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 가기
  • 공유 공유
  • 추천 추천

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 2025년 3분기 현황

Jeremy Koch 프로토콜 RA Nov 7, 2025 ⋅ 읽는데 약 19분 소요


핵심 인사이트

 

• 니어 인텐트(NEAR Intents)는 핵심 멀티체인 조정 레이어로 진화하여, 탈중앙화 솔버 네트워크와 검증자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원활한 크로스체인 거래 및 자율 에이전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3분기에 230만 건 이상의 스왑이 니어 인텐트 인프라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거래량은 2억 3,490만 달러였다.

 

• 니어는 전체 17위의 시가총액 순위를 유지하며 주요 자산들과 유사한 성과를 보였다. 니어의 시가총액은 3분기 말 33억 달러로 전분기 대비 24.3% 증가했고, 토큰 가격은 2.6 달러로 전분기 대비 22.3% 상승했다.

 

• 네트워크 활동이 완만하게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니어 생태계는 탈중앙화 거래소 거래량이 전분기 대비 533.6% 급증하여 일평균 7,670만 달러를 기록하고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이 전분기 대비 28.0% 증가하여 2억 4,510만 달러에 달하면서 강화되었다.

 

• 니어는 8개에서 9개의 샤드로 업그레이드되어 전체 네트워크 처리량이 12.5% 증가했다. 최신 프로토콜 업데이트인 니어코어 v2.7.0 및 v2.8.0은 총 청크 검증자 수를 300명에서 500명으로 확대하고 P2P 상태 동기화, 증가된 위임 한도, 향상된 데이터 복구 도구와 같은 주요 최적화를 도입했다.

 

• 3분기에는 프리비(Privy), 에버클리어(Everclear), 셸비(Shelby), 오로라(Aurora), IQ AI, 퍼블릭AI(PublicAI)와의 협력이 체인 추상화되고 인공지능으로 구동되는 네트워크라는 니어의 비전을 진전시켰다. 통합 지갑 플로우, 크로스체인 유동성 청산, 탈중앙화 스토리지, 자율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토큰화된 인공지능 경제, 커뮤니티 소유 데이터 모델을 가능하게 한다.


개요

 

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 NEAR)은 임계값 지분증명(Thresholded Proof-of-Stake, TPoS) 합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거래를 실행하는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으로,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 인공지능 기반 시스템,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을 위한 기반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니어는 기본 네트워크 기능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거래 처리량과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나이트셰이드 2.0(Nightshade 2.0) 샤딩 메커니즘을 통합하며, 오로라를 통해 이더리움 가상머신과 호환된다.

 

니어 생태계는 많은 블록체인과 생태계에 걸쳐 체인 추상화를 확장하고 있으며, 최종 사용자 및 개발자 경험에서 블록체인을 추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체인 추상화의 비전은 애플리케이션이 모든 블록체인에서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하고, 손쉬운 온보딩과 가스 수수료 및 브리징 같은 기능이 최종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니어는 다음과 같은 핵심 구성 요소를 개발하고 있다.

 

• 니어 인텐트: 인공지능 에이전트와 사용자가 수동 감독 없이 웹3 전반에 걸쳐 거래와 요청을 자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거래 프레임워크로, 마찰 없는 크로스체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체인 서명(Chain Signatures) 기반으로 구축된 니어 인텐트는 대규모로 안전하고 자동화된 실행을 보장한다.

 

• 계정 집계: 사용자가 여러 블록체인에 걸쳐 신원, 자산, 거래를 통합된 경험을 통해 관리할 수 있게 하여 파편화를 제거하고 복잡성을 줄이는 체인 추상화의 핵심 구성 요소다.

 

• 샤딩 블록체인: 나이트셰이드 2.0으로 구동되는 니어는 고속, 저비용 거래로 수십억 건의 인공지능 기반 상호작용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2025년 3분기 기준으로 니어는 9개의 샤드에서 운영되며, 단일 블록 리샤딩을 도입하고 시간 단위의 상태 재구축을 제거했다.

 

니어 재단(NEAR Foundation)은 샤딩 블록체인, 체인 추상화, 니어 인텐트를 기반으로 구축된 사용자 소유 인공지능의 본거지로 니어를 만드는 데 노력과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 인공지능이 자율적으로 작동하고, 원활하게 거래하며, 안전하게 확장할 수 있게 하는 모든 핵심 혁신은 니어를 인공지능을 위한 블록체인으로 확립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재단은 니어닷AI(NEAR.AI)를 통한 핵심 인공지능 인프라 투자 및 추가 연구개발 노력을 포함하여 인공지능 에이전트 개발을 위한 최고의 생태계를 만드는 데 상당한 자본과 자원을 투자하고 있다. 50개 이상의 팀이 니어에서 인공지능 기반 애플리케이션, 연구 프로젝트, 도구를 적극적으로 구축하고 있으며, 탈중앙화 인공지능 공간의 리더가 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웹사이트 / X(구 트위터) / 디스코드 / 니어.AI


핵심 지표

재무 분석

시가총액 및 가격

니어는 유통 시가총액 33억 달러로 분기를 마감했으며, 이는 전분기 대비 24.3% 증가한 수치다. 토큰 가격도 2.6 달러로 전분기 대비 22.3% 상승했다. 니어는 전체 17위의 시가총액 순위를 유지했으며, 이는 분기 말까지 다른 주요 자산들과 유사한 성과를 보였음을 나타낸다.

 

수익

2025년 3분기에 니어의 수익은 네트워크 거래 수수료를 측정하되 스토리지 스테이킹은 제외하며, 80만 5,614달러로 감소하여 전분기 대비 0.8% 하락했다. 이러한 감소는 전체 거래 수 및 평균 거래 수수료 감소에 기인할 수 있다. 3분기 평균 거래 수수료는 0.0019 달러로, 전분기 대비 13.2% 증가했으며 이는 25% 이상 감소한 두 분기 연속 이후의 반등이다.

 

니어는 거래 수수료에 대한 수수료 소각 메커니즘을 채택하고 있으며, 모든 수수료의 70%는 소각되고 나머지 30%는 거래가 발생한 컨트랙트로 전달된다.

 

공급

 

니어의 네이티브 토큰(NEAR)은 스테이킹, 거래 수수료, 스토리지 수수료에 사용된다. 니어는 고정된 토큰 공급량 없이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조치를 결합하여 사용한다. 네트워크는 연간 5%의 고정 인플레이션율을 따르며, 인플레이션 보상의 90%는 검증자에게, 10%는 프로토콜 재무부에 전달된다.


네트워크 분석

사용량

니어는 2025년 3분기에 활동과 거래량 모두 감소를 경험했다. 일평균 활성 재방문 주소는 전분기 대비 9.8% 감소하여 290만 개를 기록했고, 일평균 신규 주소는 전분기 대비 4.6% 감소하여 26만 1,613개를 기록했으며, 일평균 거래는 전분기 대비 14.2% 감소하여 470만 건을 기록했다.

 

개발

 

니어는 개발자 지원을 강조하며, 특정 거래에 의해 호출된 스마트 컨트랙트 제작자에게 거래 수수료의 30%를 분배한다. 이러한 수수료 구조 외에도 니어는 생태계 내에서 작업하는 개발자를 위해 맞춤화된 광범위한 도구 모음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인기 있는 코딩 언어용 SDK, 샌드박스 환경, 니어 CLI, 니어 개발자 거버넌스가 포함된다. 니어 개발자 허브(NEAR Dev Hub)는 개발자를 위한 리소스 저장소로, 생태계 내에서 협업과 혁신을 촉진한다. 초기 성공 사례로는 후원 해커톤, 커뮤니티 그룹 형성, 니어 개선 제안에 대한 협업이 있다.

 

니어닷AI(NEAR.ai)는 암호화폐와 인공지능 공간에서 구축하는 개발자들이 니어가 개발한 인프라와 도구에 노출될 수 있는 런치패드다. AI 리서치 허브(AI Research Hub)AI 어시스턴트(AI Assistant)라는 두 프로젝트를 통해 니어는 개발자 커뮤니티에 자신이 왜 인공지능을 위한 블록체인인지 보여주고 있다. 940개 이상의 니어 에이전트가 배포되었으며 개발자 허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5년 3분기의 추가 개발 활동은 다음과 같다.

 

• HOT와 리니어 프로토콜(LiNEAR Protocol)은 니어의 인플레이션율을 5%에서 2.5%로 줄이는 것을 제안하는 센싱 투표를 시작했다. 이것은 공식 거버넌스 투표가 아니었지만, 강력한 커뮤니티 지지를 드러냈다. 참여한 검증자의 90% 이상이 찬성표를 던졌고, 나머지는 규제 제약(거래소, 수탁업체, 벤처캐피탈 등) 때문에 기권했다. 이 신호에 따라 니어 원(NEAR One)은 검증자들이 새로운 토큰경제학을 선택하거나 기존 버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식 프로토콜 업그레이드를 시작했다. 모든 검증자에게 명확한 커뮤니케이션과 FAQ가 배포된 후, 업그레이드는 7일 이내에 통과되었고 니어의 발행률이 2.5%로 공식 감소되었다.

 

• 2025년 8월 18일 프로토콜 버전 79 업그레이드에 앞서 출시된 니어코어 v2.7.0은 여러 네트워크 및 성능 개선 사항을 도입한다. 이 업데이트는 프로덕션 네트워크에 샤드를 하나 더 추가하여 총 8개에서 9개로 늘리고, NEP-536을 구현하여 환불 영수증을 줄이는 동시에 가스 환불 패널티를 0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태 동기화 헤더에 대한 P2P 동기화를 도입하고, 높은 혼잡 기간 동안 누락된 청크 거부 임계값을 100으로 높이며, 런타임에서 포화 부동소수점-정수 변환을 가능하게 한다.

 

• 2025년 9월 15일 출시된 니어코어 v2.8.0은 프로토콜 버전 80을 도입하고, 총 청크 검증자 수를 300명에서 500명으로 확대하며, 샤드당 위임을 65개에서 105개로 증가시킨다. 이 업데이트는 절대 핫 데이터베이스 경로와 관련된 상태 스냅샷 마이그레이션 문제를 해결하고, 리샤딩 중 손실된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한 새로운 "neard" 서브커맨드 도구를 추가하며, 아카이브 데이터 복구 도구 사용을 위한 명령어와 지침을 포함한다.

 

보안

 

니어는 블록 생산자(Block Producers), 청크 전용 생산자(Chunk-Only Producers), 히든 검증자(Hidden Validators)라는 세 가지 별개의 검증자 역할을 가진 임계값 지분증명(TPoS)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블록 생산자는 모든 샤드에 걸쳐 거래를 검증할 책임이 있고, 청크 전용 생산자는 줄어든 하드웨어 요구사항으로 개별 샤드에 집중하며, 히든 검증자는 독립적인 제3자 모니터 역할을 한다.

 

나이트셰이드 샤딩의 구현은 2022년 9월 1단계로 시작되어 청크 전용 생산자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용량을 향상시켰다. 2024년 1분기까지 니어는 메인넷에서 6개의 샤드가 운영되는 나이트셰이드 샤딩 2단계를 출시했으며, 100개의 샤드로 확장하는 계획을 향해 진전했다. 2024년 1분기에는 니어 재단과 협력하여 메타 풀(Meta Pool)의 엔터프라이즈 노드 운영자 프로그램이 출시되었으며, 도이치 텔레콤(Deutsche Telekom)NTT DATA를 포함한 주요 기관을 생태계에 온보딩하기 시작했다. 나이트셰이드 2.0으로도 알려진 상태 비저장 검증(Stateless Validation)은 2024년 8월 22일 메인넷에 출시되었다. 이 업그레이드는 각 샤드의 처리량을 5배 향상시키고 네트워크에 사용 가능한 총 샤드 수를 증가시켰다. 니어는 이후 8개에서 9개의 샤드로 업그레이드했다.

 

2025년 3분기 말까지 니어는 333명의 활성 검증자를 보유했으며 적격 공급량의 46%가 스테이킹되었다.

 

거버넌스

 

2024년 2분기의 하우스 오브 스테이크(House of Stake) 거버넌스 제안을 기반으로, 건틀렛(Gauntlet) 파트너십은 니어의 거버넌스 구조를 계속 발전시키고 있다. 하우스 오브 스테이크는 생태계 성장을 지원하고, 하우스 오브 스테이크 재무부를 책임감 있게 배치하며, 네트워크 경제 및 보안을 강화하고, 검증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도록 설계된 무허가 지분 가중 투표 시스템이다.

 

2024년 12월 5일, 건틀렛니어 대표자 모집(NEAR Call for Delegates) 제안을 발표하여 개인들이 하우스 오브 스테이크의 승인된 대표자(Endorsed Delegates)가 되기 위해 지원하도록 초대했다. 신청 기간은 2025년 2월 16일에 마감되었고, 니어 재단은 나중에 X 스페이스에서 첫 11명의 승인된 대표자 선정을 발표했다. 니어는 또한 아고라(Agora)와 협력하여 하우스 오브 스테이크 프론트엔드를 구축했으며, 2025년 8월 7일 메인넷에서 공식 출시되었다. 출시는 온체인 거버넌스 기능을 도입하여 사용자가 니어(또는 파생 토큰)를 잠가 veNEAR를 받고 거버넌스 결정에 참여할 수 있게 했다.

 

하우스 오브 스테이크의 다음 단계는 프로토콜 경제, 거버넌스, 재무 관리 확장에 초점을 맞추고, 이어서 일상적인 결정을 관리하고 스웜 거버넌스를 가능하게 하여 인간 거버너를 지원할 자율 인공지능 에이전트 대표자를 도입한다.


생태계 분석

디파이

2025년 3분기에 니어의 TVL에 기여한 플레이어들의 구도는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레아 파이낸스(Rhea Finance)가 니어 TVL의 96.6%를 차지하며 1억 6,25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17% 증가했다. 2024년 6월 20일 출시된 올스테이크(Allstake)는 3분기를 TVL 430만 달러로 마감하여 전분기 대비 21.8% 증가했다. 점보 익스체인지(Jumbo Exchange)는 전분기 대비 439.4%로 가장 큰 증가율을 기록했다.

3분기에 니어의 리퀴드 스테이킹 TVL은 전분기 대비 28.5% 증가하여 1억 7,450만 달러를 기록했다. 메타 풀은 9,78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38.2% 증가를 보였고, 리니어 프로토콜은 7,400만 달러의 TVL로 전분기 대비 18.3% 증가를 반영했다.

분기 내내 니어의 일평균 탈중앙화 거래소 거래량은 7,670만 달러로, 이전 분기 대비 533.6% 증가를 반영했다. 레아 파이낸스는 니어에서 거래량 기준 선도적인 탈중앙화 거래소로 남아 있으며, 일평균 거래량은 6,520만 달러다.

3분기에 니어의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전분기 대비 28% 증가하여 1억 9,140만 달러에서 2억 4,510만 달러에 도달했다.

 

사용자 소유 인공지능

 

니어의 사용자 소유 인공지능 이니셔티브는 인공지능을 블록체인 기술과 통합하는 데 있어 선도자다. 이 노력은 인공지능 개발을 민주화하고, 데이터와 자산에 대한 사용자 통제를 보장하며, 인공지능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탈중앙화 프레임워크를 육성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노력의 핵심은 체인 추상화 개념으로, 이는 니어 인텐트를 가능하게 하여 인공지능이 웹2와 웹3 모두에 걸쳐 크로스체인 거래와 요청을 자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하고, 사일로를 허물며 인공지능 에이전트 및 관련 비즈니스 모델의 원활한 운영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샤딩된 니어 블록체인은 대규모 인공지능 거래를 처리하도록 구축된 확장 가능하고 저비용의 블록체인 인프라를 제공한다.

 

니어 AI 팀은 탈중앙화 기밀 머신러닝(Decentralized Confidential Machine Learning, DCML)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여 니어에서 사용자 소유 인공지능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상세히 설명했다. 2025년 초 이 논문이 발표된 이후, 커뮤니티에서 프레임워크로 인식되어 많은 제품을 탄생시켰다. 여기에는 니어 에이전트 후(NEAR Agent Hu)포레스트 AI(Forest AI)가 포함된다. 니어가 개척하는 또 다른 프레임워크는 에이전트 상호작용 및 거래 프로토콜(Agent Interaction and Transaction Protocol, AITP)이다. AITP는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신뢰 경계를 넘어 안전하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구조화된 상호작용을 위한 확장 가능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ITP는 여전히 개발 중이지만 몇 가지 모듈이 가동 중이며 더 많은 모듈이 가동될 예정이다.

응답 증명

 

응답 증명(Proof of Response, PoR)은 니어 AI가 개발한 암호화 프로토콜로, 모델을 다시 실행할 필요 없이 특정 인공지능 모델이 주어진 입력에 대한 응답으로 특정 출력을 생성했음을 누구나 검증할 수 있게 한다. 이는 검증 가능한 추론 기술과 암호화 약속의 조합을 통해 달성된다. 중앙화된 모델 제공자를 신뢰하는 전통적인 접근 방식과 달리, PoR은 탈중앙화되고 신뢰 최소화된 방식으로 인공지능 응답을 확인하는 방법을 도입한다. 이는 작업을 실행하거나 결정을 내릴 때 투명성과 검증 가능성이 필요한 온체인 인공지능 에이전트에 특히 중요하다.

 

기술적 관점에서 PoR은 영지식 증명(ZKPs) 또는 다자간 계산(MPC) 프레임워크와 통합되어 모델의 무결성과 계산 프로세스가 변조 방지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온체인 에이전트는 암호화 보증으로 응답에 서명하고 검증할 수 있게 되어, 스마트 컨트랙트, 거버넌스 결정, 금융 로직에서 인공지능 출력을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온체인에서 검증 가능한 인공지능 실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PoR은 모델이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책임 있는 행위자가 되는 탈중앙화 인공지능 인프라의 더 넓은 비전을 지원한다. PoR과 탈중앙화 기밀 머신러닝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니어 AI 팀의 이 연구 논문을 참조하면 된다.

 

2025년 3분기의 기타 주목할 만한 인공지능 이벤트는 다음과 같다.

 

• 니어는 앱토스 랩스(Aptos Labs)와 점프 크립토(Jump Crypto)가 공동 개발한 탈중앙화 핫 스토리지 네트워크인 셸비와의 파트너십을 발표하여 니어의 인공지능 인프라에 통합했다. 니어는 실시간 데이터 액세스 용량을 평가하기 위해 라이브 에이전트 메모리 워크로드에서 셸비의 성능을 벤치마크한다. 이 협력에는 니어 인텐트 사용에 대한 초기 단계 탐색도 포함된다.

 

• 오로라는 니어 네트워크의 오로라 버추얼 체인(Aurora Virtual Chains, VCs)셰이드 에이전트(Shade Agents)도입하여 블록체인 시스템과 통합된 자율적이고 검증 가능한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만들었다. 셰이드 에이전트는 신뢰 실행 환경(Trusted Execution Environments, TEEs) 내에서 실행되며 니어 스마트 컨트랙트와 직접 연결되어 원격 증명 및 온체인 코드 해시 검증을 통해 비수탁 제어, 멀티체인 기능, 프라이버시를 보장한다. 오로라 버추얼 체인은 이러한 에이전트를 위한 전용 실행 환경을 제공하여 개발자가 오로라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맞춤형 인공지능 기반 체인을 배포할 수 있게 한다.

 

• 니어 재단은 여러 블록체인에 걸쳐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토큰화된 인공지능 에이전트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IQ AI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IQ AI의 에이전트 토큰화 플랫폼(Agent Tokenization Platform, ATP)은 개발자가 자산을 관리하고, 금융 전략을 실행하며, 탈중앙화 경제 내에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게 하며, 각각은 거래 가능한 토큰으로 뒷받침된다. 이 파트너십을 통해 니어 인텐트는 IQ AI의 에이전트 개발 키트(Agent Development Kit, ADK)에 통합되어 토큰화된 에이전트가 크로스체인 거래, 스테이킹, 자산 이동을 위한 니어의 인프라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향후 협력은 또한 니어 셰이드 에이전트를 통합하여 고급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기능을 확장하고 니어의 더 넓은 체인 추상화 로드맵과 일치시킨다. 생태계 조정의 일환으로 니어 재단은 니어 인텐트에서 유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IQ와 FRAX 토큰을 인수했으며, IQ의 관리 DAO인 브레인DAO(BrainDAO)는 상호적으로 스테이킹 및 프로토콜 통합을 위해 니어 토큰을 인수했다.

 

• 니어 재단은 기여자 소유 데이터와 토큰 기반 보상을 통해 인공지능을 민주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커뮤니티 주도 플랫폼인 퍼블릭AI동력을 제공한다. 퍼블릭AI는 니어의 스테이블코인과 블록체인 인프라를 활용하여 빠르고 신뢰할 수 있는 결제와 고품질 데이터 기여의 실시간 수익화를 가능하게 한다. 발행된 모든 토큰은 실제 수익과 직접 연결되어 사용자가 데이터세트에 토큰을 스테이킹하고 해당 데이터세트가 가치가 상승함에 따라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기 참여를 장려한다.

 

니어 인텐트

 

니어 인텐트는 사용자와 인공지능 에이전트가 기본 실행 단계를 관리할 필요 없이 자산 스왑이나 네트워크 간 가치 이전과 같은 원하는 결과를 정의할 수 있게 하는 라이브 멀티체인 거래 프로토콜이다. 탈중앙화 솔버 네트워크와 니어의 검증자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하여 이러한 크로스 네트워크 인텐트를 안전하게 조정하고, 실행하며, 결제한다. 솔버는 가장 효율적인 실행 경로로 사용자 인텐트를 이행하기 위해 경쟁하며, 가격과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온체인 탈중앙화 거래소와 오프체인 장소 모두에서 유동성을 조달한다. 니어 인텐트는 현재 125개 이상의 자산을 지원하며 실행 전에 인텐트 결과를 미리 보는 시뮬레이션 도구를 포함하여 안전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킨다. 프로토콜은 여러 서명 표준(NEP-413 및 Ed25519 포함)을 지원하며 니어의 계정 추상화 모델과 통합되어 유연한 지갑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 기반을 바탕으로 니어는 비밀번호 없는 인증을 위한 패스키, 니어 인텐트를 통해 촉진되는 P2P 고정 가격 결제를 위한 OTC 거래 기능, 공유 가능한 암호화폐 선물 링크, 제공된 입금 주소로 토큰을 보내기만 하면 단일 거래 크로스체인 스왑을 가능하게 하는 인텐트를 위한 1-클릭 API를 포함한 여러 보완적인 사용자 경험 업그레이드를 도입했다. 이러한 혁신들을 통해 니어 인텐트는 원활하고, 무신뢰적이며, 사용자 중심적인 웹3 상호운용성을 위한 니어의 더 넓은 비전의 핵심 구성 요소가 되었다.

2025년 3분기에 니어 인텐트를 통해 230만 건 이상의 스왑이 실행되었으며, 전체 거래량은 2억 3,490만 달러였다.

 

니어 인텐트는 인피넥스(Infinex), 카이버스왑(KyberSwap), 니어-인텐트(Near-Intents), 레아 파이낸스, 미티어 월렛(Meteor Wallet), 템플러 프로토콜(Templar Protocol) 여러 프론트엔드를 통해 형태를 갖춘다. 니어 인텐트의 또 다른 적용은 고정 가격 및 경매 스타일 토큰 판매를 모두 지원하는 인텐트 기반 런치패드칼릭스(Calyx)다. 런치패드는 니어 인텐트에 나열된 모든 지갑이나 자산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2025년 7월과 2026년 1월 사이에 NEP-141 토큰의 예정된 출시에 참여할 수 있게 한다. 주요 프로젝트에는 인공지능 인프라, 실물자산 프로토콜, 소셜 센티먼트 플랫폼, 멀티 토큰 탈중앙화 거래소가 포함되며, 모두 인텐트 런치패드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니어 재단은 또한 2025년 7월 23일 에버클리어 재단(Everclear Foundation)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하여 에버클리어의 크로스체인 청산 및 결제 기능을 니어 인텐트 인프라와 통합했다. 계약에 따라 니어의 체인 추상화 및 인텐트 프레임워크 기술은 여러 체인에 걸친 에버클리어의 자동화된 유동성 재조정 및 네팅을 구동하여 중앙화 거래소에 의존하지 않고 수수료가 거의 없이 최대 500만 달러의 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투자는 빠르게 성장하는 스테이블코인 및 멀티체인 생태계에서 유동성 파편화를 공동으로 해결하면서 매월 수십억 달러의 거래량을 지원하도록 에버클리어의 청산 레이어를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니어는 또한 프리비와 협력하여 통합 지갑 플로우를 가능하게 했다. 프리비가 니어 인텐트를 활용함으로써 프리비 지갑 인프라의 사용자는 중간 단계를 관리할 필요 없이 더 쉽게 "원클릭" 작업(여기에 입금, 체인 간 스왑, 저기에 출금)을 수행할 수 있다.

 

체인 서명

 

니어 계정이 전통적인 브리지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를 포함하여 여러 블록체인에 걸쳐 거래에 서명할 수 있게 하는 체인 서명의 성공적인 출시를 기반으로, 니어는 완전히 체인 추상화된 미래를 실현하기 위한 첫 단계를 밟았다. 이 시스템은 니어의 확장 가능한 샤딩 인프라를 외부 자산 및 유동성에 대한 액세스와 결합하며, 파생 경로, 멀티체인 스마트 컨트랙트 프레임워크, 중앙화된 수탁 없이 거래 서명을 안전하게 조정하는 탈중앙화 다자간 계산(MPC)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한다. 향후 업그레이드는 노드 검증을 위한 신뢰 실행 환경(TEEs)을 통합하고 MPC 네트워크를 약 20개의 독립 운영자로 확장하여 크로스체인 활동의 보안과 탈중앙화를 더욱 강화한다.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이미 니어 메인넷에서 체인 서명과 인텐트를 활용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250만 명 이상의 활성 사용자가 다양한 블록체인 간에 자산을 브리징할 수 있게 하는 스웨트 월렛(Sweat Wallet)이 포함된다. 옴니체인 재스테이킹 프로토콜인 올스테이크는 크로스체인 상태 동기화를 위해 체인 서명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니어, 솔라나, 이더리움, 비트코인에 걸쳐 자산을 재스테이킹할 수 있게 한다. 히어 월렛(HERE Wallet)비테 월렛(Bitte Wallet)도 체인 서명을 활용하여 멀티체인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비테 월렛은 비트코인을 포함한 모든 네트워크에 대한 패스키 지갑을 가능하게 한다. 핫 프로토콜(Hot Protocol)은 2,100만 개 이상의 지갑을 생성했으며, 체인 서명과 니어 인텐트로 구동되어 사용자에게 체인 간 스왑의 원활한 경험을 제공한다. 체인 서명니어 인텐트 모두 개발자가 자신의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오픈 SDK를 제공한다.

 

2025년 1분기에 니어 원 팀은 체인 서명을 활용하는 옴니브리지(OmniBridge)를 출시하여 니어의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을 강화하고 여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걸친 거래 및 유동성을 촉진했다. 옴니브리지는 이더리움 중심의 레인보우 브리지(Rainbow Bridge)를 넘어 니어의 상호운용성을 확장하며, 니어를 통합 유동성 허브로 확립하는 동시에 자본 효율성을 개선하고 파편화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픈소스 아키텍처인 옴니브리지는 개발자가 주요 블록체인 생태계에 걸쳐 상호운용 가능한 디파이, 인공지능, 소비자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나이트셰이드 2.0

 

나이트셰이드 2.0은 니어의 샤딩 아키텍처에서 중요한 발전을 나타내며 상태 비저장 검증을 도입한다.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 대중화한 개념인 상태 비저장 검증은 검증자가 전체 블록체인 상태를 로컬에 저장하지 않고 거래를 확인할 수 있게 하며, 필요한 상태 정보를 네트워크에서 직접 검색하여 자원 요구사항과 운영 비용을 줄이고, 로컬 샤드 상태를 유지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3분기에 니어는 8개에서 9개의 샤드로 업그레이드되어 처리량이 12.5% 향상되었다.

 

나이트셰이드 2.0은 거래 실행 속도가 추정 400% 증가하여 증가하는 사용자 및 거래 수를 처리하는 니어의 용량을 강화한다. 운영 비용 감소는 검증자 진입 장벽을 낮추는 동시에 탈중앙화와 보안을 강화한다. 더 빠른 거래 실행을 통한 향상된 성능은 디파이의 높은 수요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소유 인공지능과 같은 새로운 사용 사례를 지원하는 데 중요하다. 나이트셰이드 2.0은 동적 리샤딩, 추가 가스 비용 감소, 최적화된 상태 증인 크기를 포함한 미래 기술 통합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나이트셰이드 2.0의 향후 방향은 다음과 같다.

 

2025년 이후

• 거래 우선순위 수수료 추가

• 샤드가 과부하되거나 활용도가 낮을 때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동적 리샤딩

• 런타임 성능 개선(아직 아이디어 단계)

• 더 빠른 블록 시간

• 리더 없는 합의 추가

• 확장성을 돕기 위한 샤딩된 스마트 컨트랙트 추가


마무리 요약

 

2025년 3분기에 니어는 네트워크 활동 및 거래량이 소폭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 혁신, 거버넌스 확장, 인공지능 기반 통합을 통해 생태계를 계속 발전시켰다. 네트워크는 안정적인 수익과 시가총액 24% 증가로 재무 안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검증자 용량을 확대하고 확장성을 개선한 주요 프로토콜 업그레이드인 니어코어 v2.7.0 및 v2.8.0을 구현했다. 주요 생태계 이정표로는 하우스 오브 스테이크 거버넌스 플랫폼 출시, 니어 인텐트의 라이브 멀티체인 조정 레이어로의 진화, 블록체인과 인공지능의 교차점에서 니어의 역할을 심화시킨 에버클리어, 프리비, IQ AI, 퍼블릭AI와의 파트너십이 포함된다. 나이트셰이드 2.0 및 체인 서명의 발전은 니어의 체인 추상화 비전을 더욱 강화하여 원활한 크로스체인 상호운용성을 위한 무대를 마련했다. 니어가 미래로 나아가면서, 검증 가능한 인공지능 에이전트, 사용자 중심 상호운용성, 탈중앙화 거버넌스에 대한 집중은 네트워크를 확장 가능하고 인공지능으로 구동되는 웹3 미래를 위한 기반 레이어로 계속 위치시킨다.


보고서에서 마음에 드셨던 점, 빠진 내용, 또는 기타 피드백이 있으시면 설문을 작성 부탁드립니다.

 

모든 응답은 개인정보 보호정책과 서비스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

 

이 보고서는 니어 파운데이션(NEAR Foundation)의 의뢰로 작성됐습니다. 모든 콘텐츠는 저자(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작성되었으며, Messari Inc. 또는 보고서를 의뢰한 기관의 의견을 반드시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의뢰 기관이 보고서 내용에 일부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나, Messari는 데이터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최종 편집권을 보유합니다. 또한, 저자(들)는 이 보고서에서 언급된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자문을 위한 문서가 아닙니다.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는 반드시 자체적인 조사 및 독립적인 재무, 세무, 법률 전문가와의 상담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과거 수익률은 미래 수익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당사의 서비스 이용약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이 보고서의 일부 또는 전체는 다음과 같은 행위가 금지됩니다:
(a) 복사, 인쇄, 어떠한 방식으로든 형태를 변형하여 복제하는 행위
(b) Messari®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재배포하는 행위

안내사항

  • (주)토큰포스트에서 제공하는 리서치에 대한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권은 (주)토큰포스트 또는 제휴 파트너에게 있으며, 이용자를 위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합니다.
  • 작성된 내용은 작성자 본인의 견해이며, (주)토큰포스트의 공식 입장이나 의견을 대변하지 않습니다.
  • (주)토큰포스트는 리서치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한 거래, 투자에서 발생한 어떠한 손실이나 손해에 대해서 보상하지 않습니다.
  • 가상자산은 고위험 상품으로써 투자금의 전부 또는 일부 손실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Bitcoin 로고 Bitcoin (BTC)
138,148,050 (-0.39%)
Ethereum 로고 Ethereum (ETH)
4,622,392 (+0.58%)
Tether USDt 로고 Tether USDt (USDT)
1,447 (0.00%)
XRP 로고 XRP (XRP)
3,281 (+1.09%)
BNB 로고 BNB (BNB)
1,349,579 (-0.34%)
Solana 로고 Solana (SOL)
205,290 (+1.24%)
USDC 로고 USDC (USDC)
1,448 (0.00%)
TRON 로고 TRON (TRX)
425.5 (-0.91%)
Dogecoin 로고 Dogecoin (DOGE)
235.0 (+0.29%)
Cardano 로고 Cardano (ADA)
716.5 (-0.71%)
왼쪽
2025 11월  17(월)
오른쪽
진행기간 2025.11.17 (월) ~ 2025.11.18 (화)

36명 참여

정답 69%

오답 31%

진행기간 2025.11.14 (금) ~ 2025.11.15 (토)

42명 참여

정답 31%

오답 69%

진행기간 2025.11.13 (목) ~ 2025.11.14 (금)

46명 참여

정답 87%

오답 13%

진행기간 2025.11.12 (수) ~ 2025.11.13 (목)

43명 참여

정답 81%

오답 19%

기간 2024.03.20(수) ~ 2024.04.0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00명에게 커피 기프티콘 에어드랍
신청인원

126 / 100

이더리움(ETH) 일반 마감

[Episode 11] 코인이지(CoinEasy) 에어드랍

기간 2024.02.27(화) ~ 2024.03.12(화)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50명에게 총 150 USDT 지급
신청인원

59 / 50

기간 2023.10.11(수) ~ 2023.10.25(수)
보상내역 $10상당의 $AGT
신청인원

172 / 150

기간 2023.09.01(금) ~ 2023.10.01(일)
보상내역 추첨을 통해 1만원 상당의 상품권 에어드랍 (50명)
신청인원

26 / 50