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판이 바뀌고 있는 베트남의 중앙화 거래소(CEX) 라이선스 현황

본 보고서는 타이거리서치에서 작성했으며, 최소 3억 8천만 달러 자본금을 요구하는 베트남의 새로운 암호화폐 거래소 라이선스 체계와 제한된 라이선스를 놓고 벌이는 바이낸스, 바이빗 등 글로벌 기업과 국내 기관 간의 경쟁을 분석했습니다.


TL;DR

  • 베트남의 새로운 규제 체계는 진입 장벽을 극도로 높여, 대형 은행, 증권사 또는 강력한 파트너를 보유한 글로벌 거래소만이 라이선스 취득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 7개 지역 기업이 입지를 다졌으나, 대부분 자격 요건을 충족할 만한 자본과 제도적 역량이 부족하다.

  • 바이낸스와 바이빗은 이미 정부 고위 관계자들과 회동했으며, 이는 외국계 업체들이 소수의 국내 라이선스 보유사와 함께 자리를 확보할 것임을 시사한다.


 

1. 변화하는 베트남 시장, 드디어 규제 안으로

베트남 디지털 자산 시장은 2025년 본격적인 규제 체계 전환기에 들어섰다. 수년간 규제 공백 상태로 운영되던 시장이 정부의 감독과 과세가 가능한 체계로 바뀌고 있다. 이번 전환은 세 가지 주요 정책을 통해 진행된다.

 

첫 번째는 디지털기술산업법(DTI Law)이다. 2025년 6월 국회를 통과했으며, 2026년 1월 1일부터 전면 시행된다. 해당 법안은 디지털 자산을 증권이나 법정화폐와 별개의 자산으로 법률에 처음으로 명시함에 의미가 있다. 과세, 자금세탁방지 요건, 감독 권한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했으며, 세부 내용은 향후 시행령에서 구체화될 예정이다.

두 번째는 핀테크 샌드박스 시행령(94/2025/NĐ-CP)이다. 2025년 7월 1일부터 효력이 발생했다. 베트남 중앙은행이 관리하는 이 제도는 금융 혁신 기술을 제한된 환경에서 테스트할 수 있는 장치다. 암호화폐만을 위한 제도는 아니지만, 거래소 라이선스와 연결되는 자금세탁방지, 본인확인, 결제 요건에서 교차점이 생길 것으로 보인다.

세 번째이자 가장 실질적인 정책은 정부 결의안 05/2025/NQ-CP다. 2025년 9월 9일 발표된 이 결의안은 가상자산 발행 및 거래에 대한 5개년 시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것이 베트남에서 거래소가 합법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첫 실질적 틀이다. 중요한 점은 시범 단계에서 베트남 기업만 사업자 라이선스를 받을 수 있다는 조항이다. 따라서 외국 거래소는 합작투자를 통하거나 기술·컴플라이언스 시스템·유동성 공급자로만 참여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정책을 종합하면, 베트남 정부는 디지털 자산 활동을 엄격한 감독 아래 국내 관리 체계로 점진적으로 흡수하려는 의도를 보인다. 정책 방향은 국내 통제력 확보, 국제 자금세탁방지 기준 준수, 다낭 같은 지역 금융 허브 육성이라는 베트남의 장기 목표와 맞물린다.

기관 관점에서 핵심은 베트남이 더 이상 규제 공백 지역이 아니라는 점은 긍정적이나, 라이선스 취득의 높은 허들, 외국 기업 참여 제한 등은 제한된 개방임을 시사한다. 향후 12~18개월간의 시장 변화가 베트남이 장기적으로 매력적인 지역이 될지, 아니면 실험에 머물지를 결정할 것이다.

 


17,000명 이상의 웹3 시장 리더들이 읽고있는 아시아 웹3 시장의 인사이트를 가장 먼저 확인해보세요.

>> 타이거리서치 구독하기 <<


 

2. 높은 라이선스 허들로 어려워진 규제 내 사업

2025년 9월 9일 발표된 정부 결의안 05/2025/NQ-CP는 암호화폐 발행 및 거래 5개년 시범 프로그램의 진입 조건을 엄격하게 설정했다. 사업자 라이선스는 베트남 기업만 신청할 수 있으며, 기업법에 따라 설립되어야 한다.

라이선스를 받으려면 최소 자본금 10조 동(약 3억 8천만 달러)을 베트남 동화로 전액 납입해야 한다. 이 자본금의 최소 65%는 기관 주주가 출자해야 한다. 이 기관 출자분 중 35% 이상은 상업은행, 증권사, 자산운용사, 보험사, 기술 기업 중에서 선택된 최소 2개 기관이 출자해야 한다. 기관 주주는 신청 전 2년 연속 흑자를 기록해야 하며, 두 해 모두 외부 감사에서 적정 의견을 받아야 한다.

또한 외국인 지분은 자본금의 49%로 제한되어, 라이선스 사업자가 베트남 정부 통제 아래 유지되도록 했다. 또한 라이선스 사업자는 엄격한 인력 및 인프라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최고경영자는 금융 부문 경력 2년 이상, 최고기술책임자는 IT 분야 경력 5년 이상이어야 한다. 사이버보안 자격증을 보유한 직원 10명 이상, 증권 실무자 자격증을 보유한 직원 10명 이상을 확보해야 한다. 기술 시스템은 금융 서비스 최고 등급인 정보보안 4등급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라이선스 출시를 통해 암호화폐 시장 확장에 대한 베트남 정부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지만, 이 조건들은 기존 금융사에게도 쉽지 않은 수준이다. 거래소 기준으로도 높은 허들인 이 기준을 지갑 서비스, 게임파이 프로젝트, 중형 거래소 등에 적용한다면, 대부분의 암호화폐 기반 기업이 라이선스를 취득하지 못할 수준이다.

KyberSwap restricting access for Vietnamese users. Source: KyberSwap

 

대표적으로 베트남 출신 프로젝트인 카이버스왑이나 코인98 역시도 베트남 내 사업을 중단하였다. 베트남 규제 내 사업을 하기 위해서 현실적으로 하이브리드 모델을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은행, 증권사, 보험사, 대형 기술 기업이 라이선스 사업자의 중심축이 되고, 웹3 프로젝트는 기술 및 서비스 제공자로 참여하는 구조다. 시장은 제도권 기관이 지배하고, 스타트업과 암호화폐 기반 기업은 라이선스 영역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

또한 이 체계는 활동 범위를 자산담보 토큰의 발행과 현물 거래로 제한하며, 결제는 베트남 동화로만 이뤄진다. 암호화폐를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여전히 금지되며, 파생상품과 마진 거래 같은 고위험 상품은 제외된다. 미국, 싱가포르, 홍콩 등 규제를 선제적으로 도입한 국가에 비해서는 제한적 사업이 가능한 상황이다.

 

3. 기업들의 반응과 움직임

3.1. 베트남 내 로컬 기업들 현황

여러 베트남 기업이 새로운 라이선스 체계를 예상하고 “디지털 자산 거래소”를 목표로 회사를 설립했다. 이들은 규제가 시행되면 공식 승인을 받기 위해 경쟁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국내 후보들이다. 하지만 현재 자본금 수준과 주주 구조는 정부 결의안 05/2025에 명시된 엄격한 요건과는 거리가 멀다.

 

기관 투자자 관점에서 세 가지 특징이 눈에 띈다. 첫째, 자본금 격차가 결정적이다. 현재 진입을 준비하는 기업들의 자본금은 20억 동에서 1조 4,700억 동 사이로, 법정 최소 기준인 10조 동에 크게 못 미친다. 은행, 증권사, 보험사로부터 대규모 자본 투입이 없으면 대부분의 기업이 라이선스 자격을 얻지 못할 것이다.

둘째, 제도권 기관의 지원 여부가 생존을 결정한다. 결의안은 자본금의 최소 65%를 기관이 출자하도록 요구하며, 그중 35%는 은행, 증권사, 보험사, 기술 기업 중 최소 2곳이 출자해야 한다. 이 조항은 SSI, VIX, Techcom, HD, MB 같은 주요 금융기관과 이미 연결된 기업에 유리하다. 반면 DNEX나 CAEX 같은 핀테크 중심 기업은 더 강력한 파트너를 유치하지 못하면 불리한 위치에 놓인다.

마지막으로, 시장에서는 라이선스가 제한적으로 발급될 것으로 예상한다. 소문에 따르면 초기 단계에서 최대 5개 사업자만 승인될 것으로 보인다. 이미 최소 7개 기업이 준비 중이므로, 일부는 필연적으로 탈락할 수밖에 없다. 베트남 시장을 평가하는 글로벌 거래소 입장에서는 가장 신뢰도 높은 국내 파트너와 조기에 협력 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해진다.

 

3.2 글로벌 거래소의 정부 접촉

Bybit CEO Ben Zhou meeting Deputy Prime Minister Nguyễn Hòa Bình. Source: Bybit

 

글로벌 거래소들은 베트남 당국과의 관계 구축에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2025년 9월 24일, 응우옌 호아 빈 상임 부총리는 UAE 공식 방문 중 바이낸스 CEO 리처드 텡을 만났다. 부총리는 바이낸스에 다낭 본사 설립을 제안하고, 베트남이 계획 중인 국제금융센터와 협력해 라이선스 디지털 자산 거래소를 운영할 것을 요청했다. 또한 아부다비 글로벌 마켓을 이끈 경험이 있는 텡에게 베트남 금융센터 사업의 고위 자문 역할을 제안했다. 이 초청은 정부 공식 채널을 통해 발표되어 명확한 정책 의도를 드러냈다.

 

Binance CEO Richard Teng with Vietnam’s leadership in Da Nang. Source: Binance

 

동시에 다낭시 인민위원회와 바이낸스는 양해각서를 체결하여 블록체인과 디지털 자산 개발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바이낸스는 정치적 지지와 지방정부 파트너십을 모두 확보한 셈이다.

바이빗도 강력한 입지를 마련했다. 2025년 9월 17일, 바이빗은 다낭시 인민위원회, 아부다비 블록체인 센터(ADBC), 베리체인스와 함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 파트너십은 유동성 공급, 인프라 보안, 생태계 연결을 다루며, 베트남의 규제 체계 목표와 긴밀히 연결된다. 바이빗의 협약은 바이낸스의 부총리 면담만큼 고위급은 아니지만, 국제금융센터 구상에서 실질적인 발판을 확보했다.

이런 움직임으로 바이낸스와 바이빗는 글로벌 기업 중 베트남 시장에서 선두에 섰다. 앞서 언급했듯이, 시장에서는 이번 체계에서 5개 라이선스만 발급될 것으로 예상한다. 만약 그중 2개가 글로벌 거래소에 배정된다면, 국내 기업에는 3개 자리만 남는다. 이미 최소 7개 기업이 경쟁 중이므로, 국내 기업 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진다. 살아남으려면 제도권 기관의 지원과 충분한 규모를 입증해야 한다.

바이낸스와 바이빗의 포지셔닝은 또 다른 질문을 던진다. BingX나 MEXC처럼 이미 베트남 소매 시장을 장악한 다른 글로벌 거래소는 어떻게 될까? 이들은 해외 플랫폼을 통해 베트남에서 상당한 사용자 기반을 유지하고 있지만, 조기 정부 접촉이 없으면 라이선스 시장에서 밀려날 위험이 있다. 승인된 국내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거나 바이낸스, 바이빗와 유사한 초청을 받지 못하면, 이들의 운영은 규제 영역 밖에 머물게 된다. 규제 체계가 시장 거래량을 흡수하기 시작하면 향후 단속에 취약해질 수 있다.

 

4. 전략 시나리오: 글로벌 거래소의 시장 진입 전략

이러한 상황에서 베트남 시장에 진입하려는 프로젝트에게는 어떠한 선택지가 있을까? 가상의 글로벌 거래소 “CEX Tiger”가 베트남에 진출한다고 가정하고, 어떤 전략이 가장 적절할지 살펴보겠다.

CEX Tiger가 내려야 할 첫 번째 결정은 파트너 선택이다. 외국 거래소는 직접 라이선스를 받을 수 없고, 강력한 국내 기관과 협력해야 한다. 어느 베트남 은행, 증권사, 보험사가 제한된 라이선스를 확보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지 파악해야 한다. 파트너의 질이 시장 접근성, 컴플라이언스 태세, 향후 규모를 모두 결정한다.

파트너를 확보한 다음에는 운영 모델을 설계해야 한다. 베트남 파트너가 라이선스와 규제 책임을 지고, CEX Tiger는 기술, 유동성, 운영 전문성을 제공하는 하이브리드 구조가 필요하다. 거래소 자체가 공동 사업체가 되며, 외국 기업이 실질적 서비스를 운영하고 국내 기관이 대외 창구와 법적 기반 역할을 맡는다.

이와 함께 사업 범위에 대한 기대치를 현실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규제 체계는 현물 거래, 베트남 동 결제, 통제된 투자자 참여로 좁다. 즉각적인 거래량이나 파생상품 기반 수익을 추구할 시장이 아니다. 대신 향후 확장을 앞두고 입지 확보, 브랜드 정당성, 규제 당국의 호의를 확보하는 전략으로 접근해야 한다.

그러나 CEX Tiger가 직면한 경쟁 환경은 매우 좁다. 만약 바이낸스와 바이빗에 2개 라이선스가 배정되면, 국내 기업에는 3개만 남는다. 후발 주자에게 진짜 질문은 베트남이 매력적인지 여부가 아니다. 사용자 기반과 성장 궤도만 봐도 그건 명백하다. 진짜 질문은 신뢰할 만한 국내 파트너를 확보할 수 있는지, 그 파트너가 협력할 의사가 있는지다. 1차 라운드를 놓치면 최소한 체계가 확장될 때까지 시장 진입 기회를 잃을 수 있다.

정리하면, CEX Tiger 같은 후발 주자는 베트남을 단기 수익 엔진보다는 전략적 포지셔닝의 장으로 접근해야 한다. 적절한 국내 파트너를 확보하고, 소수 지분 역할을 받아들이며, 아시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암호화폐 시장 중 하나에서 장기적 입지를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하지만 소매 사용자 측면에서 보면 상황은 더 복잡하다. 베트남 사용자들은 이미 글로벌 거래소 거래에 익숙하다. 새로운 거래소가 라이선스를 받더라도 보안 기준, 거래가능한 종목 수, 전반적인 신뢰성에 대한 질문을 피할 수 없다. 라이선스는 정당성을 부여하지만, 자동으로 사용자 신뢰나 시장 점유율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결국 CEX Tiger 같은 기업들은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된다. 제한된 라이선스 경쟁에 뛰어들어 국내 파트너와 협력할 것인가, 아니면 규제 밖에서 기존 사용자 기반을 유지하며 시장 변화를 지켜볼 것인가?

 

 


17,000명 이상의 웹3 시장 리더들이 읽고있는 아시아 웹3 시장의 인사이트를 가장 먼저 확인해보세요.

>> 타이거리서치 구독하기 <<


 

🐯 More from Tiger Research

이번 리서치와 관련된 더 많은 자료를 읽어보세요.

 

Disclaimer

이 보고서는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정보의 정확성, 완전성, 그리고 적합성을 명시적으로나 암시적으로 보증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본 보고서나 그 내용을 이용함에 따른 모든 손실에 대해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이 보고서의 결론과 권고사항, 예상, 추정, 전망, 목표, 의견 및 관점은 작성 당시의 정보를 바탕으로 하며 예고 없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한 타인 및 타조직의 의견과 일치하지 않거나 반대될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정보 제공의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법률, 사업, 투자, 또는 세금에 관한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또한 증권이나 디지털 자산에 대한 언급은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투자 권고나 투자 자문 서비스 제공을 제안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자료는 투자자나 잠재적 투자자를 대상으로 하지 않았습니다.

 

타이거리서치 리포트 이용 안내

타이거리서치는 리포트의 공정 사용을 지지합니다. 이는 공익적 목적으로 콘텐츠를 인용하되 상업적 가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의 넓은 사용을 허용하는 원칙입니다. 공정 사용 규칙에 따라, 리포트를 사전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타이거리서치 리포트를 인용 시에는 1) 출처로 ‘타이거리서치’를 분명히 밝히고, 2) 타이거리서치 로고를 포함시켜야 합니다. 자료를 재구성하여 출판할 경우에는 별도의 협의가 요구됩니다. 사전 허가 없는 사용은 법적 조치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71,779,917 (-1.02%)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6,120,839 (-2.90%)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16 (-0.01%)
BNB 로고 BNB (BNB)
1,750,459 (-4.70%)
XRP 로고 XRP (XRP)
3,970 (-2.34%)
Solana 로고 Solana (SOL)
310,166 (-1.18%)
USDC 로고 USDC (USDC)
1,415 (-0.02%)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346.3 (-3.95%)
TRON 로고 TRON (TRX)
475.2 (-0.44%)
Cardano 로고 Cardano (ADA)
1,138 (-2.17%)
왼쪽
2025 10월  9(금)
오른쪽
진행기간 2025.10.02 (목) ~ 2025.10.03 (금)

43명 참여

정답 0%

오답 100%

진행기간 2025.10.01 (수) ~ 2025.10.02 (목)

46명 참여

정답 76%

오답 24%

진행기간 2025.09.30 (화) ~ 2025.10.01 (수)

45명 참여

정답 82%

오답 18%

진행기간 2025.09.29 (월) ~ 2025.09.30 (화)

43명 참여

정답 77%

오답 23%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

최신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