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실트론이 올해 2분기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힘입어 주력 제품인 실리콘(Si) 웨이퍼 사업 실적이 개선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전 분기 대비 두 자릿수 상승을 기록했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SK실트론은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으로 매출 5천182억 원, 영업이익 538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1분기보다 각각 12.2%, 42.1% 상승한 수치다. 국내 웨이퍼 시장 주요 기업 중 안정적인 실적 회복 흐름을 보인 사례로, 특히 반도체 산업의 경기 변동성이 큰 점을 감안하면 긍정적인 신호로 평가된다.
이번 실적 개선의 배경에는 글로벌 정보기술(IT) 기업들의 AI 관련 인프라 투자 확대가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애플, 구글 등 이른바 ‘빅테크’들이 데이터센터 확장과 관련 하드웨어 수요를 빠르게 늘리면서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동반 상승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반도체의 핵심 원재료인 Si 웨이퍼의 납품 물량도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SK실트론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키우고 있는 실리콘카바이드(SiC) 웨이퍼 부문은 아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 탓에 수요 회복이 지연되고 있지만, 전 분기 대비 적자 폭이 다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SiC 웨이퍼는 기존 Si 웨이퍼보다 고온·고전압 환경에 적응력이 높아, 전기차나 신재생에너지 시스템용 전력반도체의 핵심 소재로 기대를 받고 있다. SK실트론은 지난 2019년 미국 듀폰의 SiC 사업 부문을 4억5천만 달러에 인수하며 본격적으로 이 시장에 뛰어들었다.
시장조사업체 욜에 따르면, 전 세계 SiC 전력반도체 시장은 2023년 27억 달러에서 오는 2029년까지 약 9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연평균 약 24%에 이르는 성장률로, 중장기적인 수요 확대는 분명한 흐름이다. 회사 측도 고객사들의 주문 재개와 함께 실적 개선 흐름이 뒤따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SK실트론은 하반기에도 Si 웨이퍼 중심의 안정적인 수익을 기반으로 실적 회복세를 이어가는 동시에, SiC 웨이퍼를 통해 향후 성장기반을 다지고자 하는 전략을 지속할 계획이다. 향후 글로벌 전기차 산업 회복과 함께 SiC 수요가 본격화된다면, 실적 다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