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L의 거래량이 171% 폭증하고 DYM은 45% 급등했지만 유동성은 감소하는 등 주요 알트코인들이 가격·거래량 조합별로 완전히 다른 수급 신호를 보이며 시장 구조의 극단적 분화를 드러냈다.
① 가격↑ + 거래량↑(강세 확인 신호) 가격과 거래량이 동시에 주간 기준으로 상승한 종목은 실제 매수세가 뒷받침된 '진짜 상승' 구간이다. 단순 기술적 반등이 아니라 수급이 확실히 들어온다는 점에서 강세 전환 가능성을 높인다.
- NMR +13.61%|거래량 +27.84%
- YALA +11.46%|거래량 +34.69%
- AFC +9.55%|거래량 +24.71%
- HIGH +2.72%|거래량 +11.95%
- BDXN +1.34%|거래량 +85.04%
② 가격↑ + 거래량↓(매수 피로 신호) 가격은 올랐지만 거래량이 줄어든 종목은 매수 동력이 점차 소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단기 고점 형성 가능성이 높아 추격 매수에는 신중해야 한다.
- AIN +5.69%|거래량 -9.68%
- FLUID +3.07%|거래량 -23.41%
- DYM +45.42%|거래량 -22.93%
- HONEY +33.18%|거래량 -69.72%
- GPS +14.54%|거래량 -80.16%
③ 가격↓ + 거래량↑(투매 압력 신호) 가격은 하락했는데 거래량은 늘어난 종목은 투매·손절 압력이 강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단기 추가 하락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
- NIL -56.76%|거래량 +171.07%
- MERL -42.31%|거래량 +7.87%
- ATH -22.84%|거래량 +21.23%
- SUT -22.81%|거래량 +8.76%
- ARIA -22.42%|거래량 +6.91%
③ 가격↓ + 거래량↑(투매 압력 신호) 가격은 하락했는데 거래량은 늘어난 종목은 투매·손절 압력이 강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단기 추가 하락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
- NIL -56.76%|거래량 +171.07%
- MERL -42.31%|거래량 +7.87%
- ATH -22.84%|거래량 +21.23%
- SUT -22.81%|거래량 +8.76%
- ARIA -22.42%|거래량 +6.91%
④ 가격↓ + 거래량↓(관심 이탈·냉각 구간) 가격과 거래량이 동시에 줄어든 종목은 투자자 관심이 급속도로 줄며 시장 냉각기에 들어간 경우다. 단기적으로는 반등 모멘텀이 약하고 횡보 가능성이 크다.
- DCR -31.37%|거래량 -41.47%
- ZEN -27.19%|거래량 -20.72%
- LSK -25.79%|거래량 -43.99%
- DASH -24.48%|거래량 -32.61%
- SCRT -21.01%|거래량 -13.22%
장기 매집 종목
- PLUME(8월 27일 매집 시작)│주간 변동률 -11.91%│거래량 변동률 -29.44%
- PROMPT(8월 27일 매집 시작)│주간 변동률 -11.80%│거래량 변동률 -50.39%
- BDXN(8월 28일 매집 시작)│주간 변동률 +0.90%│거래량 변동률 +85.74%
PLUME는 가격이 11% 이상 하락하며 매집세가 둔화된 가운데 거래량도 크게 감소했다.
PROMPT는 비슷한 수준의 낙폭을 기록했지만 거래량 감소 폭이 더 커 투자 관심이 빠르게 식는 모습이다.
BDXN은 유일하게 주간 상승 흐름을 보였고 거래량이 85% 이상 증가하며 확실한 매집세가 유입되는 종목으로 평가된다.
신규 매집 종목
- DYM(매집 1일차)│주간 변동률 +45.04%│거래량 변동률 -22.74%
- LSK(매집 4일차)│주간 변동률 -25.36%│거래량 변동률 -39.42%
- NIL(매집 4일차)│주간 변동률 -56.85%│거래량 변동률 +171.07%
DYM은 가격이 45% 급등했음에도 거래량이 감소해 초기 매집세가 가격 대비 약한 ‘불균형 상승’ 흐름을 보였다. LSK는 가격과 거래량이 함께 감소하며 매집 초기부터 뚜렷한 관망세가 형성된 모습이다.
NIL은 가격은 56% 이상 하락했지만 거래량이 171% 폭증하며 투매 속에서 적극적 매집 시도가 포착되는 구간으로 해석된다.
[편집자주] 암호화폐 시장에서 매집 지속 기간과 가격·거래량 변화는 추세 전환의 초기 신호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다. 매집 구간은 거래량은 늘지만 가격은 쉽게 오르지 않는 시기로, 대규모 매수세가 나눠서 들어오는 '큰손'의 움직임이 숨어 있을 수 있다. 매집 구간 종목들의 최근 7일(7d) 가격과 거래량을 교차 분석하면 시장 심리와 수급 흐름을 입체적으로 읽을 수 있다. 매주 매집세가 이어지는 종목과 상승 전환 조짐이 보이는 자산을 정리해 소개한다.
[이 기사는 금융 자문을 제공하지 않으며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