고요.
토큰포스트
리플 XRP도 1.86%, 솔라나 SOL도 2.70% 하락하는 등 주요 알트코인들은 좀 약세를 보이는 그런 모습입니다.
진행자
네 맞습니다. 비트코인이 그래도 소폭 상승하면서 좀 버텨주는 모습이긴 한데 말씀하신 대로 이더리움을 포함해서 주요 알트코인들이 하락하면서 시장 전체적으로는 뭐랄까 방향성이 뚜렷하지 않은 혼조세라고 보는 게 맞겠습니다. 전체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약 4조 494억 달러 수준이고요. 24시간 거래량은 1336억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좀 눈에 띄는 건 비트코인 시장 점유율인데요. 이게 57.15%로 소폭 상승했어요. 반면에 이더리움 점유율은 13.81%로 다소 감소했고요. 그리고 파생상품 시장 거래량은 전일 대비 6.73% 증가하면서 좀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네, 파생상품 거래량 증가는 좀 눈여겨볼 부분이겠네요. 시장 상황 잘 짚어주셨고요. 자, 그럼 이제 오늘 주목해야 할 주요 뉴스들 좀 더 자세히 들어가 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영국 중앙은행의 스테이블 코인 규제 움직임 소식부터 보죠. 그 파이낸셜타임즈 보도인데요. 영국 중앙은행이 개인하고 기업의 스테이블 코인 보유 한도를 설정하겠다. 이런 강력한 규제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내용입니다. 개인은 1만에서 2만 파운드, 우리 돈으로 한 1882만원에서 3764만 원 정도죠. 그리고 기업은 천만 파운드, 약 188억 원까지만 보유를 허용하겠다는 건데요. 이게 또 영국 내 결제 시스템에서 사용되거나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모든 스테이블 코인이 대상이라고 하니까 범위가 꽤 넓은 것 같아요. 네,
진행자
네, 영국 중앙은행 입장에서는 스테이블 코인이 너무 확산되면 기존 은행 예금이 줄어들 수 있다. 이건 좀 우려하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게 결국에는 개인이나 기업 대출에도 좀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는 거죠. 하지만 뭐 예상대로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렇죠. 업계의 반발이 없을 수 없겠죠. 어떤 논리인가요? 단순히 규제가 싫다는 건 아닐 텐데요.
진행자
네, 업계에서는 이런 규제가 영국의 국제 경쟁력을 떨어트릴 거다. 그리고 행정적으로도 너무 비효율적이고 과도한 비용이 발생할 거다. 이렇게 비판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좀 흥미로운 지점은요. 스테이블 코인이나 토큰화를 적극 지원하려는 영국 재무부하고 이걸 규제하려는 중앙은행하고 입장이 좀 다르다는 게 드러나고 있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정부 내에서도 아직 명확한 합의점이 없는 그런 상황으로 보입니다.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정부 부처 간의 입장이 다르다니 좀 이례적이네요. 만약 이 규제가 실제로 시행된다면 영국이 그동안 내세웠던 암호화폐 허브로서의 위치에는 좀 영향이 있지 않을까요?
진행자
네, 그런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규제가 원안대로 강하게 시행된다면 영국의 크립토 허브 전략에는 분명 타격이 될 수 있겠죠. 혁신 기업들이 좀 더 규제가 덜한 곳으로 옮겨갈 수도 있고요. 또 다른 국가들의 규제 정책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이 부분은 계속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이 규제 이슈는 계속 주목해야겠네요. 자, 다음 소식으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다른 주요 뉴스들도 좀 간략하게 짚어보죠. 먼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 SEC 관련 소식입니다. 폴 앳킨스 SEC 위원장이 앞으로는 기업에 대해서 단속 조치를 하기 전에 반드시 사전 통보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과거의 그 단속 일변도 기조에서 좀 벗어나서 예측 가능성을 높이겠다는 의지로 보이는데요. FTX 사태를 언급하면서 미국 투자자 보호 제도의 중요성도 강조했다고 합니다.
진행자
네, 이건 미국에서 활동하는 암호화폐 기업들한테는 규제 불확실성을 좀 해소해 줄 수 있는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 있겠습니다. 기업들이 이제 규제 당국의 조치에 미리 대비할 시간을 좀 벌 수 있게 되는 셈이니까요.
토큰포스트
네, 확실히 그런 면이 있겠네요. 다음은 솔라나 생태계 관련 소식입니다. 나스닥 상장사인 포워드 인더스트리 여기가 솔라나 기반 디파이 생태계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이게 좀 재미있는 게 유명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안세미라는 분이 솔라나가 이더리움에 비해 디파이 분야가 좀 취약하다 이렇게 지적을 했더니, 포워드 인더스트리 CEO인 카일 사마니, 멀티코인 캐피탈 설립자죠. 이분이 그것이 바로 우리의 계획이다. 이렇게 답하면서 알려졌다고 해요. 이 회사가 최근에 16억 5천만 달러 우리 돈으로 약 2조 3천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도 성공했고요.
진행자
그렇죠. 전통 금융시장의 상장사가 특정 블록체인의 디파이 생태계에 직접 투자하겠다. 이 계획을 밝혔다는 점이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단순히 뭐 비트코인을 사는 게 아니라 특정 생태계 자체의 성장에 베팅하겠다는 거니까요. 카일 사마니의 답변은 오히려 솔라나 디파이의 약점을 기회로 본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도 있겠고요.
토큰포스트
네, 전통 금융과 암호화폐 생태계의 접점이 점점 더 구체화되는 것 같네요. 그리고 파키스탄 소식도 있습니다. 규제 당국이 암호화폐 기업들에게 라이센스 신청을 장려하고 있다는 소식인데요. 이게 약 4천만 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시장을 개방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런 분석이 있네요.
진행자
네, 이건 신흥시장에서의 암호화폐 제도권 편입 움직임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해당 지역의 암호화폐 채택 확산에 중요한 계기가 될 수도 있겠죠.
토큰포스트
그리고 한국은행에서도 달러 연동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내놨습니다. 달러 패권을 강화할 수도 있지만 뱅크런 같은 대규모 인출 사태나 국채 가격 변동성을 유발해서 달러의 안전 자산 지위에 오히려 부정적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런 양면적인 분석을 내놨네요.
진행자
네, 이건 아까 살펴본 영국의 스테이블 코인 규제 움직임하고도 좀 연결되는 지점입니다.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스테이블 코인이 가져올 잠재적인 영향력, 또 리스크 이런 것들을 어떻게 평가하고, 대응하려 하는지 보여주는 그런 사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토큰포스트
네, 그렇군요. 시장 내부 움직임도 좀 활발한데요. 익명의 고래 투자자 소식도 있었죠. 최근 4일간 팔코넥스를 통해서 총 2만 2556 ETH 이게 약 1억 4807만 달러 우리 돈으로 1450억 원어치를 매집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진행자
네, 이건 상당한 규모의 매집입니다. 특정 대형 투자자나 혹은 기관의 움직임일 가능성을 좀 시사하는데요. 시장의 저점 매수 기회로 보거나 아니면 특정 자산에 대한 강한 확신을 보여주는 그런 신호일 수 있겠습니다.
토큰포스트
그런가 하면 크립토컨트 주기형 CEO의 분석도 흥미로웠습니다. X를 통해서 밝혔는데 최근 1년 6개월간 비트코인 온체인 자금 유입액이 엄청나다는 거죠.
진행자
네 맞습니다. 2024년부터 2025년까지 최근 1년 반 동안 총 6250억 달러가 유입됐다는 건데요. 이게 지난 15년, 그러니까 2009년부터 2024년 초까지의 누적 유입액 4350억 달러를 크게 넘어섰다는 분석입니다.
토큰포스트
와 1년 반 동안의 유입액이 지난 15년 치를 넘어섰다니 이건 정말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했다는 증거네요.
진행자
그렇죠. 비트코인 시장이 최근 얼마나 크게 성장했는지 그리고 특히 기관 자금 유입 등으로 시장의 성격 자체가 변화하고 있다는 걸 보여주는 아주 중요한 데이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토큰포스트
네, 그 외 단신들도 빠르게 살펴보겠습니다. SUI 기반 NEMO 프로토콜은 해킹 피해자 배상을 위해 IOU 채무 토큰을 발행할 계획이라고 하고요. MAP 프로토콜, MAPO 개발자는 매일 수익을 이용해서 MAPO 토큰을 바이백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4시간 동안 선물 시장에서는 ETH, DOGE, BTC 순으로 강제 청산이 많았는데 DOGE와 BTC는 롱 포지션 청산 비율이 80%를 넘었다고 하네요. 주요 3대 거래소의 비트코인 무기한 선물 롱숏 비율은 거의 50대 50으로 팽팽한 모습이고요. MEME CORE는 9월 23일 잠실 롯데월드에서 홀더 대상으로 할로밈 페스티벌을 개최한다고 합니다. 거래소 관련 소식으로는 코인원이 RYAN, 빗썸과 바이낸스 AVNT를 상장하고 업비트는 VANA와 SEI 바이낸스는 OM 입출금을 일시 중단한다는 공지가 있었습니다.
진행자
네, 오늘 살펴본 소식들을 좀 종합해 보면요. 각국 정부하고 중앙은행이 스테이블 코인을 포함해서 암호화폐 시장을 어떻게 규제하고 또 활용할 것인가. 여기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영국처럼 규제를 강화하려는 움직임도 있고 또 미국 SEC처럼 소통을 강조하거나 파키스탄처럼 시장 개방을 시도하는 모습도 보이고요. 동시에 그 포워드 인더스트리의 투자나 대규모 온체인 자금 유입 데이터 같은 것들은 시장의 성장과 제도권 편입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앞으로 이러한 규제 환경의 변화 또 시장 참여자들의 움직임이 암호화폐 생태계 전반에 그리고 또 여러분의 투자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 지속적으로 좀 주의 깊게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토큰포스트
네, 오늘 중계한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이상 토큰 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