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삼성·네이버 등 40개사, 정부 보안검증 대상 올랐다…11월까지 집중 점검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0
좋아요 비화설화 0

과기정통부가 보안사고 대응 차원에서 삼성전자, 네이버 등 40개 기업의 정보보호 공시를 직접 검증한다고 밝혔다. SKT 해킹 여파로 국민 신뢰 확보가 초점이다.

 삼성·네이버 등 40개사, 정부 보안검증 대상 올랐다…11월까지 집중 점검 / 연합뉴스

삼성·네이버 등 40개사, 정부 보안검증 대상 올랐다…11월까지 집중 점검 / 연합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요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을 직접 검토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최근 반복되는 보안 사고에 대한 우려를 계기로, 정부가 사이버 보안 관리 실태를 보다 엄격히 점검하기로 한 것이다.

과기정통부는 2025년 8월 10일, 오는 11월 말까지 약 3개월 동안 국민 생활에 밀접한 40개 회사를 대상으로 정보보호 공시 검증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 검증은 정보보호 내역을 공시한 773개 기업 중 이용자 수가 100만 명 이상인 대규모 서비스 기업 26곳과 전화·인터넷 등 통신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간통신사업자 14곳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검토 대상에는 삼성전자, 네이버, 카카오, SK텔레콤, 쿠팡, 이마트, LG전자 등 국민이 일상에서 자주 이용하는 플랫폼과 통신사의 대다수가 포함됐다. 특히 올해는 SK텔레콤 해킹 사고로 국민들의 보안 우려가 높아지자, 대상 기업을 그만큼 확대해 실질적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점검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의지다.

이들 기업은 2022년부터 의무화된 정보보호 공시 제도에 따라 자신들의 보안 투자와 관리 체계를 대외적으로 공개해왔다. 하지만 이번엔 단순 보고를 넘어 정부가 이를 직접 검증함으로써, 공시 자료의 신뢰성과 실효성을 확보하려는 취지다. 공시 내용 중 중대한 오류나 누락이 발견되면 기업 측은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해 정정 자료와 사유서를 다시 제출해야 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현재 증가하는 해킹 시도와 개인정보 유출 사고로 인해 사회 전반의 사이버 보안 민감도가 크게 높아졌다. 이에 따라, 정부는 정보보호 역량이 국민 안전과 직결되는 만큼, 공공 인프라 및 플랫폼 사업자들의 책임을 명확히 하고자 정밀한 검증을 추진하고 있다. 실제로 SK텔레콤 사고 직후 KT, LG유플러스 등 다른 이동통신사와 주요 플랫폼 운영사에 대해 현장 점검을 진행한 결과, 별다른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정보보호 공시 제도가 단순 자율 보고에서 벗어나, 정부의 실효성 점검을 동반한 준규제 형태로 자리 잡아갈 가능성이 크다. 기업 입장에서도 투명한 보안 운영이 곧 소비자 신뢰와 직결된다는 점에서 정보보호 강화에 더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0

추천

0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0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데일리 스탬프를 찍은 회원이 없습니다.
첫 스탬프를 찍어 보세요!

댓글 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