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2025 세계 스테이블코인 시장 보고서②] 테더 및 서클 vs 그외 경쟁자들

🖋️ 편집자주


본 리포트는 하나의 통합 리서치를 목차에 따라 8편으로 나누어 연재하는 시리즈입니다.
이 글은 그 두 번째 편으로, 매일 한 편씩 주요 인사이트를 담은 분석 기사와 함께 순차적으로 공개됩니다.


📄 전체 보고서를 PDF로 받아보고 싶으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이메일을 등록하시면, 보고서 전문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전체 보고서 신청 폼 바로가기


저자

 

앤드류 다이어 (Andrew Dyer)

제이크 코흐-갤럽 (Jake Koch-Gallup)

코반 페렐 (Qorban Ferrell)

 

기여자


목차

 

01 개요

02 테더 및 서클 vs 그외 경쟁자들

03 국경 간 결제

04 결제 및 이커머스

05 달러 액세스 및 금융 포용성

06 규제 및 정책

07 토큰화된 머니 마켓 펀드

08 최전선에 선 스테이블코인


면책 조항

 

모든 콘텐츠는 저자가 독립적으로 제작했으며 메시리의 의견을 반드시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작성자는 이 보고서에 언급된 암호화폐를 보유할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정보 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투자 조언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직접 조사하고 독립적인 재무, 세무 또는 법률 고문과 상의해야 합니다. 본 보고서에 포함된 어떠한 내용도 직간접적으로 투자, 대출, 상품 또는 유가증권을 매수, 매도, 거래 또는 보유하거나 투자, 대출, 상품, 유가증권 또는 발행인과 관련된 투자 또는 거래 전략을 수행하도록 권장하거나 제안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보고서는 증권 또는 상품에 대한 매도 제안이나 매수 제안 권유로 해석되어서는 안 됩니다. Messari는 이 보고서에 제공된 정보의 순서, 정확성, 완전성 또는 적시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서비스 약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의 어떤 부분도 Messari®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a) 어떤 형태로든 복사, 복사, 복제하거나 (b) 재배포할 수 없습니다.

 

이 보고서에 포함되기 위해 돈을 받은 기고자는 없습니다.


전 세계 USDT 사용자 수는 4억 명을 돌파  

 

2014년 최초의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이 출시된 이후, USDT는 중앙화된 거래소에서 기본적인 ‘현금’ 역할을 하게 되었으며, 트론(Tron)과 같은 저렴한 네트워크와의 통합을 통해 1달러 미만의 수수료로 거래가 가능해졌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전 세계의 트레이더, 송금자, 비공식 환전상들은 제한된 달러 유동성과 자본 통제를 우회할 수 있게 되었다.  

 

오늘날 USDT는 거의 모든 유동성 있는 암호화폐 자산에 대해 호가되고 있으며, 30개 이상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방콕에 이르기까지 직불카드, 가맹점 결제, P2P 마켓플레이스에 자금을 제공하고 있다.  

 

테더는 달러 접근이 어려운 지역 어디에서든 활용되며, 대체 및 역외 달러 결제 인프라를 소비자 중심의 브랜드로 전환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분기별 USDT 사용자 수 기준)


테더는 여전히 거래쌍으로서 접근성과 유동성 측면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 

 

USDT는 중앙화 거래소에서 가장 접근이 용이한 달러 기반 담보 자산으로 기능하면서 강력한 네트워크 효과를 창출하였다.  

 

바이낸스(Binance)는 2017년 8월 USDT 전용 시장을 개설했으며, 그 이전까지 대부분의 거래쌍은 비트코인(BTC)을 기준으로 호가되었다. 이후 OKX, 후오비(Huobi), 비트파이넥스(Bitfinex) 등 주요 해외 거래소들이 이를 뒤따랐다.  

 

대부분의 유동성과 거래 심도가 USDT 거래쌍으로 이동하면서, 신규 코인을 USDT에 직접 상장하는 방식이 거래량과 검색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시장 표준을 형성하는 전략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USDC는 탈중앙화 금융(DeFi) 시장과 다양한 네트워크 전반에서 폭넓은 현물 거래쌍을 보유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USDT 거래쌍은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의 깊은 유동성을 갖추고 있다.

 

주요 스테이블코인 전반의 현물 시장 수, 자산 네트워크, 유동성 기준


USDT, P2P 통화 마켓에서 거래량과 가격 면에서 USDC를 압도

 

P2P 시장에서의 스프레드는 외환 규제, 자본 통제, 현지 통화의 변동성 등에 따라 USDT 및 USDC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이 공식 중앙은행 금리에 비해 프리미엄이 붙은 가격으로 거래되는 현상을 반영한다.  

 

트레이더들은 이러한 스프레드를 활용해 공식 환율보다 높은 가격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법정화폐로 전환함으로써 차익거래 기회를 창출하고 있다.  

 

대부분의 신흥 시장에서는 USDT가 더 높은 시장 점유율, 깊은 유동성, 넓은 사용성을 기반으로 USDC보다 지속적으로 높은 P2P 금리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러시아와 나이지리아에서 특히 두드러지며, 루블(RUB)과 나이라(NGN)는 통화 가치 하락, 자본 유출, 외환 통제 등으로 인해 가장 높은 수준의 스테이블코인 프리미엄을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역에서는 P2P 플랫폼이 사실상 비공식 송금 인프라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개인은 이를 통해 매력적인 환율로 외화를 확보하고 국경을 넘어 자산을 이전할 수 있게 되었다.


주요 법정통화 기준으로 중앙은행의 공식 환율 대비 USDT 및 USDC의 P2P 판매가를 비교하여, P2P 시장 내 가격 프리미엄을 강조


신흥국 시장(EM)에서 USDT의 지배력이 전 세계적으로 태그된 USDT와 USDC 지갑을 비교할 때 뚜렷하게 나타남

 

어드레서블은 총 2,300만 개의 지갑을 소셜 프로필에 연결하고, 웹사이트 트래픽 및 온체인 전환율과 같은 다양한 지표를 추적하는 인텔리전스 플랫폼이다.  

 

해당 플랫폼의 데이터에 따르면, 아시아는 물론 대부분의 아프리카 지역에서 USDT 사용자 계정 수가 USDC 계정보다 현저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태그된 USDT와 USDC 지갑의 비율, 즉 테더 배수 기준).  

 

반면, 유럽 및 미주 지역은 USDC와 USDT 사용량이 보다 균형 있게 분포되어 있다.  

 

분석 대상 국가 전체의 평균 테더 배수는 5.4였으며, 가장 높은 배수를 기록한 국가는 주로 서아프리카 및 카리브해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Addressable 데이터 기준, 태그된 USDT 대비 USDC 사용자 계정 비율


중앙화 거래소(CEX) 담보 및 신흥국(EM) 송금 규모에서의 테더(Tether) 네트워크 효과가 막대한 수익성으로 이루어짐

 

2022년부터 시작된 가장 최근의 금리 인상 주기로 인해 단기 금리는 0%에서 5%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이에 따라 테더(Tether)의 준비금 보유 자산에 대한 수익률 또한 급등하였다.  

 

지난 2년간 테더의 유통 시가총액이 거의 두 배로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금리 상승은 테더의 수익성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XLF ETF 상위 10개 보유 종목과의 세전 수익 비교


TRON 네트워크에서만 USDT 공급량이 올해 들어 약 200억 달러 증가

 

USDT는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63%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유통량은 1,550억 달러를 초과하고 있다. 이 중 절반 이상은 트론(Tron) 네트워크에서 발행되고 있다.  

 

아르테미스(Artemis)에 따르면 “트론은 특히 콜롬비아, 에콰도르, 브라질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위한 주요 블록체인으로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에서 관찰된 거래 활동의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평가하였다.  

 

트론은 이외에도 아프리카 및 아시아 지역에서도 강한 우위를 보이고 있다.

 

TRON 상의 USDT 유통량


TRON은 특히 USDT를 중심으로 스테이블코인 결제 네트워크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짐

 

트론(Tron) 네트워크는 하루 평균 215억 달러 규모의 USDT 송금을 처리하고 있으며, 전 세계 활성 주소의 약 26%를 차지하는 스테이블코인 지갑 사용률 측면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다.  

 

트론의 확고한 시장 입지는, 바이낸스(Binance)와 같이 대규모 유통망과 글로벌 사용자 기반을 갖춘 기업들과의 초기 파트너십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바이낸스에서 트론 기반 USDT 송금에 대해 제공된 초기 보조금은 중앙화 거래소(CEX) 사용자들, 특히 신흥 시장 이용자들 사이에 지속적인 사용자 행동을 고착화시키는 요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네트워크별 스테이블코인 거래량 비중


테더의 미래

 

2024년과 2025년에 사상 최대 수익을 기록한 이후, 테더는 다양한 인접 시장에 걸쳐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 중


서클(Circle)의 수익도 크게 증가했지만, 유통 비용 또한 함께 증가

 

2024년에 유통 중인 USDC는 거의 두 배로 증가했다. 금리 상승과 함께 2022년 이후 서클의 준비금에서 발생하는 이자 수익도 크게 늘었으나, 코인베이스 등 파트너를 통한 유통 비용 역시 매출 대비 비중에서 증가했다.

 

CRCL의 2024 회계연도 주당순이익(EPS)이 0.30달러로 적용될 경우, 주가는 200달러 수준으로 주가수익비율(PER)이 600배를 초과하게 된다. 야후 파이낸스에 따르면, 이 경우 CRCL은 S&P 500 지수 내에서 PER 기준 가장 비싼 종목이 될 가능성이 높다.

 

서클은 신규 발행사들과의 경쟁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며, 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결제 시장 전반에서 점유율 확대를 빠르게 이뤄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022년부터의 연간 수익 및 유통 비용 추이


📄 전체 보고서를 PDF로 받아보고 싶으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이메일을 등록하시면, 보고서 전문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전체 보고서 신청 폼 바로가기


USDC 채택 관련 다른 지표들도 상승세를 보이는 중

 

단순 유통 시가총액 외에도, USDC는 월간 이체량 기준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아르테미스(Artemis)의 조정된 데이터에 따르면, 해당 통계에는 중앙화 거래소(CEX) 내부 전송 및 MEV(Maximal Extractable Value) 거래는 제외되어 있다. 이 지표는 2024년 5월 1조 달러를 돌파했으며, 2025년 대부분 기간 동안 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활성 주소 수는 2025년 초부터 크게 증가하면서, USDC 네트워크 전반에서 더욱 빠른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조정된 월별 거래량 및 활성 지갑 수


서클(Circle)의 눈에 띄는 IPO 이후 주가 상승은 주식 시장 내 스테이블코인 노출에 대한 높은 수요를 반영

 

2025년에 상장한 93개 기업 중 서클(CRCL)은 상장 후 10일간 54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상장 가격인 31달러 대비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는 뉴스맥스(NMAX)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수익률이다.

 

특히 지니어스(GENIUS) 법안이 상원에서 통과된 당일, CRCL 주가는 추가로 33% 급등했다. 6월 한 달 동안 대부분의 토큰 가격이 하락세를 보인 것과 달리, CRCL을 비롯한 로빈후드(HOOD), 코인베이스(COIN) 등 암호화폐 관련 프록시 주식은 전체 시장 대비 강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CRCL 상장 후 10일간의 성과 vs 2025년 IPO 비교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서클(Circle)의 계획은 세 가지 핵심 축에 기반

서클 팀은 “신뢰, 프로그래밍 가능성, 상호운용성을 기반으로 구축된 세계 최대의 스테이블코인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풀스택 금융 플랫폼 제공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클 플랫폼은 규제된 디지털 자산, 글로벌 뱅킹 및 멀티체인 인프라, 그리고 서클 결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이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자금 이동의 혁신과 마찰 없는 가치 교환을 실현하는 인터넷 네이티브 금융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서클 페이먼트 네트워크(Circle Payments Network)를 통해, 서클은 단순 발행자에서 결제 통합 플랫폼으로 전환 중

CPN은 국경을 넘나드는 소매 및 B2B 결제를 위한 글로벌 결제 레이어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Circle 자체는 송금업체가 아니라 참여 금융기관(PFI)과 사용자 간의 자금 이동을 위한 촉진자 및 마켓플레이스가 될 것이다:

• 글로벌 네트워크 표준과 파트너 회사를 위한 자격 증명을 생성

• 경쟁 시장 내에서 결제 라우팅을 위한 로직을 제공

• 거래하는 PFI에 대한 감사 추적 유지 및 게시

• 발행 및 상환을 통한 유동성 서비스 제공

• 지원되는 모든 체인에 트랜잭션을 정산

• PFI가 사용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API, SDK를 생성하고 유지 관리


외환 환전, 최종 단계 송금, 그리고 최종 사용자 실명 인증(KYC)은 CPN 워크플로우 내에서 규제를 받는 PFI에 의해 처리

 

CPN 기반 국제 송금의 간소화된 흐름도


CPN 모델은 중개자 수와 중첩된 수수료를 줄이는 것을 목표

 

추후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세계은행(World Bank)에 따르면 전 세계 송금 수수료는 평균 약 6.3%에 달한다. 이 중 약 4%는 송금 개시 은행이 부과하는 송금 수수료이며, 약 2%는 외환(FX) 환전 시 적용되는 마진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통계에서 누락되는 숨겨진 비용으로는 중개은행 또는 코레스은행이 부과하는 고정 수수료가 있다.

 

코레스은행은 파트너 계좌를 직접 보유하지 않은 은행 간에 SWIFT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역할을 하며, 보통 한 건당 15~30달러의 고정 수수료를 부과한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200달러를 송금할 때 전체 비용이 크게 상승하게 된다.

 

CPN은 이러한 중개 수수료를 제거하고자 하며, 환율 변환에 있어 경쟁 기반의 마켓플레이스를 도입함으로써 FX 마진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취 금융기관이 부과하는 고정 수수료와 소규모 네트워크 수수료만으로 전체 수수료를 2% 이하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0 송금 시 가상의 수수료 비율 비교


Circle의 미래

 

USDC의 시가총액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서클이 기업공개(IPO) 이후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가운데, 서클은 향후 CPN(Circle Payments Network) 파트너를 통한 유통 확대에 집중할 것으로 보임

 

CPN의 초기 파트너들은 다양한 결제 채널을 통해 USDC 사용을 지원하며, 이를 통해 스테이블코인의 실사용 사례를 더욱 확대 중


팍소스(Paxos) 및 경쟁 스테이블코인들

 

테더와 서클 외에도, 다양한 발행사들이 광범위한 유통을 목표로 경쟁하고 있다.

 

그중 팍소스(Paxos)는 뉴욕에 본사를 둔 신탁회사로, 기업 고객을 위한 규제된 블록체인 인프라를 제공하며, 뉴욕금융서비스국(NYDFS), 싱가포르통화청(MAS), 아부다비글로벌마켓(ADGM)의 감독 하에 여러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발행 자산으로는 페이팔 USD(PYUSD), 팍스 달러(USDP), 글로벌 달러(USDG), 리프트 달러(USDL), 그리고 금에 의해 담보된 PAX Gold(PAXG)가 있다.


팍소스(Paxos)가 발행한 PYUSD는 다양한 유통 전략을 통해 일정 부분 성과를 거두고 있음

 

2024년 5월 29일, 페이팔 USD(PYUSD)는 솔라나(Solana) 블록체인으로 확장되며 주요 전환점을 맞이하였다. 2023년 8월 이더리움에서 처음 출시된 PYUSD는 이번 솔라나 확장을 통해 빠른 거래 속도와 저렴한 수수료를 제공하는 다양한 솔라나 기반 디파이(DeFi) 프로토콜과 빠르게 통합되었으며, 이에 따라 네트워크 내 PYUSD의 공급과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카미노(Camino)에서 높은 보상을 제공하자, 두 자릿수 수익률을 추구하는 디파이 파머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단기적으로 PYUSD의 공급이 급증했다. 그러나 인센티브가 종료되자 이러한 흐름은 대부분 반전되었다.

 

최근 페이팔은 코인베이스(Coinbase)와 제휴를 맺고, PYUSD와 USD 간 수수료 없는 전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PYUSD 채택률에 일정 부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보다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의 추가적인 배포 및 통합이 필요한 상황이다.

 

시간에 따른 PYUSD 시가총액 추이


USDG는 대부분의 수익을 네트워크 파트너에게 분배함으로써 테더(Tether)의 기존 모델을 뒤집는 것을 목표

 

“스테이블코인 생태계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보다 공정한 모델이 필요하다”

USDG 글로벌 달러 네트워크(GDN)는 기업 단위에서 USD 스테이블코인의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2024년 11월 팍소스(Paxos)가 앵커리지 디지털, 불라이시, 갤럭시 디지털, 크라켄, 누베이, 로빈후드 등과 함께 공동 설립한 개방형 멀티파트너 컨소시엄이다.

 

글로벌 달러(USDG)는 싱가포르에서 발행되며, 싱가포르 통화청(MAS)의 스테이블코인 규정(유럽의 MiCA와 유사)을 준수하도록 설계된, 1:1로 완전 상환 가능한 미국 달러 연동 토큰이다. 준비금은 DBS 은행이 주 수탁기관으로 지정되며, 현금 및 단기 미국 국채 형태로 운용된다.

 

이 네트워크는 참여 거래소, 수탁자, 핀테크, 판매자에게 준비금 이자의 약 97%를 환급하는 소득 공유 모델을 채택하고 있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USDG는 크라켄플러스 사용자뿐 아니라 카미노 플랫폼 사용자에게도 보상을 제공하고 있다.


40개 이상의 기업이 GDN에 참여하며 USDG의 도입을 지원

 

2024년 11월 출시 이후 USDG는 현재 글로벌 상위 10대 스테이블코인 중 하나로 자리잡음

글로벌 달러 네트워크(GDN)의 파트너들은 USDG 생태계 확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USDG 활용을 통해 규모와 유동성 확대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받고 있다. 각 파트너사는 자사의 비즈니스 모델에 부합하는 다양한 사용 사례를 구현하고 있다.

 

예를 들어, Toku는 다중 관할권의 세금 원천징수 및 현지 법률을 준수하는 국경 간 급여 지급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최근 스테이블코인 기반 카드 발급 및 결제 플랫폼인 Rain과 제휴해 온체인 인프라를 간소화했다. 양사는 급여 지급 및 카드 결제 분야에서의 활용을 통해 USDG 유통을 확대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참여에 따른 스테이블코인 보상의 혜택도 함께 누리고 있다.

 

이 외에도 다른 파트너들은 소매 결제, 송금, 탈중앙화 금융(DeFi)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사례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


다른 경쟁사들은 서클 및 테더와 유통 전략이 약간 다를 수 있음

 

법정화폐를 기반으로 하는 다른 대형 경쟁사 소개


📄 전체 보고서를 PDF로 받아보고 싶으신가요?


아래 링크를 통해 이메일을 등록하시면, 보고서 전문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 전체 보고서 신청 폼 바로가기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59,421,329 (-0.51%)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4,873,891 (-1.84%)
XRP 로고 XRP (XRP)
4,465 (-5.63%)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351 (0.00%)
BNB 로고 BNB (BNB)
1,064,789 (+3.57%)
Solana 로고 Solana (SOL)
258,141 (-4.59%)
USDC 로고 USDC (USDC)
1,350 (0.00%)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334.2 (-6.35%)
TRON 로고 TRON (TRX)
422.4 (+0.10%)
Cardano 로고 Cardano (ADA)
1,118 (-4.77%)
왼쪽
2025 7월  23(수)
오른쪽
진행기간 2025.07.23 (수) ~ 2025.07.24 (목)

28명 참여

정답 39%

오답 61%

진행기간 2025.07.22 (화) ~ 2025.07.23 (수)

46명 참여

정답 83%

오답 17%

진행기간 2025.07.21 (월) ~ 2025.07.22 (화)

41명 참여

정답 54%

오답 46%

진행기간 2025.07.18 (금) ~ 2025.07.19 (토)

32명 참여

정답 75%

오답 25%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