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댓글 댓글
  • 추천 추천
  • 스크랩 스크랩
  • 인쇄 인쇄
  • 글자크기 글자크기
링크 복사 완료 링크가 복사되었습니다.

국가 전산망 무너뜨린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정부 사이버 인프라 '헛점'

프로필
연합뉴스
댓글 1
좋아요 비화설화 1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로 정부 전산 시스템이 대규모 중단됐다. 안전 관리 미흡과 핵심 인프라의 취약성이 드러나며 체계 전면 재점검이 예고된다.

 국가 전산망 무너뜨린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정부 사이버 인프라 '헛점' / 연합뉴스

국가 전산망 무너뜨린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정부 사이버 인프라 '헛점' / 연합뉴스

대전 유성구에 위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발생하면서, 정부의 핵심 전산서비스가 대규모로 중단되는 사고가 일어났다. 이번 사고는 정부 행정 시스템의 전면 마비로 이어져 국가 정보 인프라 관리 체계 전반의 취약성이 드러났다는 평가다.

사고는 지난 9월 26일 발생했다. 무정전 전원 장치(UPS)에 사용되던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불이 나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주요 설비에 피해를 줬다. 이 관리원은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주요 전산 시스템을 백업하고,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곳이다. 화재가 발생하자 해당 전원 설비가 가동을 멈췄고, 이후 다수의 정부 관련 전산 서비스가 동시에 마비됐다.

사고가 발생한 리튬이온 배터리는 열폭주(과열로 인한 폭발성 연소) 현상에 취약한 특성을 가진 에너지 저장 장치다. 최근 디지털 인프라가 확대됨에 따라 UPS용 리튬이온 배터리 사용도 급격히 늘어났지만, 이에 따른 화재 예방 및 안전관리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특히 무정전 전원장치는 전산망이 갑작스레 끊기는 것을 막기 위한 필수 설비로, 화재 발생 시 피해 범위가 커질 수밖에 없다.

28일 현장에는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들이 소화수조에 담긴 채로 정리되고 있는 모습이 확인됐다. 아직 정확한 화재 원인은 조사가 진행 중이지만, 화재가 배터리 내부 결함이나 과열로 인한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처럼 부품 수준의 이상이 데이터센터 전체 마비로 이어졌다는 점은 대국민 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리스크 관리가 허술했음을 보여주는 단면이다.

정부는 이번 화재 이후 긴급 복구 작업에 나서면서 전산 기능의 상당 부분을 회복했지만, 일부 부처의 온라인 행정 서비스는 여전히 제한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로 인해 주민등록 등·초본 발급이나 민원 신청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서비스에 지장이 발생해 불편을 초래했다.

이 같은 흐름은 향후 정부의 디지털 인프라 전반에 대한 점검과 함께 리튬이온 배터리 및 전원 설비에 대한 안전 규제 강화를 불러올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클라우드 기반 백업 체계를 비롯한 다중화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공공 데이터 관리 체계 전반의 재편 논의로 이어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TokenPos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광고문의 기사제보 보도자료

많이 본 기사

미션

매일 미션을 완료하고 보상을 획득!

미션 말풍선 닫기
말풍선 꼬리
출석 체크

출석 체크

0 / 0

기사 스탬프

기사 스탬프

0 / 0

관련된 다른 기사

댓글

댓글

1

추천

1

스크랩

스크랩

데일리 스탬프

1

말풍선 꼬리

매일 스탬프를 찍을 수 있어요!

등급

사계절

00:01

댓글 1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0/1000

댓글 문구 추천

좋은기사 감사해요 후속기사 원해요 탁월한 분석이에요

사계절

2025.09.29 00:01:42

좋은기사 감사해요

답글달기

0

0
0

이전 답글 더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