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크립토 에코맵] 프라이버시 코인만 상승…파생상품·스테이킹 30%대 급락

프로필
정민석 기자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2

암호화폐 산업이 전반적 약세를 보인 가운데 프라이버시 코인만이 21.9% 상승하며 유일한 강세를 기록했다. 파생상품·스테이킹·비트코인 생태계는 30% 안팎의 낙폭을 보였다.

 암호화폐 주요 섹터의 주간 시가총액 변동률 / 아르테미스

암호화폐 주요 섹터의 주간 시가총액 변동률 / 아르테미스

한 주간 암호화폐 산업 전반이 조정세를 보이는 가운데 프라이버시 코인만이 예외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반대로 파생상품(Perp), 스테이킹 서비스, 비트코인 생태계 관련 부문이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14일 아르테미스 집계에 따르면 프라이버시 코인(+21.9%)만이 유일하게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하며 전반적 하락세 속에서 강세를 연출했다.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인 건 파생상품(–34.7%)이다. 이어 스테이킹 서비스(–31.3%), 비트코인 생태계(–28.0%), 파일 스토리지(–27.8%), 브리지(–26.5%) 등이 크게 내렸다.

이외에도 ▲유틸리티 및 서비스(–24.5%) ▲데이터 가용성(–23.4%) ▲게이밍(–21.5%)까지 20%가 넘는 하락세를 경험했다.

▲밈코인(–19.2%) ▲NFT 애플리케이션(–18.6%) ▲데이터 서비스(–18.4%) ▲DePIN(–18.4%) ▲디파이(–17.5%) 등 주요 섹터도 약세를 면치 못했다.

또한 ▲1세대 스마트컨트랙트(–16.3%) ▲오라클(–14.9%) ▲RWA(–14.7%) ▲가치 저장(–14.6%) ▲스마트컨트랙트 플랫폼(–14.4%) ▲AI(–10.7%)까지 두 자릿수 하락률을 보였다.

이밖에 ▲이더리움(–9.9%) ▲거래소 토큰(–8.8%) ▲비트코인(–7.7%) ▲소셜(–0.1%) 순으로 낙폭이 이어졌다.

전반적으로는 주요 섹터 대부분이 매도 압력에 노출된 가운데 프라이버시 코인만이 시장 전반의 조정 흐름을 역행하며 독립적인 상승 모멘텀을 입증했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댓글

댓글

0

추천

2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2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바다거북이

18:50

등급

위당당

17:06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