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해 정부의 대민 전산망이 마비되면서, 증권업계의 비대면 서비스 역시 심각한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계좌 개설이나 비밀번호 재설정 등 일상적인 증권 업무에까지 지장이 발생하면서 고객 불편이 확산되고 있다.
증권업계에 따르면, 지난 9월 26일에 발생한 화재로 공공 전산망이 중단되면서 주민등록증을 통한 본인 확인 절차가 무력화됐다. 이로 인해 증권사들이 운영하던 비대면 계좌 개설 시스템, 모바일 일회용 비밀번호(OTP) 발급 서비스, 온라인 계좌 관련 변경 업무 등이 대부분 멈춰섰다. 해당 서비스들은 주민등록 기반 신원 검증 시스템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증권사들은 이러한 비상 상황에 대비해 즉각 실무 전담팀(TF)과 비상대응체제를 가동하며 고객 피해를 최소화하려 애쓰고 있다. 각 사는 홈페이지나 모바일 거래 애플리케이션(MTS)을 통해 관련 상황을 수시로 공지하고, 운전면허증이나 여권,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다른 인증 수단을 안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또 일부 증권사는 영업점 인력을 조기 출근시키고 고객센터 대응 체계를 강화하는 등 사전 대응에 힘을 쏟고 있는 모습이다.
다행히 29일 오전부터는 정부의 전산망이 일부 복구되면서, 주민센터나 증권사 지점 등 대면 창구를 통한 업무는 일정 부분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비대면 서비스는 여전히 일부 제한적이지만, 영업점에서는 운전면허증 등 대체 수단을 통해 업무 처리가 어느 정도 가능해진 상황이다.
증권업계 전반에서는 이번 사태가 공공 부문의 시스템 장애라는 점이 명확한 만큼, 고객들이 이를 증권사 내부 문제로 인식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는 반응이다. 실제로 일부 증권사 관계자들은 “대통령 사과까지 있었던 중대 사건이기 때문에 고객들도 쉽게 납득하는 분위기”라며 “예상보다는 큰 혼란 없이 상황이 수습돼 가는 중”이라고 전했다. 또, 법적 민원이나 소비자 분쟁 등 사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낮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 같은 상황은 국가 전산망의 회복 속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상화될 전망이다. 향후에도 비대면 금융서비스 확대가 지속되는 만큼, 이번 사례는 공공 인프라 장애가 민간 금융 서비스와 얼마나 긴밀히 연동돼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실시간 백업 체계 강화나 대체 인증 시스템 마련 등 전반적인 디지털 보안 체계 보완 필요성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