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지금 가장 핫한 크립토 카드 7종 비교 — 결제에서 수익까지, 금융과 블록체인의 경계가 사라진다

프로필
한재호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1

암호화폐가 단순한 투자 자산을 넘어 실생활 결제와 자산 운용 도구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2025년 들어 Visa와 Mastercard를 기반으로 한 ‘크립토 카드(Crypto Card)’ 출시가 급증하면서, 결제·리워드·이자수익·스테이킹을 결합한 복합 금융 상품 경쟁이 본격화됐다.

 셔터스톡

셔터스톡

암호화폐가 단순한 투자 자산을 넘어 실생활 결제와 자산 운용 도구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다. 2025년 들어 Visa와 Mastercard를 기반으로 한 ‘크립토 카드(Crypto Card)’ 출시가 급증하면서, 결제·리워드·이자수익·스테이킹을 결합한 복합 금융 상품 경쟁이 본격화됐다.

시장조사기관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에 따르면, 글로벌 크립토 카드 시장은 2024년 약 15억 달러에서 2025년 1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또한 InsightAce Analytic도 연평균 18% 이상의 성장세를 전망하며, 특히 유럽과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주요 성장 축이라고 강조했다.

X(트위터) 사용자 @S4mmyEth / 비공식 비교표

주요 카드 7종 비교

카드명 네트워크 리워드/수익 구조 주요 혜택 및 특징
Plasma One Visa XPL 캐시백 최대 4%, USDT 예치 연 10% 수익(변동형) 무수수료 송금, 150여 개국 결제 지원
useTria (베타) Visa 최대 6% 홍보형 캐시백(멀티체인 결제) 자동 스왑 결제, Lounge Pass(테스트 단계)
EtherFi Cash Card Visa Signature 최대 3% 캐시백, 비수탁형 카드 Apple·Google Pay 지원, EtherFi Vault 연동 가능(별도 상품)
Revolut Card Visa/Mastercard 캐시백 0.1~1%, 스테이킹 최대 19% APY(변동) NordVPN 제휴, 글로벌 결제 지원
Gnosis Pay Card Visa GNO 리워드 1~4%, OG NFT 보유 시 +1% 추가 가스비 無, Safe 월렛 연동
Coinbase One Card Amex 최대 4% BTC 캐시백 Coinbase One 회원 전용, 해외 결제 수수료 없음(미국 중심)
MetaMask Card Mastercard 가상카드 1%, 메탈카드 3%(1만달러 이하) 이후 1% Linea 리워드, Apple·Google Pay 호환
Crypto.com Visa Card Visa CRO 스테이킹 기반 0~6.5% 캐시백(티어·지역별) Lounge 이용, Netflix·Spotify 구독 리베이트

유형별 분석 — 결제에서 ‘자산 운용형 카드’로 진화

1. 수익형 카드

Plasma One과 EtherFi는 예치금 수익 구조를 갖춘 대표적인 ‘수익형 카드’로 꼽힌다. Plasma One은 USDT 예치금에 대해 연 최대 10%의 변동형 수익률을 제공하며, EtherFi는 비수탁형 방식으로 사용자의 자산을 외부에 맡기지 않고 결제·예치·리스테이킹이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두 서비스 모두 Visa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중심으로 사용자층을 확대하고 있다.

2. 리워드형 카드

Crypto.com과 useTria는 높은 캐시백률을 중심으로 사용자 확보에 나섰다. Crypto.com은 CRO 토큰 스테이킹 수준에 따라 최대 6.5% 캐시백을 제공하며, Netflix·Spotify 구독 리베이트와 공항 라운지 혜택을 제공한다. useTria는 멀티체인 결제와 자동 스왑 기능을 홍보하며 테스트 운영 중이다. 두 카드 모두 소비 행위에 리워드 요소를 결합해 ‘참여형 소비 모델’을 시도하고 있다.

3. 글로벌형 카드

Coinbase One Card, Gnosis Pay, MetaMask Card는 ‘국경 없는 결제’를 전면에 내세운다. Coinbase One Card는 미국 내에서 발급되는 Amex 네트워크 카드로, 해외 결제 수수료를 면제하고 최대 4%의 비트코인 캐시백을 제공한다.

Gnosis Pay는 Safe 월렛을 활용한 가스비 없는 결제 시스템을 구축했으며, OG NFT 보유자는 리워드가 추가된다. MetaMask Card는 Apple Pay와 Google Pay를 모두 지원하며, Linea 네트워크 기반의 리워드 구조를 도입했다.

카드사 경쟁의 새 축 — 스테이킹과 생태계 통합

Revolut과 Crypto.com은 스테이킹 금액에 따라 리워드 등급을 달리 적용하며, EtherFi와 MetaMask는 DeFi 프로토콜과 직접 연동해 고수익형 사용자를 끌어들이고 있다.
Revolut은 올해 스테이킹 이자율을 토큰별로 최대 19%까지 제시했으며, NordVPN 등과의 제휴를 통해 사용 범위를 넓혔다.
MetaMask는 자체 지갑 생태계와 연계된 리워드 프로그램을 통해 Web3 사용자의 결제 경험을 확장하고 있다.

리스크와 소비자 유의점

크립토 카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주의할 점이 있다. 예치 이율(APY)은 고정이 아닌 변동형 수익률로, 시장 상황에 따라 실제 수익이 달라질 수 있다. 리워드가 토큰으로 지급될 경우 가격 변동에 따른 가치 하락 위험도 존재한다.


또한 일부 카드는 국가별 규제나 서비스 제한으로 이용이 어렵고, 베타 단계 서비스는 보안과 안정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다. 아직 제도적 기준이 완전히 정립되지 않은 만큼, 사용 전 발행사 신뢰도와 약관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결제’보다 ‘금융 생태계의 입구’로

초기 크립토 카드는 단순히 암호화폐로 결제가 가능하다는 실험적 시도에 그쳤다.
그러나 2025년 현재, 크립토 카드는 결제·이자·리워드·스테이킹이 결합된 새로운 금융 플랫폼으로 자리잡고 있다. 카드 한 장이 단순 결제 수단을 넘어, 사용자가 Web3 생태계에 진입할 수 있는 금융 허브로 기능하기 시작한 것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0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garam777

07:41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