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교육청이 운영 중인 데이터센터가 40년 넘게 된 노후 건물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시스템 안정성과 보안 측면에서 심각한 취약성이 드러났다. 제대로 된 설비 확장이나 장비 추가가 불가능한 구조 탓에, 교육청 측은 센터 이전을 위한 구체적인 이행 계획 수립에 나선다.
현재 제주도교육청의 데이터센터는 지난 1982년에 준공된 옛 북제주교육청 건물 1층에 자리하고 있다. 이 데이터센터는 본래 교육청 본청 4층에 있었다가, 2008년 현 건물로 옮겨진 뒤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전체 면적은 약 1천8제곱미터에 달하지만, 핵심 시스템인 서버와 전원장치 등이 있는 1층 공간이 화재에 취약하고 구조적으로도 현대적 IT시설로서 요건을 갖추지 못했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건물 내부는 기본적인 내화시설조차 미비한 것으로 밝혀졌다. 서버나 중요한 IT 장비가 설치된 시스템실은 물론, 무정전 전원장치(UPS)가 위치한 축전지실에도 방화벽이 설치되지 않아 화재나 사고 발생 시 큰 피해 가능성이 있다. 또 서버 장비를 장착하는 랙과 천장 사이의 공간도 기준치보다 훨씬 좁아, 온도와 습도 제어 등 데이터 보관에 필수적인 환경 유지가 어렵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전원 공급 체계의 이중화도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전력의 외부 전원 라인뿐 아니라 비상용 발전기, 변압기 등의 예비 전력망 구축이 전무하고, 해당 건물 구조상 추가 설치도 불가능한 것으로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건물의 정문 및 차량 진입 관련 통제 장치도 부재해, 외부 보안까지 미흡한 상태다.
이에 따라 지난해 9월 행정안전부가 시행한 전국 정보시스템 운영시설 안전성 점검에서는 제주도교육청 데이터센터의 기준 미충족 항목 비율이 전체의 40%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도교육청은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내년부터 정식 연구용역을 통해 센터 이전을 위한 최적의 위치와 사업 규모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후 2026년 설계를 시작해, 2028년 공사 착공 후 2030년 3월까지 새 센터 개관을 목표로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그러나 문제는 재정이다. 다른 지방 교육청 사례를 보면 유사 사업의 총예산이 200억원 안팎이었던 점을 고려할 때, 제주도교육청이 자체 예산만으로는 전액을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부의 특별 지원이나 지방재정 조정 등이 이뤄지지 않으면 추진에 차질이 불가피하다.
이 같은 흐름은 공공기관의 핵심 데이터 인프라가 여전히 열악한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로도 볼 수 있다. 앞으로 전국 시도교육청을 포함한 공공기관 전반에 걸쳐 노후화된 정보 인프라에 대한 구조적 대응과 예산 투입이 요구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